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장석남
문학동네 2012.02.25.
베스트
시/희곡 top100 1주
가격
12,000
10 10,800
YES포인트?
6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문학동네시인선

책소개

목차

시인의 말

1부
의미심장(意味深長)
하문(下問)-1
하문(下問)-2
가난을 모시고
담장
가을 저녁의 말
고대(古代)
호수
장마 끝물
나의 유산은
옛집에 들어
오솔길을 염려함

2부
중년
불임
큰 눈
가라앉는 발자국들
수로(水路)에서
무쇠 솥
독강에서
탑(塔)
바람과 더불어-하나
난롯가
저물녘-모과의 일
초당에 가서
해변의 자화상
들판에서
고창 선운사
다시, 오래된 정원
다랑이길
파도 소리
성(城)
정자의 주춧돌을 세우며-이상에게
나의 불빛
옥수수밭의 살림
시월의 석류-평창의 김도연
아코디언
물미역 씻던 손
축소 인쇄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펴놓고

3부
기차 법문
냉이야 냉이야
수월(水月) 스님
낙법(落法)
발굴(發掘)
와운산방(臥雲山房)
노래가 되기는 멀었어라
빈방-남지암(南枝庵)을 기록함
탱자 향기
물과 빛과 집을 짓는다
생활-벌 치는 사람
첫눈을 기다림
어찌하여 민들레 노란 꽃은 이리 많은가-
민화
동화(童話)
안부
망명
생일
술래 3
물의 여정(旅程)
입적(入寂)
시월(十月)

해설 | 호젓함을 모시다
| 엄경희(문학평론가)

저자 소개1

장석남

 

張錫南

아름답고 섬세한 감성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온 신서정파 시인. 1965년 인천 덕적에서 출생하여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거쳐 방송대, 인하대 대학원 국문과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현재 한양여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맨발로 걷기」가 당선되어 등단하였으며 1991년 첫 시집 『새떼들에게로의 망명』으로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99년 「마당에 배를 매다」로 현대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새떼들에게로의 망명』,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젖은 눈』,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뺨에 서쪽
아름답고 섬세한 감성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온 신서정파 시인. 1965년 인천 덕적에서 출생하여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거쳐 방송대, 인하대 대학원 국문과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현재 한양여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맨발로 걷기」가 당선되어 등단하였으며 1991년 첫 시집 『새떼들에게로의 망명』으로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99년 「마당에 배를 매다」로 현대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새떼들에게로의 망명』,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젖은 눈』,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뺨에 서쪽을 빛내다』,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등의 시집과『물의 정거장』, 『물 긷는 소리』등의 산문집이 있다. 장석남 시인의 시에는 그리움이 있다. 시간과 내력을 꿰뚫는 그의 시선 앞에서 사물들은 그 내면에 숨긴 고독을 드러내고 돌아갈 고향을 반추한다.

장석남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2년 02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116쪽 | 172g | 130*224*20mm
ISBN13
9788954617314

책 속으로

무쇠 솥

양평 길 주방기구종합백화점
수만 종류 그릇의 다정한 반짝임과 축제들 속에서
무쇠 솥을 사 몰고 왔다
-꽃처럼 무거웠다
솔로 썩썩 닦아
쌀과 수수와 보리를 섞어 안친다
푸푸푸푸 밥물이 끓어
밥 냄새가 피어오르고 잦아든다
그사이
먼 조상들이 줄줄이 방문할 것만 같다
별러서 무쇠 솥 장만을 하니
고구려의 어느 빗돌 위에 나앉는 별에 간 듯
큰 나라의 백성이 된다
이 솥에 닭도 잡아 끓이리
쑥도 뜯어 끓이리
푸푸푸푸, 그대들을 부르리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나는 어찌하여 이, 뵈지도 않는 길을 택하여 가는가?
-장석남 시인의 일곱번째 시집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김종삼 선생님이 딸의 소풍을 따라갔다가 어느 무덤가에서 가슴에 돌을 얹고 누워 있었다던, 날아갈까봐 그랬다던 향기로운 에피소드가 문득, 생각나는
-「하문(下問)·2」 중에서

