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12,000
10 10,800
YES포인트?
120원 (1%)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문학과지성 시인선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책소개

목차

시인의 말

두두
그대와 산
봄과 밤
4월과 아침
봄날과 돌
봄과 나비
베고니아와 제라늄
라일락과 그늘
강 건너
꽃과 꽃나무
나무와 햇볕
조팝나무와 새떼들
빗소리
아이와 강
층츠안무와 길
산과 길
덤부과 덩굴
여름
여자와 굴삭기
한낮
식빵과 소리
저녁
길과 길바닥
풀과 돌멩이
쥐똥나무와 바람
발자국과 길
새와 그림자
새와 날개
나무와 허공
바람과 발자국
겨울a
겨울b
지빠귀와 잡목림
눈과 물걸레질

물물
고요
아이와 새
빗방울
강변
여름
오후

해가 지고 있었다
처서
빛과 그림자
쑥부쟁이
구멍 하나
가을이 왔다
부처
새가 울지 않고 지나갔다
잣나무와 나
마흔여? 통의 사랑편지와 다른 한 통의 사랑편지

해설 - '두두'의 최소 사건과 최소 언어 / 이광호

저자 소개1

OH,KYU-WON,吳圭原, 본명 : 오규옥

등단 이래 '시의 언어와 구조'에 대하여 부단히 탐구하였으며, 초기와 중기의 시에서는 타락한 시장경제와 현대의 물신주의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참된 자아를 회복하기 위한 인간 주체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1990년대 이후에는 시를 쓸 때 '주체중심, 인간중심 사고에서 벗어나서 그 관념을 생사하는 수사법도 배제한, 살아 있는 그대로의 이미지들을 구현'해야 한다는 '날(生) 이미지'론을 역설한 시인이다. 1941년 경남 밀양 삼랑진에서 출생하였고, 부산사범학교를 거쳐 동아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1965년 『현대문학』에 「겨울 나그네」가 초회 추천되고, 1968년 「몇 개의 현상」
등단 이래 '시의 언어와 구조'에 대하여 부단히 탐구하였으며, 초기와 중기의 시에서는 타락한 시장경제와 현대의 물신주의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참된 자아를 회복하기 위한 인간 주체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1990년대 이후에는 시를 쓸 때 '주체중심, 인간중심 사고에서 벗어나서 그 관념을 생사하는 수사법도 배제한, 살아 있는 그대로의 이미지들을 구현'해야 한다는 '날(生) 이미지'론을 역설한 시인이다.

1941년 경남 밀양 삼랑진에서 출생하였고, 부산사범학교를 거쳐 동아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1965년 『현대문학』에 「겨울 나그네」가 초회 추천되고, 1968년 「몇 개의 현상」이 추천 완료되어 등단하였다.

시집으로 『분명한 사건』(1971) 『순례』(1973)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1978) 『이 땅에 씌어지는 抒情詩』(1981) 『가끔은 주목받는 生이고 싶다』(1987) 『사랑의 감옥』(1991)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1995) 『토마토는 붉다 아니 달콤하다』(1999)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2005) 『오규원 시 전집』(전2권, 2002) 등이 있으며 시선집 『한 잎의 여자』(1998), 시론집 『현실과 극기』(1976) 『언어와 삶』(1983) 『날이미지와 시』(2005) 등과 시 창작 이론집 『현대시작법』(1990)을 상자했다.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대문학상, 연암문학상, 이산문학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등을 수상하였다. 2007년 2월에 작고하며 유고 시집으로 『두두』를 남겼다.

오규원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08년 01월 31일
쪽수, 무게, 크기
81쪽 | 143g | 128*205*15mm
ISBN13
9788932018362

출판사 리뷰

시적 언어가 가닿을 수 있는 최대치의 투명성

1965년 등단한 이래 ‘시의 언어와 구조’의 문제에 대해 그 누구보다 치열하게 탐구해왔던 시인 오규원. 하여 전통적인 시의 문법을 해체하고 새로운 시적 경향을 확립한 한국 현대시의 진정한 전위로서 그의 시적 행보 자체가 한국 현대시의 행보이자 역사라고 우리는 알고 있다. 그리고 20여 년간 서울예대 문창과에서 시 창작을 지도한 후학과 후배 시인들에게 지금도 여전히 두터운 문학적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그가 우리 곁을 떠나 강화도 전등사 소나무 아래에 묻힌 지 어느덧 1년이 되었다.

