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6만 시간
『6만 시간』 창작 노트 |
저박현숙
지금 우리 집에서 내 위치를 말하자면 그저 밥이나 얻어먹고 밥값으로 학교에 다녀오면 가게에서 서빙하고 청소하는 처지다. 고등학교까지야 어쩔 수 없이 다닌다 쳐도 대학교를 가면 좋고 안 가면 할 수 없는 아이로 낙인찍혔다. 안 가면 할 수 없는 게 아니라 안 가면 쓸데없는 데 돈 안 쓰고 좋은 일이라고 아빠는 말한다. 어차피 공부에는 뜻도 없는 아이, 공연히 시간 낭비 돈 낭비할 필요 없다고 말이다.
--- p.7 영준이와 나, 그리고 영준이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기승이와 준이, 이렇게 넷은 단톡방을 만들었고 주로 그곳에서 소통한다. 영준이가 가끔 전화를 하고 늦은 밤 가게 근처로 찾아오기도 하지만 그건 하나의 사건이 끝났을 때의 일이다. --- pp.17-18 “나는 그저 혼내줄 뿐이야. 정신 차리게.” 영준이가 말했다. 나는 영준이 말이 무슨 뜻인지 이해할 수 없었다. --- p.35 “귀 닫고 입 닫고 그러고 살면 편한 거 같아도 사실 그렇지 않아. 그러면 마음속에 가스 같은 게 차거든. 그 가스가 언제 어느 때 터질지 몰라. 그건 훨씬 더 위험한 일이야. … 방귀를 뀌고 싶으면 그때그때 뀌어주어야지 참고 참으면 나중에는 더 지독한 방귀가 되는 거야. 그러니까 그 뭐냐, 언제 어느 때고 존재, 네 존재를 알리란 말이야. 나는 나다! 나는 여기에 있다!” --- pp.116-117 초등학교 때부터 늘 맞고 살면서 왜 맞아야 하는지 궁금해한 적이 없었다. 처음에는 친절하게 이유를 설명하고 때리던 아이들이 어느 날부터인가는 생략했다. 그냥 때렸고 나는 그냥 맞았다. --- pp.161-162 “너와 영준이는 여성 혐오자들이야.” 나와 영준이가 여성 혐오자라니 도대체 설아는 무슨 근거로 그런 말을 하는 걸까. 혹시 내 안에 내가 모르고 있는 내가 있는 걸까. --- pp.176-177 “우리 큰누나한테 왜 그래?” “좀 전에 말했잖아. 잘난 척해봤자 별거 아니라는 걸 알려주고 싶어서 그런다고.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 내가 네 누나한테 심하게야 하겠니? 절대 그렇지 않아.” --- p.194 영준이는 자신의 생각만으로 엄마를 미워하며 증오를 키웠고 그 증오는 영준이 가슴을 파랗게 멍들게 했다. 아무 상관도 없는 여자아이들을 증오하고 미워했다. 짱구 형이 걸핏하면 아이들을 두들겨 팼던 것처럼. 나는 영준이가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는 짱구 형이 불같이 보냈다던 시간을 계산해봤다. 열세 살부터 열아홉 살까지 어림잡아 6만 시간 정도였다. 6만 시간 동안 불을 끌어안고, 미움을 끌어안고 사느라고 얼마나 힘들었을까. 나는 영준이가 그렇게 사는 거 싫다. 짱구 형 말대로 그 시간에 우리가 할 일이 얼마나 많은데. --- p.233 “살아보니 인생의 계절은 조금 달랐다. 봄에 개미가 되지 않았다고 해서 인생이 망쳐지는 것은 아니었다.” 인생의 계절은 일반적인 계절과는 좀 다르다. 봄에 변변치 않은 씨앗을 뿌리고 그걸 돌보지 않았다 하더라도 여름과 가을에 몇 배 더 열심히 일하면 기회는 찾아온다. 6만 시간은 열세 살부터 열아홉 살까지의 청소년기를 어림잡아 계산한 시간이다. 이 책이 독자들 마음에 진심으로 다가가길 바란다. 그래서 지금 6만 시간을 살고 있는 독자들이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계절, 한 번 지나면 경험해볼 수 없는 그 계절을 후회 없이 만끽하길 바란다. --- 「작가의 창작노트」중에서 |
“귀 닫고, 입 닫고 살면 편한 거 같아도 사실 그렇지 않아.
