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추천사
목차 완벽한 투구를 만드는 가지 키워드 투구의 기본 [멀티앵글 연속동작] - 전체적으로 유연한 자세로 투구를 한다 - 어깨부터 팔꿈치까지 활처럼 휘게 한다 - 던지는 방향으로 글러브와 내딛는 발을 내민다 - 손등이 전방을 향하게 하고 손을 귀 쪽으로 올린다 강한 하체 만들기 하체 강화 훈련 ① 달리기 하체 강화 훈련 ② 땅볼 포구 연습량 조절하기 축을 만드는 방법 몸 안의 힘을 이용하기 몸의 회전 축을 회전하는 방법 상·하체 동작 다리 들어 올리기 [멀티앵글 연속동작] - 들어 올린 발을 지면 근처로 낮춘 다음, 앞으로 내딛는다 - 발 뒷면이 지면에 스치듯이 뻗으며 나아간다 중심 이동 내딛는 발 [멀티앵글 연속동작] - 릴리스하는 순간에 축을 회전시킨다 - 발을 내디딜 때까지는 상반신만으로 축을 만든다 릴리스와 중심 이동의 관계 릴리스 포인 가슴을 펴는 자세 공의 위치 중심 이동과 축의 회전 팔 휘두르기 좌우 팔의 균형 투구할 때 시선 처리 ① 투구할 때 시선 처리 ② 릴리스 후 팔의 움직임 투구 후의 움직임 PITCHING COLUMN 변화구 익히기 변화구의 종류 커브 & 슬로 커브 - 타자의 타이밍을 흐트러뜨리는 기본 변화구 - 손목을 구부려서 공에 회전을 더한다 - 손목을 비틀어 릴리스한다 - 릴리스 후에는 몸을 휘감듯 팔을 뺀다 [멀티앵글 연속동작] - 옆에서 본 슬로 커브 - 앞에서 본 슬로 커브 - 뒤에서 본 슬로 커브 - 옆에서 본 커브(좌완투수) - 앞에서 본 커브(좌완투수) - 뒤에서 본 커브(좌완투수) 슬라이더 - 타자의 헛스윙을 노리고 옆으로 날카롭게 휘어지는 변화구 - 공의 중심에서 조금 비켜나 잡는다 - 중지로 공을 끊어내듯이 릴리스한다 [멀티앵글 연속동작] - 옆에서 본 슬라이더(좌완투수) - 앞에서 본 슬라이더(좌완투수) - 뒤에서 본 슬라이더(좌완투수) 슈트 - 공을 던지는 팔과 같은 방향으로 변화한다 - 공의 중심보다 약간 안쪽을 잡는다 [멀티앵글 연속동작] - 옆에서 본 슈트 - 앞에서 본 슈트 - 뒤에서 본 슈트 포크볼 - 날카로운 변화로 헛스윙을 노리는 승부구 - 공을 손가락 사이에 낄 수 있도록 손가락 사이를 넓힌다 - 포크 볼을 구사하기 위한 트레이닝 [멀티앵글 연속동작] - 옆에서 본 포크볼 - 앞에서 본 포크볼 - 뒤에서 본 포크볼 싱커 & 스크루 볼 - 타자의 무릎 쪽으로 휘어지며 떨어지는 변화구 - 팔꿈치를 비튼다 [멀티앵글 연속동작] - 옆에서 본 싱커 - 앞에서 본 싱커 - 뒤에서 본 싱커 PITCHING COLUMN 주자의 진루 상황별 투구법 [멀티앵글 연속동작] - 옆에서 본 세트 포지션 - 앞에서 본 세트 포지션 - 뒤에서 본 세트 포지션 - 옆에서 본 퀵모션 - 앞에서 본 퀵모션 - 뒤에서 본 퀵모션 루 견제구 루 견제구 루 견제구 베이스 커버와 필딩 PITCHING COLUMN 투구에서의 문제와 해결법 불안정한 몸의 균형 성장기의 트레이닝 구위를 떨어뜨리는 불완전한 중심 이동 제구가 불안정할 때 ① 제구가 불안정할 때 ② 구속을 향상시키는 훈련법 하체 강화 트레이닝 ① 하체 강화 트레이닝 ② PITCHING COLUMN 투구 향상을 위한 전용 트레이닝 트레이닝의 개요 어깨, 팔꿈치, 팔 근육 강화하기 어깨, 견갑골의 유연성 기르기 근육의 미세한 움직임을 의식하기 투수의 생명은 강한 하체 한 발로 균형 잡는 감각 기르기 마치는 글 |
강한 하체는 투수의 필수 조건이다
하체의 안정은 투수에게 가장 중요하다. 하체가 불안하면, 축이 되는 발로 중심을 잡고 섰을 때 몸이 흔들려 균형을 유지할 수 없다. 또한 내딛는 다리의 근력이 약하면 체중 이동 시 집중되는 무게를 지탱할 수 없다. 강한 하체는 달리기나 근력 운동을 통해 단련할 수 있다. 투구 연습을 할 때는 ‘잘 던지냐 못 던지냐’에 초점을 맞추기에 앞서, 하체 강화 훈련의 일환이라 생각하고 연습에 임해야 한다. ---p.23, '01 투수의 기본' 중에서 글러브를 몸 쪽으로 끌어당겨 축을 빠르게 회전한다 투구하는 자세로는 오버스로, 스리쿼터, 사이드스로 등이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동작은 모두 같다. 글러브를 몸 쪽으로 강하게 끌어당겨 축을 회전시킨다. 글러브를 느슨하게 끌어당기면 축의 회전 반경이 넓어져 회전 속도가 느려진다. 공을 머리 뒤로 들어 올릴 때에는 반드시 공이 타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고, 채찍을 휘두르듯 이 팔을 뻗어 투구한다. 투구할 때 팔이 축에서 멀어지게 되면 힘이 바깥으로 분산되어 속도가 떨어진다. ---p.37, '01 투수의 기본' 중에서 직구와 함께 배합하여 타자의 타이밍을 빗나가게 한다 기본적인 변화구인 커브는 타자의 가슴이나 허리 부근에서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여 스트라이크존의 약간 낮은 지점을 목표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변화구 중에서 속도가 느린 변화구로 그다지 날카롭지도 않으므로 잇따라 헛스윙을 노리는 구종은 아니다. 