휴머니즘이라는 미명하에 인간 중심으로 모든 사물을 이해하고 명명함으로써 세계가 가려지고 왜곡되는 것을 거부하고, 상징적 어휘 하나로 세계를 표현할 수 있다거나 어떤 관념 하나로 세계를 해석할 수 있다고 믿지 않았던 오규원 시인은 그저 그냥 ‘있을 뿐’인 세계와 인간이 어떤 관계를 유지하며 수사적 인간의 존엄성을 찾을 수 있는가에 천착했었다. 숨을 거두기 직전까지도 이러한 문제의식과 시작을 놓지 않았던 시인은 휴대폰 문자나 제자의 손바닥에 또렷이, 그의 시적 사유를 남겼다.

오규원 유고 시집 『두두』(문학과지성사, 2008)는 그렇게 시인이 없는 세상에 여전한 시인의 눈과 목소리를 갖고서 나왔다. 제목으로 쓰인 ‘두두’는 생전의 시인이 ‘날이미지시’론을 통해 밝혔듯이 두두시도 물물전진(頭頭是道 物物全眞: 사물 하나하나가 전부 도이고 사물 하나하나가 전부 진리다)이라는 선가(禪家)의 말에서 가져온 것이다. 이 시집은 앞부분 ‘두두’에 33편, 뒷부분 ‘물물’에 17편, 총 50편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두두’에 속하는 작품들은 오규원 시인이 짧은 형식으로 따로 써서 모아둔 것들이고, ‘물물’에 속하는 작품들은 생전의 아홉번째 시집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문학과지성사, 2005) 이후 발표한 것들로 모두 그가 서울예대를 떠나 경기도 양평 서후리에 터를 잡고 접한 세계와 사유의 기록이라 하겠다. ‘두두’와 ‘물물’이라는 오규원 시인의 명명은, 단어의 어감이 주는 단장(短長)의 호흡에서 비롯된 것으로 전해진다. '두두'와 '물물'의 시들을 자연스럽게 섞는 편집도 생각할 수 있었으나, 유족 대표와 책임편집을 맡은 서울예대 이광호 교수는, '두두'의 시편들을 독립적으로 생각한 시인의 의도를 존중하여 짧은 시편들을 분리, 시집의 앞부분에 싣기로 의견을 모았다.

원래 시인은, 시집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를 상자했을 당시, 짧은 시편만 모은 <두두집>과 그보다는 긴 호흡을 가진 <물물집>, 이렇게 두 권의 시집을 동시에 내려고 계획하였으나, 검토 후 두두집 원고의 편수가 적어 좀더 쓴 후에 내려고 미뤄둔 상태였다고 한다. 지금의 <두두집> 원고는 그 후로 추가 없이 그대로를 수록한 것이며, 수록한 모든 원고는 그 당시 최종적으로 시인의 손을 거쳐 탈고까지 마친 상태의 것이다. <두두집>의 원고가 씌어진 시기는 정확히 1995년경부터 2001년 무렵이다. 즉 날이미지시론의 첫번째 시집 격인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 소리』(1995)를 출간한 그 즈음부터 날이미지시론의 두번째 시집인『토마토는 붉다 아니 달콤하다』(1999)를 출간하고 난 몇 년 뒤까지다. 그 후에 시인은 이 작품들을 계속 여러 번 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시인은 두 권의 시집을 같이 낼 경우, 세계가 서로 충돌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에 두두집의 출간을 보류했던 것으로도 전해진다.

『두두』는, 선시나 하이쿠와는 다른, 날이미지시론으로 된 극히 짧은 형식의 시를 써보고자 했던 시인의 의지의 총체다. 특히 날이미지시론이 불교적 세계관과 무관하지 않아 선시로 오해되는 경우가 꽤 있어, 선시와는 다르다는 것을 짧은 형식을 통해 보여주고자 애쓴 것은 시인이 생존 당시 거듭 밝힌 바다. 이번 유고 시집 『두두』는, 첫째, 시의 수사법으로서 은유를 거부하고 환유적 언어 체계의 방법을 사용한다; 둘째, 세계를 바라보는 데 있어서 관념적인 시각을 완전히 배제한다, 라는 오규원 시인의 ‘날이미지시’론(오규원 시론집, 『날이지미와 시』, 문학과지성사, 2005 참조)의 핵심사항이 오롯이 육화된 집적물이라 할 것이다.

리뷰/한줄평4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채널예스 기사2

  • 이원 시인의 책장
    이원 시인의 책장
    2024.11.06.
    기사 이동
  • [고명재의 사랑하는 시] 그러나 시를 쓸 것이다
    [고명재의 사랑하는 시] 그러나 시를 쓸 것이다
    2024.06.18.
    기사 이동
10,800
1 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