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05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560쪽 | 153*225*35mm |
ISBN13 | 9788967451011 |
ISBN10 | 8967451016 |
발행일 | 2020년 05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560쪽 | 153*225*35mm |
ISBN13 | 9788967451011 |
ISBN10 | 8967451016 |
목차 한국어판 서문 저자 서문 역자 후기 제1장 주요 용어 설명 보이차 | 보이생차와 보이노차 | 악퇴보이차 | 경발효차 | 강한 유념과 약한 유념 | 쇄청과 홍청 | 건창 | 습창 | 자연창 | 교목과 관목 | 교목 고차수와 왜화 고차수 | 야생형 차나무 | 순화형 차나무 | 과도형 차나무 | 재배형 차나무 | 대엽종과 소엽종 | 방황차와 황야차 | 동식물의 분해 작용 | 발효 | 효소의 촉매 작용 | 보이차 다구와 보이차 다예 | 흑차 | 호급차 | 인급차 | 병급차 | 월진월향과 월침월향 | 산야기운 | 보이부 | 6대차산 제2장 보이차의 역사, 역사 속의 보이차 보이차의 발전 역사 전설 속의 보이차 | 문자로 기록된 보이차의 역사와 고증된 보이차의 역사 | 보이차의 침체와 봄날 | 인위적으로 커진 보이차 산지 전통적 시각으로 본 보이차의 정의 전통적 보이차 산지 | 전통적 차나무종 | 전통적 제다 | 전통적 저장법 제3장 보이차의 변화 원리와 월진월향 찻잎의 변화는 식물의 분해 과정 보이차의 향기는 찻잎이 분해될 때의 에너지 방출 외부분해와 내부분해가 보이차 향기에 미치는 영향 | 오래 저장할수록 향이 좋아지는 보이차 | 보이차의 월존월향이 갖는 두 가지 의미 | 보이차에서 여러 종류의 향이 나는 원인 월진월향에 관하여 월진월향은 현대적인 개념 | 노차 중에서 우연히 나온 월진월향의 차 | 발효 개념의 잘못된 이해가 보이차에 미치는 영향 | 보이차 향기에 대한 판단을 흐리게 하는 진향 | 보이차 침향의 사례 | 월침월향에는 시간 제한이 있을까? | 보이차를 월침월향하게 만드는 저장법 | 보이차 원료와 월침월향의 관계 | 보이차 제다와 월침월향의 관계 제4장 보이차의 차기 보이차 차기의 원리 보이차 차기 체험 제5장 보이차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들 원료와 보이차의 품질 대엽과 소엽 | 교목과 대지 | 차나무의 수령 | 생태 환경 | 위도 | 해발 | 야생형, 과도형, 순화형, 재배형 | 군체종과 삽목번식종 | 병배와 순료 제다 과정과 보이차의 품질 채엽 시간 | 위조 | 살청 | 유념 | 태양 건조 | 발한 | 긴압 | 압병 후 건조 | 포장 재료 | 경발효 저장 방법과 보이차의 품질 광선 | 습도 | 온도 | 밀봉도 | 월침월향의 저장 방법 제6장 보이차의 수장 보이차를 수장하는 이유 수장의 위험 어떤 보이차를 수장할 것인가? 보이차 수장의 ‘수’ 보이차 수장의 ‘장’ 제7장 보이차의 품평 보이차 품평의 4대 요소 색 | 향기 | 맛 | 차기 보이차 품평의 8단계 건차 보기 | 건차의 향 맡기 | 찻물 색 살피기 | 맛보기 | 찻잔에 남은 향기 맡기 | 우린 잎의 향기 맡기 | 우린 잎 살펴보기 | 내포성 검사 보이차 우리기 다구 | 해괴 방법 | 물 | 우리는 물의 온도와 기법 | 차와 물의 비율 제8장 보이차의 품질과 품평 교목 고수차와 대지차 교목차와 교목 고수차 | 교목 청(생)차와 교목 숙차 | 다원차, 대지차, 관목차 | 병배차와 단일 차청차 | 고수차 시장의 현황 | 고수차와 대지차의 감별법 순료와 병배의 감별 각기 다른 지역의 대지차 병배 | 고수차와 대지차의 병배 | A산 고수차와 B산 고수차의 병배 군체종과 삽목번식종 | 야생형 | 순화형 | 과도형 | 자아차 | 홍청, 초청, 쇄청 | 홍차, 미인차의 압병 | 특수한 모양의 보이차 | 노보이차의 품평 노보이차의 저장 상태 | 좋은 노보이차의 조건 | 노보이차의 품평 | 노보이차의 품평 방법과 순서 | 고수 노보이차와 대지 노보이차의 품평 | 고수차와 대지차로 만든 노차의 감별 경발효차의 품평 경발효차란? | 경발효차의 분류 | 경발효차의 품평 악퇴숙차의 품평 보이차의 파생상품 차고 | 차 분말 | 차 음료 | 차로 만든 건강식품 | 차 요리 제9장 지역별 고수차 품평 시솽반나 고古 6대차산의 고수차 이우차ㆍ만좐차ㆍ꺼덩차ㆍ망즈차ㆍ유러차ㆍ이방차ㆍ기타 : 만쏭차 시솽반나 멍하이차산 라오반장차와 신반장차ㆍ라오만어차ㆍ난눠산차ㆍ허카이차ㆍ꽌솽차ㆍ나카차ㆍ바오탕차ㆍ만노어차ㆍ빠다장랑차ㆍ빠다만마이차ㆍ 시솽반나 징홍차산 멍쏭의 쓴차와 단차 푸얼 란창차산 징마이차ㆍ방웨이차ㆍ둥카허차ㆍ파싸이차ㆍ 푸얼 닝얼차산 쿤루산차ㆍ신짜이차 푸얼 징구차산 샤오징구차ㆍ쿠주산차ㆍ원샨띵차ㆍ황차오빠차 푸얼 모지앙차산 미띠차ㆍ징싱차 푸얼 쩐위엔차산 라오하이탕차ㆍ마덩차ㆍ라오우산차ㆍ차샨칭차ㆍ따마이띠차 푸얼 징둥차산 라오창푸더차ㆍ진딩차ㆍ만완차ㆍ아이라오산시포어차ㆍ위비차ㆍ창띠산차 푸얼 지앙청차산 구어칭 티엔팡차ㆍ뽀비에차 푸얼 멍리엔차산 라푸차ㆍ망중차 린창 솽지앙차산 빙따오차ㆍ샤오후짜이차 린창 윈시엔차산 바이잉산차ㆍ시꾸이차ㆍ둥쉬차ㆍ차방차 린창 펑칭차산 샹주칭차ㆍ핑허차 |
여러 보이차 관련 책들을 사고 읽어보면서 공통점도 있지만 각각 소장해야하는 이유들이 있다
이 책은 이야기라고 써 있지만 사전의 개념의 강하다 잘못 전해진 보이차의 지식들을 바로 잡기도 한다 용어부터 품평하는 방법까지 A-Z까지 알려주는 책이라고 보면 된다
보이차 보관방법도 기존의 종이박스 보관이 아니라 밀봉상태를 추천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책을 보면 안다 :) 보이차에 대해 제대로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