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장 비교정치의 진화와 방법론 1
제1절 비교정치의 의의 ··································································································· 1 제2절 비교정치의 역사와 연구방법 ··············································································· 3 1. 전기 행태주의적 연구방법 _ 4 2. 행태주의적 연구방법 _ 5 3. 탈행태주의적 비교정치 연구방법 _ 9 제3절 비교정치의 방법론 ······························································································ 12 1. 비교방법론 _ 12 2. 과학적 접근방법 _ 13 3. 질적 분석방법과 양적 분석방법 _ 17 제4절 비교정치의 발전방향 ·························································································· 21 제2장 정치이념 23 제1절 정치이념의 주요 쟁점 ························································································· 24 1. 베버의 사상 _ 25 2. 마르크스의 사상 _ 27 3. 마르크스와 베버의 주요 개념 비교 _ 30 제2절 고전적 자유주의(Classical Liberalism) ······························································ 36 1. 고전적 자유주의의 발전과정 _ 37 2. 고전적 자유주의의 주요 특징 _ 42 제3절 급진주의(Radicalism) ························································································· 43 1. 급진주의의 발전과정 _ 44 2. 급진주의의 주요 특징 _ 50 차 례 xi 제4절 보수주의(Conservatism) ····················································································· 52 1. 보수주의의 발전과정 _ 53 2. 보수주의의 주요 특징 _ 56 제5절 현대적 자유주의(Modern Liberalism) ······························································· 58 1. 현대적 자유주의의 발전과정 _ 60 2. 현대적 자유주의의 주요 특징 _ 65 제6절 사상적 논의의 의의 ····························································································· 67 제3장 국가론 69 제1절 국가에 대한 일반적 논의 ···················································································· 70 1. 법률적 역사사회학적 정의 _ 71 2. 국가와 민족 _ 72 제2절 체계론적 · 구조기능론적 접근 ············································································ 76 1. 체계론적 접근 _ 76 2. 구조기능론적 정의 _ 82 제3절 계급주의 국가론 ·································································································· 85 1. 계급주의의 기본 개념 _ 85 2. 계급국가론의 원형 _ 87 제4절 다원주의 국가론 ·································································································· 92 1. 다원주의의 기본 개념 _ 92 2. 다원주의 국가 이론 _ 93 3. 다원주의와 이익집단 _ 94 4. 다원주의의 흐름 _ 97 제5절 국가론의 의의 ··································································································· 104 제4장 정치문화 106 제1절 정치문화 연구의 기원과 방법적 특성 ······························································ 108 1. 정치문화 연구의 기원 _ 108 2. 국가 간 문화 비교 _ 109 3. 정치문화 연구의 특징 _ 112 xii 새로운 패러다임의 비교정치 제2절 시민문화 연구 ··································································································· 123 1. 알몬드와 버바(Almond and Verba)의 정치문화 _ 124 2. 알몬드와 버바의 시민문화(Civic Culture) _ 128 3. 알몬드와 버바의 정치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 _ 129 제3절 정치사회화를 통한 정치과정 연구 ··································································· 133 1. 정치사회화 연구의 흐름 _ 134 2. 정치사회화 기구 _ 135 제4절 정치적 관습과 상징주의 ··················································································· 140 제5절 정치문화론의 한계와 의의 ··············································································· 143 제5장 합리적 선택 145 제1절 합리적 선택 이론의 발전 ·················································································· 147 제2절 합리성의 개념 ··································································································· 152 제3절 합리적 선택의 모형과 방법론 ·········································································· 153 1. 합리적 선택 모형의 구성요소 _ 153 2. 합리적 선택의 방법론 _ 162 제4절 합리적 선택 이론의 여러 형태 ········································································· 166 1. 결정 이론(Decision Theory) _ 166 2. 