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시와 시 단편들. 1884년 가을
29 = N Ⅵ 9. 1884년 가을 - 1885년 초 30 = Z Ⅱ 5, 83. Z Ⅱ 7b. Z Ⅱ 6b. 1884년 가을 - 1885년 초 31 = Z Ⅱ 8. 1884년 겨울 - 1885년 32 = Z Ⅱ 9. 1884년 겨울 - 1885년 33 = Z Ⅱ 10. 1884년 겨울 - 1885년 34 = N Ⅶ 1. 1885년 4월 - 6월 35 = W Ⅰ 3a. 1885년 5월 - 7월 36 = W Ⅰ 4. 1885년 6월 - 7월 37 = W Ⅰ 6a. 1885년 6월 - 7월 38 = Mp ⅩⅥ 1a. Mp ⅩⅥ 2a. Mp ⅩⅤ 2b. 1885년 6월 - 7월 39 = N Ⅶ 2a. ZI 2b. 1885년 8월 - 9월 40 = W Ⅰ 7a. 1885년 8월 - 9월 41 = W Ⅰ 5. 1885년 8월 - 9월 42 = Mp ⅩⅦ 2a. 1885년 8월 - 9월 43 = Z Ⅰ 2c. 1885년 가을 44 = Mp ⅩⅦ 2b. 1885년 가을 45 = W Ⅰ 6b. 1885년 가을 - 해설 - 연보 |
Friedrich Nietzsche, Friedrich Wilhelm Nietzsche,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의 다른 상품
金正鉉
김정현의 다른 상품
니체의 사실상의 주저인《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내용이 담긴《유고(1884년 초~가을)》(니체전집 17)이 출간되었다. 니체의 사상이 난숙한 경지에 이른 시기인 1884년에 씌어진 이 유고집에는 위버멘쉬(초인), 영원 회귀, 가치의 전도, 보다 지체 높은 인간, 무리 등 니체 사상 전개의 밑그림이라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사상적 편력이 담겨 있다. 특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가 누구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니체 자신의 대답도 들어 있다. 내용도 아주 다양해 인문, 사회, 자연 과학, 예술을 거침없이 넘나드는 이 유고집은 가히 백과전서(百科全書)적이라 할 만한, 지적 편력의 생생한 자취다.《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와 거의 같은 시기에 씌어졌다는 점과, 니체 사상을 해명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되는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니체의 입장, 영원 회귀 사상의 단서 등으로 니체 연구자들에게 주목받은 이 유고집은 니체 사상 전개의 전후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