그러면 마음속에 가스 같은 게 차거든. 그 가스가 언제 어느 때 터질지 몰라.” “방귀를 뀌고 싶으면 그때그때 뀌어주어야지 참고 참으면 나중에는 더 지독한 방귀가 되는 거야.” ‘서일’이는 건물주의 아들이다. 하지만 서일이 아빠는 단 한 번도 서일이에게 건물을 물려준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 아빠는 이미 오래전에 서일이를 포기했다. 어차피 공부에는 뜻도 없는 아이에게 공연히 시간 낭비, 돈 낭비할 필요 없다고 말이다. 원래는 큰누나가 건물주 대기 1호, 작은누나가 건물주 대기 2호였다. 그런데 아빠의 전부였던 큰누나가 서울대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길에 오른 지 2년 만에 바람난 외국 남자에게 차이고 아빠에게 붙들려 왔다. 그 뒤로 ‘치킨의 장인’이 되는 게 자신의 오랜 꿈이었다며 대학원도 안 가고 집에서 두문불출, 치킨 레시피를 연구하며 아빠 속을 뒤집는다. 큰누나의 존재에 가려졌던 작은누나는 고등학교 때부터 연애의 달인이었고 전문대를 졸업하자마자 혼전 임신을 해 결혼했다. 중학교 2학년인 서일이는 초등학교 때부터 늘 맞고 다니는 아이였다. 뒤탈이 무서워서 맞으면서도 달려들지 못하고, 왜 맞아야 하는지 궁금해 하지도 않았다. 그래서인지 처음에는 친절하게 이유를 설명하고 때리던 아이들도 어느 날부터인가는 그조차도 생략했다. 아이들은 그냥 때렸고 서일이는 그냥 맞았다. 그런 서일이를 친동생처럼 잘 챙겨주는 ‘짱구 형’은 서일이의 아빠가 운영하는 치킨집 아르바이트생이다. 열다섯 살 미혼모에게서 태어나자마자 버려져 보육원에서 자라면서 방황도 많이 했으나 지금은 자신의 치킨 집을 내는 꿈만 생각하고 성실하게 잘 살고 있다. 중학교 2학년이 끝나갈 무렵, 머리부터 발끝까지 명품에, 공부도 잘하고, 잘생긴, 어느 것 하나 부족해 보이지 않는 ‘영준’이가 서일이네 반으로 전학을 오게 된다. 영준이는 서일이를 인정해주는 최초의 사람이었다. 처음에는 이용해 먹으려고 잘해주는 척하는 거라고 믿었고 시키는 일을 하지 않으면 괴롭힐 거라고 생각해서 시키는 대로 했었다. 하지만 영준이는 다른 아이와 달랐다. 영준이는 서일이의 그늘막이 되어주었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누구도 모르게 억울함과 분노를 처리해주었다. 은밀하고 영리하게! 영준이와 서일이, 그리고 영준이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기승이와 준이, 이렇게 넷은 단톡방을 만들었고 주로 그곳에서 소통한다. ‘이번에는 누구지? 누가 영준이 눈에 들어왔을까?’ 단톡방에서 벌어지는 ‘6만 시간’의 비밀은 과연 무엇일까? 그리고 ‘짱구 형’이 자신처럼 되지 말라면서 그토록 말해주고 싶었던 ‘6만 시간’의 의미는 어떤 것이었을까? |
“싫으면 싫다고 말해도 돼. 하기 싫으면 안 한다고 해도 돼.
너한테도 그럴 권리가 있어. 그 권리는 누구나에게 다 주어지는 거야.”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가치관이 형성되고 자아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는 십대 시절, 가족과 친구 관계가 얼마나 영향력이 있는지 작가는 이야기를 통해 소상히 보여준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명품에, 공부도 잘하고 잘생긴, 무엇 하나 부족함이 없을 것 같은 ‘영준’이에게도 치명적인 결핍이 존재했다. 그로 인해 영준이는 삐뚤어진 관념에 사로잡혀 잘못된 길을 걷고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 때부터 늘 왜 맞아야 하는지 따지지도 못하고 때리면 그냥 맞기만 하던 ‘서일’이에게 큰 깨달음을 주는 치킨집 아르바이트생 ‘짱구 형’. 등장인물들 간의 긴밀한 대화와 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은 ‘6만 시간’의 수수께끼를 풀 수 있는 열쇠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나중에 나이가 들게 되면 학창시절로 돌아가고 싶을 것이라는 영어 선생님의 말을 기어코 믿지 않았다고 한다. 힘들고 아프고 숨통을 조이는 시절을 절대 그리워하는 일은 없을 거라고 말이다. 살아 보니 그 시절에 대한 ‘그리움’보다는 문득 ‘후회’가 밀려올 때가 있다고 고백했다. 이미 한 번 지나간 시간으로는 돌아갈 수 없기 때문이란다. 미움과 원망만을 끌어안고 사느라 미처 보지 못한 것들이 후회로 남는다고 했다. 지금 현재, 6만 시간을 살고 있는 독자들이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계절, 한 번 지나면 경험해볼 수 없는 그 계절을 만끽하길……. 6만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는 각자의 마음이다. 다만 나중에 후회하지 않기만을 경험자로서 간절히 바라며 작가는 이 이야기를 썼다. |
박현숙 작가는 문제적 이야기꾼이다. 그가 소망하는 세상을 재미와 감동의 코드로 맛나게 버무려낼 줄 아는 탁월한 작가이다. 그 이야기의 힘은 신화, 전설, 민담에서 체험하는 것처럼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로 인도하는 든든한 버팀목이자 최후의 희망이다. 작가는 우리 시대에 꼭 필요한 이야기를 알리바바의 주문처럼 신비로우면서도 할머니의 자장가처럼 정겹게 들려준다. 그 이야기는 통쾌하고 뭉클한 대사들을 쏟아내며 청소년 문제의 본질을 이끌어낸다.
이 책 『6만 시간』을 숨 막히는 긴장감으로 읽었다. 시간의 사유로 이끌어주는 작가의 마법에 걸려드는 즐거움은 뭉클했다. 그 이야기의 힘은 카타르시스이며 인생 공부가 된다. 이야기에는 소외, 학교폭력, 가정불화, 사춘기의 방황 등 남다른 사연의 청소년들이 등장한다. 그 사연 속에서 나의 아픔과 등장인물의 아픔이 서로 껴안을 때, 여러분은 6만 시간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 박명순 (문학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