게임 이론(Game Theory) _ 168 제5절 합리적 선택 이론의 한계와 전망 ····································································· 174 제6장 제도주의 176 제1절 제도주의 이론의 발전과정 ··············································································· 177 제2절 구제도주의와 신제도주의 비교 ········································································ 179 제3절 신제도주의 이론 ································································································ 182 1. 이론적 발전 _ 183 2. 제도의 의미 _ 187 3. 신제도주의의 주요 특징 _ 189 4. 신제도주의에 대한 비판 _ 203 5. 비판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의 반론 _ 205 제4절 신제도주의 이론의 가능성 ··············································································· 210 차 례 xiii 제7장 정치구조 212 제1절 민주주의 ············································································································ 213 1. 민주주의의 개념 정의: 소다로(Sodaro)의 민주주의의 사원 _ 213 2. 자유민주주의의 모델들 _ 222 제2절 행정부 ················································································································ 237 1. 행정부의 역할 _ 238 2. 구조적 제도 _ 239 3. 관료제 _ 245 4. 정치적 행정부의 역할 _ 248 제3절 입법부 ················································································································ 250 1. 입법부의 역할 _ 250 2. 구조적 제도 _ 255 3. 입법부의 쇠퇴 _ 261 제4절 사법부 ················································································································ 262 1. 사법부의 역할 _ 263 2. 사법부의 구조 _ 264 3. 사법부의 약화와 강화 _ 266 제5절 정치구조와 정치발전 ························································································ 269 제8장 정당과 선거 270 제1절 정당 ···················································································································· 271 1. 정당의 기원 및 특징 _ 271 2. 정당의 역할 _ 272 3. 정당의 분류 _ 273 4. 정당체계 _ 281 5. 정당체제의 형성과 변화 _ 285 제2절 선거 ···················································································································· 286 1. 선거제도 _ 287 2. 선거제도에 대한 평가 _ 293 xiv 새로운 패러다임의 비교정치 제3절 투표행태 ············································································································ 295 1. 사회학적 이론 _ 295 2. 사회심리학적 이론 _ 297 3. 경제학적 이론 _ 299 4. 인지심리학적 이론 _ 302 제4절 여론조사 ············································································································ 304 1. 여론조사의 중요성 _ 304 2. 여론조사 방법 _ 305 3. 여론조사의 한계 _ 306 제5절 정당의 발전과 공정한 선거를 위하여 ······························································ 307 제9장 정치권력 310 제1절 권력의 정의 ······································································································· 310 1. 권력의 개념 _ 316 2. 권력의 형태 _ 319 제2절 엘리트 이론 ······································································································· 324 1. 엘리트 이론의 전개 _ 324 2. 통합 엘리트 이론 _ 325 3. 다원주의 엘리트 이론 _ 331 4. 신통치 엘리트 이론 _ 333 제3절 정치권력과 엘리트의 위상 ··············································································· 334 제10장 정치경제 336 제1절 정치와 경제 ······································································································· 337 1. 추구하는 목표 _ 337 2. 제도적인 영역 _ 338 3. 정치와 경제의 관계 _ 340 제2절 정치경제학의 기본 분석틀 ··············································································· 347 1. 생산요소, 기업, 가계/소비자 _ 348 2. 생산과 소비 _ 350 3. 국가와 세계의 참여 _ 352 차 례 xv 제3절 정치경제학의 전개 ···························································································· 353 1. 근대 자본주의의 발달과 민주주의 _ 353 2.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_ 357 제4절 정치경제학의 주요 쟁점 ··················································································· 360 1. 정치경제학의 발전과 주요 쟁점 _ 360 2. 자원의 최적 배분 _ 363 3. 소득과 재산의 재분배 _ 365 4. 