애초에 시로 태어난 자를 고르라 할 때, 아주 오래전 사람이 아닌 근래 다국적 말의 홍수 속에서 그 허우적거림을 실로 맵게 겪은 이들 가운데 하나를 택하라 할 때, 단연코 맨 앞자리에 앉고 또 앉혀야 할 그이라면 일단은 장석남 시인이지 않을까 싶다. 연탄에 집게를 꽂아 연탄을 갈고 연탄불을 살릴 때의 그 조심스러움으로 일상에서 시를 살릴 때 후후, 그가 일으키는 불씨는 제 입김을 통한 것이 대부분이니 지금껏 우리말의 단련이란 그로 하여금 얼마나 달궈져왔겠는가.
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후 스물다섯 해, 스물셋 말갛던 청년이 마흔여덟 ‘어둡는’ 중년이 되기까지 시를 모아 집을 삼은 것이 도합 일곱번째니 평균 3년하고도 절반마다 그는 시로 분한 저 자신의 분가를 지켜봤으렷다. 선 하나를 느끼는 데서 시작된 시가 곧 선 하나를 느끼는 데서 마무리됨을 일찌감치 알아차린 탓에 흔하디흔한 막대기조차 쓰다 버릴 일이 아니라 쓰다 심을 일로 몸을 써온 그, 라는 시의 타고남을 익히 알아온 까닭에 나는 그에게 먼저 고요와 도망에 대하여 ‘여쭙느니’,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를 앞에 두고 서다.

저물면 아무도 없는 데로 가자
가도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고요의 눈망울 속에 묻어둔
보석의 살들-이마 눈 코
깨물던 어깨,
점이 번진 젖, 따뜻한 꽃까지 다 어루어서
잠시 골라 앉은 바윗돌아 좀 무겁느냐?
그렇게 청매빛으로다가 저문다

결국 모과는 상해버렸다
-「저물녘-모과의 일」 전문

버릴수록 가져지고 지울수록 선명해지는 게 세상살이의 이치라면 장석남의 시는 이미 그 일가를 이루었을 터, 이번 그의 시집은 작고 더 작아져야만 들어갈 수 있는 ‘고요’라는 구멍 속에서 홀로이 노는 한 사내를 만나게끔 한다. 무쇠 솥을 사 몰고 올 때, 그것을 꽃처럼 무겁다 할 때, 그 속에 쌀과 수수와 보리를 섞어 안친 밥을 지어 우리들을 부를 때, 그를 어찌 시라 아니할까. 시로 그리 생겨먹은 것을.
그가 가진 특유의 섬세함과 유연성을 가장 정점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감히 자부하는 60편의 시가 3부로 나누어 담긴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강박적이리만치 열과 행을 꽤나 조여서는 더는 뺄 것도, 더는 넣을 것도 없이 콤팩트한 시를 우리 앞에 선보이고 있다. “하나 둘 셋 넷 다서 여서 일굽 일굽 일굽” 하듯 그만의 특유한 말법도 살아 있으려니와 두 줄 할 것을 한 줄로, 한 줄 할 것을 한 단어로 찍어버리는 데 선수가 되어버린 그는 말을 지우는 데 더 큰 말의 그림자가 드리운다는 것을 알아버린 연유로 이렇게 씨 뿌리듯 툭툭 시를 뱉는다. 손으로 쓰는 시 그 너머에 입으로 부는 시라니. “아무 보는 이 없이 피는 꽃이 더 짙은 까닭은 아무 보는 이 없기 때문”(「물과 빛과 집을 짓는다」)이란 말인가.
이른바 더, 더, 가 아니라 덜, 덜, 을 향해 가는 비움과 침묵 속 여백과 공기의 팽팽함, 그로 풍만해지는 마음의 빈자리에 더욱이 아무나 앉히는 것은 결코 아닌 채로 시인은 빈 의자를 내놓는다. 그 일에 한생을 내걸 정도로 의자 따위에 작심을 하기도 한다.

