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하나. 봉사 자세
1 가정 내 외부인 2 고통에서 기쁨으로 3 진정한 봉사 4 봉사 자세 개발하기 둘. 남편과 아내 사이의 친밀감 5 친밀감이 중요성 6 결혼생활에서의 친밀감 이해하기 7 결혼생활에서의 친밀감 개발하기 셋. 가르치고 훈련하는 부모 8 마차 바퀴의 균형 유지하기 9 사랑이라는 윤활유 10 창의적으로 가르치기 11 지속적으로 훈련하기 12 가르치고 훈련하는 기술 개발하기 넷. 부모에게 복종하고 부모를 존경하는 자녀 13 복종은 부정적인 말이 아니다 14 다른 사람을 존경하는 아이로 양육하기 15 공경의 선물 다섯. 사랑의 지도자 16 사랑의 지도자인 남편 17 사랑의지도자인 아버지 18 자신의 지도력 평가하기 19 사랑의 지도자로 성장하기 위하여 20 격려라는 아름다운 기술 에필로그 |
저게리 채프먼
Gary Chapman
고대 희랍에서는 말로 가르치거나 행동으로 훈련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자녀를 양육했다. 한쪽 바퀴가 진흙에 빠져 질질 끌리는데 나머지 바퀴로 마차를 끄집어내려는 것은 결국 자녀를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고 심한 죄절감을 맛보게 한다. 사실 서구사회의 많은 가정에서 이런 일이 흔히 발생한다. 아동 학대가 전대미문의 기록을 세우고, 부모와 자녀가 언성을 높이는 것이 이제 수많은 가정의 보편적인 현상이다.
어떤 가정에서는 가르치고 훈련하는 방식을 변형하여 부모 중 한쪽이 훈련하는 길을 택하는 동안 다른 쪽은 가르치는 길을 택한다. 이 방법은 자녀를 더 혼란에 빠뜨린다. 아이는 말해야 할지 행동해야 할지 분간하지 못하고, 남편과 아내가 그 역할을 번갈아 하는 동안 아이는 안정감을 잃어버린다. 아이는 자기 방식을 획득하기 위해 부모가 경쟁하도록 싸움을 유도하고 결국 모두가 실패한다. 행복한 가저에서는 부모가 가르치는 것과 훈련하는 것의 균형을 유지한다. 부모는 서로를 배척하는 대상이 아니라 동료로 본다. 이렇게 균형을 유지하려면 부모가 시간을 들여 자신의 보모역할 스타일을 분석해서 장점과 단점을 찾아낸 후, 가르치는 것과 훈련하는 것을 적절히 안배하는 중도적인 방식을 취햐야 한다. --- p.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