공공경제와 물가의 안정화 _ 367 제5절 정치경제학의 과제 ···························································································· 369 제11장 정치발전론과 민주주의 공고화 371 제1절 근대화 이론과 종속 이론 ················································································ 373 1. 근대화의 개념과 요소 _ 373 2. 근대화 이론과 유형 _ 375 3. 제3세계의 근대화론과 종속 이론 _ 379 제2절 정치발전론과 발전국가론 ················································································· 384 1. 정치발전의 정의 및 특성 _ 384 2. 정치발전의 과정과 모형 _ 387 3. 발전국가론 _ 390 4. 발전론의 한계와 의의 _ 393 제3절 새로운 민주화 물결과 민주주의 전환 ····························································· 395 1. 민주화 물결과 정치적 함의 _ 395 2. 민주주의 전환의 조건 _ 398 3. 민주주의 전환의 분석방법 및 이론 _ 399 4. 민주주의 공고화와 시민사회 _ 411 5. 민주주의 공고화와 국가 능력 _ 423 제4절 민주화의 전망 ··································································································· 424 제12장 사회운동 426 제1절 사회운동 ············································································································ 426 1. 사회운동의 개념 _ 428 2. 사회운동론의 기원과 흐름 _ 429 xvi 새로운 패러다임의 비교정치 제2절 고전적 사회운동론 ···························································································· 432 제3절 현대적 사회운동론 ···························································································· 435 1. 신사회운동론 _ 437 2. 자원동원 이론 _ 442 제4절 구성주의적 사회운동론 ···················································································· 448 제5절 사회운동론의 의의 ···························································································· 453 제13장 세계화 454 제1절 국가 간 경쟁 ······································································································ 455 1. 세력 균형 _ 455 2. 공포의 균형 _ 457 3. 지배와 피지배 _ 458 4. 탈냉전 세계의 경쟁 _ 461 제2절 국가들 사이의 협력 ························································································· 464 1. 전통적인 외교와 협약 _ 464 2. 국제기구 _ 468 제3절 세계화와 글로벌 스탠더드 ··············································································· 472 1.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_ 472 2. 신자유주의 글로벌 스탠더드의 전파 _ 477 제4절 세계화의 도전 ··································································································· 485 참고문헌 _ 486 찾아보기 _ 520 |
저김성수
개정판 서문
이 책의 처음시작은 수업중 학부학생의 당돌한 질문이었다. “왜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정치학교재는 번역본인가요·” 대답은 간단하다. 논문을 우선시하는 학문풍토와 평가제도 그리고 정치인들의 출판기념회를 위한 책찍기 사업이 만들어낸 부작용이다. 이 책은 학문의 깊이와 연속성을 위한 전환이 필요하다는 마음에서 시작된 작은 시도이다. 정치학에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해를 통해 자본주의 경제구조에서 민주주의 가치를 제고하고자 이 책을 처음 선보인 지 4년이 지났다. 지금까지 부족함이 많은 책을 교재와 참고서로 사용해온 학생들과 연구자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져왔다. 이번 기회에 책의 잘못된 내용들, 부족한 부분들을 사례와 주요학자들의 내용으로 수정보충하였고, 변경된 내용들을 보완하였다. 무엇보다 수업중 학생들의 질문과 토론내용들이 생각을 정리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 개정판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신흥지역연구과제 그리고 대학중점연구소 연구과제에 연속 선정된 유럽-아프리카연구소의 ‘한국 중소기업의 아프리카 진출’과 ‘한국의 대아프리카 공공외교 전략수립’ 연구과제를 진행하면서 축적된 연구결과 물들인 책, 논문과 발표한 자료를 참고하였고 무엇보다 변화한 현실정치와 통계수치를 반영하였다. 따라서 모든 장들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보완하였다. 이번 개정판을 내면서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정치는 생물이다’ 라는 말이 있듯이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한계가 주관적인 결론을 찾을 수밖에 없다는 아쉬움을 남게 한다. 리들리는 『The Rational Optimist(합리적 낙관주의자)』에서 개개인이 아이디어를 서로 교환하며 집단지능을 만들어 내어, 인류문명이 퇴보 또는 긍극적으로 멸망할 수 있다는 비관주의자들의 예측을 무너뜨리고 계속해서 진보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Ridley, 2010). 교환의 시작과 함께 문화가 집단적 성격을 띠게 되면서 경제적 진보라는 형태의 서로의 이익을 위하여 재능과 노력을 특화할 수 있는 노동의 분업, 전문화 등의 시도가 진행되어 경제적 번영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비록 정치에 대한 예측은 어렵지만 이 책을 통하여 성숙한 시민사회를 추구하는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개개인의 의식 속에 만들어진다면, 개개인의 문제의식이 집단문제의식으로 전이되어 상생(相生)의 공동체가 만들어질 것이라 기대해 본다. 