어둡는데
의자를 하나 내놓으면
어둠 속으로 의자는 가겠지
어둡는데
꽃 핀 화분도 하나 내놓으면
어둠 속으로 잠겨가겠지
발걸음도 내놓으면 가져가겠지
-「망명」 부분

그래, 의자 따위라 함은 그가 눈으로 집고 손으로 들어올리는 ‘돌멕’과도 같이 흔하디흔한 것, 그만큼 사사로운 것. 의자는 따뜻하거나 찰 테고 의자는 단단하거나 부서지겠지만 의자만이 가진 의자만의 예민함을 감지하는 시인은 의자만이 내는 의자만의 소리를 받아낼 수 있는 고도의 청력으로 세상 만물의 들숨과 날숨을 엿들을 줄 알게 된 터, 예를 들어 “때 까만 메밀껍질 베개의 서걱임”(「가난을 모시고」)을, “옥수수밭의 수런거림과 두런거리는 살림을”(「옥수수밭의 살림」), “한밤 물미역 씻는 소리”(「물미역 씻던 손」)를, 그리하여 “흰 돌멩이 하나 들어다가 갓 풀린 개울물에 넣어”두고 “귀도 하나는 그 곁에 벗어”(「생일」)놓는 일 등을 말이다. 그러고 보면 세상에 ‘법문’ 아닌 소리가 또 어디 있으랴. 세상 모든 소리가 ‘법문’이 아니고 또한 무엇이랴. 결국 시인이 말하고자 함은 아마도 세상을 맞닥뜨리는 자의 어떤 자세란 데 있을 것이다.

수로에 외발로 서서 고개 움츠리고 비 맞는 왜가리
어떤 기다림도 잊고 다만 기다림의 자세만으로 생을 채우려 용맹정진하는 왜가리
나는 늦도록 깊고 습퇇 터널을 뚫는다
시큼하고 외로운 수로(水路)
-「수로(水路)에서」 부분

무심이라는 유심, 그 할 수 없음이라는 할 수 있음에 대하여 줄기차게 밀어붙이는 부드러운 완력 틈틈이 늘어진 미주알처럼 어쩔 수 없이 들키고 마는 무언가가 있다. 어머니, 늙은 어머니이자 아픈 어머니와 더불어 늙어가는 중년의 그에게서 언뜻언뜻 비치는 죽음의 잔상. 그러나 그는 이 또한 제 손에서 쥐었다 놓는 혼자만의 놀이로 다스릴 것이다. 그 안에서 충분히 돌려 빚은 경단처럼 말캉해진 시인은 그러려고 이토록 오래도록 품을 격으로 삼은 것이 분명하므로.

리뷰/한줄평29

리뷰

9.0 리뷰 총점

한줄평

9.7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채널예스 기사4

  • 장석남 시인 “시는 절대 어려워서는 안 돼요”
    장석남 시인 “시는 절대 어려워서는 안 돼요”
    2018.01.15.
    기사 이동
  • 사랑의 선배들이 제안하는 프러포즈 문구 2
    사랑의 선배들이 제안하는 프러포즈 문구 2
    2016.02.29.
    기사 이동
  • [오늘의 이야기] 조선ㆍ중앙ㆍ동아ㆍ뉴욕타임스가 선택한 올해 최고의 책
    [오늘의 이야기] 조선ㆍ중앙ㆍ동아ㆍ뉴욕타임스가 선택한 올해 최고의 책
    2012.12.18.
    기사 이동
  • 비가 내리면 뜬눈으로 지새워라 -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장석남, 『원더보이』 김연수
    비가 내리면 뜬눈으로 지새워라 -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장석남, 『원더보이』 김연수
    2012.06.08.
    기사 이동
10,800
1 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