하지만 연습하기에 따라 다른 어떤 변화구보다도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직구와 함께 섞어 던져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거나, 투구 수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에 가장 적합한 구종이다. ---p.77, '02 변화구 익히기' 중에서 180도 몸을 회전하여 송구한다 2루로의 견제구는 투구판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던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체는 180도 회전하지만, 팔을 재정비할 필요 없이 바로 송구가 가능하다. 투구판를 디딘 채 투구 동작을 하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발을 올렸을 때의 반동을 이용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하면서 송구를 하기 위해 팔을 재정비해야 한다. 단, 1루 견제 때와는 달리 도중에 송구하지 않아도 보크가 되지는 않는다. ---p.141, '03 주자의 진루 상황별 투구법' 중에서 양 어깨와 배꼽을 연결해 만든 삼각형이 정면을 향한다 릴리스할 때의 자세 또한 제구력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릴리스 전의 투구 동작에서는 몸이 옆쪽을 향하지만, 릴리스할 때에는 상체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해 정면을 향한다. 아직 회전이 끝나지 않았는데 릴리스를 하게 되면, 손끝에서 떨어져 나간 공이 목표 지점으로 가지 않는다. 몸이 정면을 제대로 향했는지 알려면, 양 어깨와 배꼽을 잇는 삼각형이 정면을 향하는지를 확인하면 된다. ---p.156, '04 투구에서의 문제와 해결법' 중에서 |
생생한 멀티앵글 연속사진을 통해
피칭의 기본기술과 자세교정법, 다양한 구질에 대한 설명과 훈련법을 알기 쉽게 담은 전문 야구 교본 전 두산 베어스 감독이자 신생구단 NC 다이노스 김경문 감독이 감수하고 추천하는 최고의 피칭 기술서! 중심 이동, 밸런스, 릴리스 포인트 등 피칭 실력을 향상시키는 핵심 포인트를 철저히 분석하고 마스터함으로써 완벽한 피칭을 구사한다 프로야구 600만 관중을 넘어 700, 800만을 바라보고 있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 야구에 대한 열기는 뜨겁다. 그리고 그에 따라 사회인 야구 동호회나 유소년 야구단 등 참여 스포츠로써 야구를 즐기는 사람들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투수 가이드]는 이러한 야구인들이 좀 더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야구 기술을 익히고 즐길 수 있도록 만든 전문 야구 교본이다. 피칭에 관한 기초부터 전문적인 기술 및 훈련법을 알기 쉽게 설명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 기술과 노하우를 소개하여 자가 훈련 및 코칭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감수 또한 베이징올림픽에서 대표팀을 이끌어 9전 전승 금메달이라는 신화를 이룬 김경문 감독이 맡은 최고의 피칭 기술서이다. [투수 가이드]는 기본기 단련을 중심으로 피칭의 다양성과 견고함을 더할 수 있는 훈련법들로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올바른 투구폼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정확히 동작을 제시하고 제구력과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훈련법을 소개하며, 2장에서는 변화구에 대한 설명과 공 쥐는 법, 구질에 따른 투구 동작을 자세히 소개한다. 3장과 4장에서는 주자 진루 시의 마운드 테크닉을 다양한 상황별로 설명하고, 투구 시 겪게 되는 문제점의 원인을 찾아 실력을 향상시키는 해결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마지막 5장에서 이 모든 피칭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투수 전용 트레이닝을 소개함으로써 투수로써 갖추어야 할 모든 준비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투수 가이드]의 가장 큰 특징은, 동작 하나하나를 ‘front, side, back, top’ 등 다양한 각도에서 연속적으로 촬영한 사진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매우 세밀한 부분까지 정확히 익힐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또한 각 동작에서 유념해야 할 포인트와 강조표시를 함께 곁들여 자칫 잘못될 수 있는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세확인 및 훈련법을 통해 혼자서도 자세교정과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