우리 사회가 심각한 성장의 후유증을 겪고 있다.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엄청난경제성장을 이루었고, 세계가 부러워하는 최첨단의 정보통신 기술을 갖게 되었지만 탈산업화의 심화는 사회이익의 파편화, 사회구조의 분화, 대중의 원자화를 가속시키고 사회환경의 유동성과 불확실성을 고조시키고 있다. 정보화는 소통의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갈등구조를 공개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갈등을 특정한 측면에서 고착화시킴으로써 사회를 양극화시키고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치현상에 대한 관심은 점점 무뎌지고, 각종 사회이익을 대변하는 집단들 간의 갈등과 대립 속에 ‘나만 아니면 된다’는 식의 이기적인 사고가 보편화되었으며, 타인에 대한 배려는 실종되었다. 더욱이 국정농단을 단죄한 2016년 촛불시위에서 대통령하야를 외치며 자유 민주주의를 경험했지만, 정치에 대한 관심이 진영싸움으로 귀결되면서 제대로 잘잘못을 가리지 않고 자기진영의 주장은 무조건 옹호하고 상대진영의 주장은 무조건 비난하는 편가르기로 매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결국 사회연대감의 약화로 사회의 갈등은 점점 깊어 가고 있다. 국민주권의 보장, 인권과 자유의 보장, 경제적 안녕을 전제로 한 민주주의 의식의 사회적 확산이 새롭게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우리 사회의 갈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우리 헌법에서 규정한 자유민주주의제도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부족도 한 원인이라는 점에 반대할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교과서에서 민주주의를 배웠지만 민주주의의 이론적 토대와 역사적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였다. 자유를 배웠지만 자유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배우지 못하였다. 우리 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성숙한 시민사회로의 발전이 절실하다. 성숙한 시민사회는 상호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도 공동의 가치와 연대성이 형성된 사회를 의미한다. 민주주의의 가치 함양을 통해 성숙한 시민사회로 전환될 때, 보편적 가치의 공유와 함께 사회적 통합도 이루어질 수 있다. 사회적 차원의 통합은 성숙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포용력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가능하다. 사회적 포용력은 공통의 가치, 즉 대한민국의 기본적인 가치인 자유민주주의제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함은 당연한 일이다. 다양한 국가의 정치현상과 구조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국가와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연구하는 비교정치에 대한 보다 용이한 접근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이 책은 각국의 정치제도, 정치구조, 정치과정 등을 비교 · 분류하는 방식의 기존 비교정치 교재 집필 방식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분과 학문으로서 비교정치만이 지니고 있는 이론적 패러다임과 각 장마다 저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데 주력하였다. 따라서 이 책의 전반부에서는 비교정치 분야에서 발생한 최근의 이론적 발전을 충실하게 반영하고자 크게 정치문화론, 제도주의, 합리적 선택이라는 세 가지 이론적 패러다임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다. 이처럼 이론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자칫 추상적인 논의에 머물 수 있는 위험을 극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이론적 접근을 이해하기 위한 적절한 적용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접근에 중점을 둔 전반부 이후에는 정당과 선거, 정치권력, 정치경제, 정치발전론과 민주주의 공고화, 사회운동, 세계화 등 비교정치의 구체적인 연구 분야에 대한 장들을 수록하였다. 각 장의 구성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비교정치의 진화와 방법론’으로 비교정치의 의의, 비교정치의 역사와 최근 경향, 비교정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는 전기행태주의에서 행태주의, 나아가 탈행태주의에 이르기까지 비교정치의 이론적 발전과정을 개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후의 장들에서 다루어질 세부 사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또한 실질적인 연구에 활용되는 방법론에 대해서도 간략히 다룸으로써 이 책에서 집중하는 이론적 패러다임이 정치현상에 대한 경험적 분석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제2장은 ‘정치이념’이다. 정치이념은 이상적인 정치목표를 설정해주는 지표가 되어주며,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접근방법이자 정치세계 등에 대한 신념이나 믿음의 포괄적인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 장에서는 고전적 자유주의, 현대적 자유주의, 급진주의, 보수주의 등의 주요 정치이념들의 주요한 특징과 탄생, 그리고 발전을 역사적 맥락과 연결시켜 살펴본다. 이러한 네 가지 사상적 기조는 행위의 합리적 논리구조와 저항의 논리구조를 형성해 주는 것은 물론 다양한 정치학 이론의 근원을 형성하는 것이기에 비교정치 이론에 대한 효율적이고 본질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정치사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다. 그리고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상생(相生)의 정치경제학을 위하여』를 집필하면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보완 또는 인용하였다. 제3장은 ‘국가론’이다. 국가는 정치학 연구의 가장 중심적인 주제였다. 특히 비교정치의 태생은 여러 다른 국가들의 체제와 조직을 비교하는 데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에서 근현대의 마키아벨리와 케인스에 이르기까지 국가에 대한 연구는 정치학의 빠질 수 없는 연구 대상의 하나였다. 국가의 개념과 연구방법은 연구자와 연구 주제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었다. 국가는 국민 · 영토 · 주권을 포괄하는 매우 큰 개념으로부터 개인들의 사회적 이익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되는 매우 협소한 개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이 책에서는 가장 거시적이고 일반적인 국가의 개념으로써 국가의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추는 법적 · 역사적 접근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체계론, 구조기능주의, 계급주의, 다원주의 등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국가를 설명하는 서로 다른 방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제4장은 ‘정치문화’에 대한 장이다. 정치현상을 포함한 인간의 활동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어떠한 존재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행위자의 정치적 태도와 행동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다양한 정치적 태도와 행동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정치문화적 접근은 비교정치의 주요 패러다임 중 하나로 심리적 · 성향적 접근방법에 의하여 체계화된 이론이다. 비교정치에서 연구되는 문화의 일반적인 특징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해 나가는 데 사용하는 의미의 체계라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들이 어떻게 집단을 구성하고 그들의 넓은 문제의 범위에서 행동할지에 관해 중요한 영향을 주는 사회의 근간이자 정치적 정체성(political identity)이라는 것이다. 이 장에서는 정치문화에 대한 제반 이론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합리적 선택과의 분석틀로서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였다. 제5장은 ‘합리적 선택’이다. 인간의 행동 가운데 의도적 행동은 합리적 성격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합리적 행위가 지닌 특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사회 현상의 인과적 메커니즘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 합리적 선택 이론(rational choice theory)이다. 합리적 선택 이론은 공공선택 이론, 사회선택 이론, 게임 이론, 합리적 행위자모형, 실증적 정치경제, 그리고 정치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법 등으로 달리 표현되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 이론이 기존의 이론과 달리 단일 이론이라기보다는 집합체적 성격을 가지기 때문이다. 합리적 선택 이론은 가치효용론(Value-utility theory), 게임이론(game theory), 그리고 사회적 선택 이론 혹은 의사결정론(social choice or decision- making theory)을 포함한다. 비교정치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합리적 선택 이론의 발전배경을 살펴보고, 합리적 선택 이론에서 가정하고 있는 합리성의 개념에 관해 소개하며 합리적 제도주의와 다음 장에서 다룰 역사적 제도주의와의 차이점을 사례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제6장은 ‘제도주의’이다. 기본적으로 정치학에서 제도는 헌법, 법률, 규범과 같은 공식적인 정치기제를 일컬어 왔으며 이러한 공식적 제도에 초점을 맞추는 구제도주의는 전기행태주의 시대의 주된 접근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장에서 비교정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강조하고 있는 신제도주의는 앞서 서술한 공식적인 정치적 메커니즘과는 달리 관습과 규범, 나아가 관념(idea)에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대상을 제도적 실체로서 규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비교정치 연구의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장시켜주고 있다. 이 같은 제도주의 이론의 발전과정을 살펴봄과 동시에 구제도주의와 신제도주의가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지, 구제도주의와 신제도주의의 특징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신제도주의 이론 가운데서도 특히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법의 특징은 무엇인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특히 제도를 독립변수로서 취급하는 접근법, 경로의존성의 개념 등에 대한 심화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7장은 ‘정치구조’이다. 오늘날 지구상에 존재하는 일정수준 이상의 문명발전 단계를 지닌 국가에 있어 삼권분립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었다. 이는 민주주의의 이념과 원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행정부와 입법부, 그리고 사법부로 이루어진 국가의 형태는 그 실질적인 삼권분립의 양태와 관계없이 외형적 구조로 보편화되어 있다. 정부, 입법부, 사법부는 각각 시대별 · 국가별 특수한 상황에 따라 한 국가의 정치적 영역 속에서 그 역할과 한계가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다양한 논의의 핵심은 삼권의 힘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나누어 국가를 유지해 나가는 것이 좋은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같은 정치구조를 구성하는 논리의 우선적인 원칙은 민주주의의 원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7장에서는 정치적 구조의 배열을 구성하는 민주주의의 원리, 민주주의의 역사적인 변천과 발전과정, 정치구조에 있어 가장 큰 주체들인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그리고 관료제의 국가별로 다양한 구조들을 살펴보았다. 그 외로 정치적 행정부의 역할과 입법조직 구성과 역할 그리고 사례로서 한국의 입법절차를 포함하였다. 제8장은 ‘정당과 선거’이다. 정당은 현대정치의 꽃이라 불린다. 이는 국민의 의사를 집약, 대변하고 국가와 시민사회의 중간적 위치에서 대의정치의 핵심인 선거를 중심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이다. 현대정치의 꽃이라 불리는 정당은 그 실질적 역할의 비중에 강약이 있을지언정 민주주의에서 권위주의, 공산주의 국가에 이르기까지 모두 존재한다. 정당은 각각 시대별 · 국가별 특수한 상황에 따라 한 국가의 정치적 영역 속에서 그 역할과 한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정당의 기원과 역할에서부터 정당의 종류와 정당체제에 이르기까지 정당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민주주의의 가장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는 선거의 의미와 다양한 선거체제가 가지는 장 · 단점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선거과정에서 유권자들이 어떻게 자신의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는가에 대한 문제와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현대 선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떠오른 여론조사 방법론과 선거사례를 추가하였다. 제9장은 ‘정치권력’이다. 권력은 누구나 소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가치를 배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 배분되는 가치를 받는 사람이 있다. 가치를 배분받은 사람들 중에서도 모두 동등한 가치를 배분받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몫이 큰 사람이 있는가 하면, 반면에 작거나 전혀 받지 못한 사람도 있다. 이 모든 현상 속에서 이미 권력을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가 분리된다. 이때 권력을 장악하고 있는 사람들을 우리는 엘리트라고 부른다. 정치권력에서는 엘리트에 대한 다양한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각의 엘리트 이론들은 저마다 엘리트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분석을 하였다. 모든 엘리트 이론이 공통적으로 전제하는 것은 정치권력의 세계에서 엘리트는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우리는 그 존재를 부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현실 세계에 민주주의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근대적인 이론가들 중에는 이러한 엘리트 집단의 통합성과 응집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엘리트는 서로 경쟁적인 복수엘리트로 구성되어 있다는 다원적 견해를 제기하기도 한다. 다양한 엘리트들이 일반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한 경쟁을 통해서 민주주의적인 가치가 실현된다고 본다. 무엇보다 현대 사회의 엘리트는 누구인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10장은 ‘정치경제’이다. 정치학과 경제학이 학문적 영역에서는 물론이고 현실적인 영역에서도 상당히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학과 경제학이 기본적인 사회 메커니즘과 체제를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에 공동으로 관여해야만 한다고 판단된다. 현대 비교정치에서도 경제학과의 밀접한 상호연결성 속에서 진행되며, 오래 전부터 정치경제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왔다. 한편으로 보다 현실적인 측면에서 이는 현대적 정치체제의 근간을 이루는 민주주의와 현대 경제생활의 주된 원리인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 상호 간의 갈등과 조화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지배계급과 질서 유지에 기여하는 정치경제학을 비판했다. 하지만 정치경제학의 근본 취지는 경제와 정치의 관계에 주목하여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상호보완적 발전을 모색했다는 점이다. 이 장에서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관계 등 현대 정치경제 이론의 핵심적인 문제의식과 쟁점들을 중심으로 국가와 시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외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상생(相生)의 정치경제학을 위하여』를 집필하면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보완 또는 인용하였다. 제11장은 기존의 2개 장을 통합한 ‘정치발전론과 민주주의 공고화’이다. 정치발전론은 전후 사회과학계를 풍미했던 근대화 이론의 영향하에서 탄생하였다. 단순히 서구만의 전유물로서가 아닌, 인류 역사를 결정적으로 변화시킨 근대화(modernization)에 대한 학문적인 규명을 위한 도전은 정치 영역에서의 근대화와 발전에 관한 논의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다원주의적 민주정치체제로의 발전과정을 구조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했던 정치발전론을 통해 비교정치의 전통적이고 중요한 테마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치발전론은 구조적인 동시에 과학적인 분석을 위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 및 상관관계의 규명, 통계적 기법의 활용 등 현대 비교정치의 방법론과 이론들을 구성하는 재료를 제공한 모태가 되었다는 측면에서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20세기 말, 냉전의 종식을 전후하여 제3세계 권위주의 체제와 소련을 비롯한 사회주의권 국가들과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민주화는 민주주의 전환과정에 대한 과학적 설명의 필요성과 함께 이렇게 전환된 신생 민주주의 국가들의 민주정치체제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필요조건들에 대한 의문들을 제기하였다. 특히 민주주의 전환에 대한 연구자들은 구조적이고 역사적인 제약요인들뿐만 아니라, 행위자들의 전략적 선택에 대해서도 세밀한 분석을 발전시켜 왔다. 비민주적 상태에서 민주적 상태로 전환하는 민주주의 전환에 있어서 그 과정과 조건, 방법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봄과 함께, 민주주의 전환만큼이나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공고화의 요건과 시민사회, 국가 능력과의 연관성도 알아보았다. 제12장에서는 ‘사회운동’을 다루었다. 이 장에서는 사회운동의 개념과 역사적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이론의 전개와 그 운동의 주체인 집단들이 어떻게 형성되며 조직되는지에 관한 이론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순차적인 이해를 위하여 본 장에서는 사회운동을 비정상적인 현상으로 취급했던 전통적인 이론을 간략히 소개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 제시된 합리성에 기반을 둔 자원동원론과 가치관 변동에 중점을 둔 신사회운동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두 접근에 대한 수정적 이론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구성주의적 사회운동론을 다루었다. 제13장은 ‘세계화’라는 제목으로 글로벌한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비교정치 연구를 위한 기초 이론들을 수록하였다. 세계화(globalization)는 국가경계의 폐쇄성을 약화시키고 각종 이해관계가 국가경계를 넘어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각 국가의 정치체제와 정치행위자들에 대한 비교연구를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국제적 차원과 연결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제체계를 경쟁적인 체계 혹은 합의와 질서의 체계로 보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라는 대표적인 두 조류에 대하여 검토한 뒤, 세계화로 불리는 세계적인 정치 · 경제적 통합 조류를 논의하면서 새로운 통계치를 참고하여 수정 · 보완였다. 세계화와 관련하여 특히 본 장의 후반부에서는 각 국가들의 정책모델을 수렴시키는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의 형성 및 그 과정과 분리될 수 없는 테크노폴(technopol)의 역할과 전략적 행위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한 문헌들을 소개하였다. 원고를 추스르며 풍요롭게 하는 과정에서 함께 고민을 나눈 지도교수인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Nora Hamilton 교수와 정치경제에 관심을 갖게 해주셨던 작고하신 John Elliott 교수, 청주대학 유호근교수, 이화여자대학 박인휘교수, 공군사관학교 박봉규교수, 탄자니아 다르에살렘대학 한국학연구센터 Suphian 박사 그리고 집필을 돕고 이 책을 만들게 된 동기를 제공해 준 이제는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대학원 제자들 이종용, 최돈위, 신정섭, 최의석, 홍영민, 유신희, 송현석, 강신양 그리고 교정 작업을 도와준 유럽-아프리카 연구소 연구원 신도, 안호찬이 있었다. 그리고 부족한 연구책임자에게 항상 힘을 실어주시는 한국연구재단지원 신흥지역연구과제와 대학중점연구소 연구과제의 공동연구원 배재대 김정숙교수, 한국외국어대학 이한규교수, 한양대 최태현교수, 뉴욕주립대 이진상교수, 서울대 김태균교수, 한양대 이훈교수, 성균관대 조원빈교수들이 있다. 이들이 있었기에 전체적인 구상과 원고 작업이 진행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하면서 고민했던 부분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그리고 원고를 정리하고 마무리하는 데 끝까지 도움을 준 많은 고마운 분들, 특히 유럽-아프리카 연구소 심승우 부소장과 이충희교수 그리고 정유진 연구원, 건국대 전영선교수가 있었다. 감사하며 잊지 않을 것을 약속한다. 그리고 쉽지 않은 상황에서 출판을 추진시킨 박영사의 임재무이사와 편집을 알차게 맡아준 노현이사에게 감사드린다. 항상 나에게 힘과 용기를 주는 나의 아내 계령과 아들 용권 그리고 마지막까지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어른이 계신다. 정치에 관심을 갖게 해주시고 학문의 길로 인도해주신 항상 나의 주변에 계셨던 분이다. 아버님을 보낸 지도 어언 몇 해가 지났지만 생전의 모습과 말씀은 갈수록 새롭다. 아버지의 현실정치에 대한 경험은 내가 정치학을 새롭게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조금 더 함께 하는 시간이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너무나도 많이 남는다. 책 서두에 이렇게 아버지에 대한 이름이라도 올리는 것이 자식된 뒤늦은 도리인가 싶다. 감사한 마음으로 아버님 영전에 책을 올린다. 초판에 비하여 많은 부분들이 수정 그리고 보완되었지만 개정판을 내기로 마음먹고 계획했던 많은 내용들이 모두 보완되지 못한 것 같다. 다음을 기약하며 이 순간부터 준비해야겠다. 2019년 2월 1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