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철수 사용 설명서
중고도서

철수 사용 설명서

: 2011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정가
11,000
중고판매가
800 (93% 할인)
상태?
사용 흔적이 많고, 상품과 부속품에 손상이 있는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1년 07월 01일
쪽수, 무게, 크기 225쪽 | 378g | 148*210*20mm
ISBN13 9788937483745
ISBN10 8937483742

중고도서 소개

사용 흔적이 많고, 상품과 부속품에 손상이 있는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준비하기
사용하기 전에
제품 규격 및 사양

사용하기
취업 모드
학습 모드
연애 모드
가족 모드

관리하기
설치 방법
전원 공급
청소 방법

주의하기
주의 사항
애프터서비스를 요청하기 전에
소비자 피해 보상 기준 안내
제품 보증서

작가의 말

저자 소개 (1명)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누군가 좀 이상하다고 얘기할 때마다 철수는 그런 생각이 들었다. 버튼 하나를 덜 누르거나 더 눌러서 그런 것은 아닐까. 아니면 물에 넣으면 안 되는데 잘못해서 빠뜨렸거나 무언가를 장착하지 않아서 그런 것은 아닐까. 만약 그것도 아니라면 정말 다른 걸 집었어야 했는데 실수로 철수를 선택했던 것인지도 모른다.
가끔씩 철수는 사람들이 망가진 제품을 만나길 은근히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딘가 결함이 있거나 이상한 사람을 만나길 바라고 있는 건 아닐까. 그런 사람을 만나면 자신은 상대적으로 정상이 될 수도 있으니까. 정상이 뭔지도 모르면서 안심할 수는 있으니까. 그리고 그 사람이 잘못된 거라고 하는 것만으로도, 갓 구워 낸 따뜻한 위로를 받을 수 있으니까.

모델에 따라 기능도 다르고 사용법도 모두 다르다. 사용법을 얼마나 잘 지켜서 썼느냐에 따라 사용 가능 기간도 달라진다. 그건 제품이나 만드는 회사에 따라 달라지는 게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일 수도 있다. 원래의 기능을 잘 알고 사용 설명서대로만 쓴다면 굳이 바꾸거나 새로 사지 않아도 평생을 쓸 수 있다. 두고두고 오래 쓰려면 비싸고 좋은 제품을 선택하기 전에 올바른 사용법부터 먼저 익혀야 한다. 싫증이 났다고 해도 그건 제품의 문제가 아니다. 단지 사용자의 취향이 바뀐 탓이다.
철수 자체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지도 모른다. 용도에 맞게 쓰지 않았거나 주의 사항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썼을 수도 있다. 부적합한 사용 환경에서 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원인이 철수에게 있는 게 아닐 수도 있는 문제들은 생각보다 훨씬 많았다. 짧은 연애 기간도, 재능이 없다며 두어 달만 다니고 그만두었던 피아노 학원도, 알고 보니 가까이해서는 안 되는 애구나 하면서 끝났던 우정도, 모두 철수의 잘못이 아니었는지도 모른다. 제품의 문제가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에 더 가깝지 않았을까. 교환이나 환불은 불가하고, 수리한다고 해도 유상 수리인 경우들 말이다.---pp.57~59

지금까지 만난 그녀들은 철수를 반품할 때마다 사유를 한 가지씩 일러 주었다. 그중 절반 가까운 이유가 “너 변했어.”였다. 상품 평에 이런 내용이 올라오자 동의하는 댓글이 한 페이지가 넘었다. “밥솥인 줄 알았는데 일주일쯤 지나니까 냉장고였다.”는 글에 “냉장고인 줄 알았는데 식기세척기였어요.”라는 글이 이어지는 식이었다.
상품 평을 따라가다 보면 철수의 진짜 모습이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았는데, 좀처럼 그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한번은 계속 따라갔다가 다시 처음으로 돌아온 경우도 있었다. 도대체, 다들 철수를 뭘로 알고 있었던 걸까.
(……)
그런데 “넌 매일 똑같아. 처음 만났을 때부터 지금까지 어쩜 하나도 변한 게 없니?”라는 반품 사유도 만만찮았다. “밥솥인 줄 알고 샀는데 진짜 밥솥이더라고요.”부터 시작해서 “이러다간 평생 밥솥일 것 같다.”는 글도 한 페이지쯤은 가볍게 넘겼다. ---pp.63~64

서른을 코앞에 둘 때쯤이면 모두 상품을 고르는 안목이 생긴다. 더는 디자인만 보고 물건을 고르지 않으며, 싸다고 무조건 사지도 않는다. 비싸면 그만한 가치가 있는지도 꼼꼼하게 살펴본다. 사은품에 현혹되지도 않으며, 브랜드에 정신이 팔려서 정작 상품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일도 드물어진다.
결혼 상대자를 물색할 때도 비슷할 것이다. 지금까지 상품을 구매했던 것은, 그러니까 연애를 했던 것은 단 한 번의 선택을 현명하게 마무리 짓기 위해서다. 그 최종 선택에 따라 지금까지의 구매가, 연애가, 한꺼번에 평가된다. 물건을 만드는 과정이 중요한 게 아니라 출시된 물건의 품질이 더 중요해지는 것이다.
앞으로 평생 그것만 써야 한다고 생각하면 생각은 여러 겹이 된다. 하지만 선택은 조금 서둘러야 한다. 이 냉장고가 괜찮은지 아닌지 망설이는 사이에, 누군가 그것을 선택하고 바로 결제해 버릴지도 모른다. 그러니 어차피 살 거라면 신중하게 결정하되, 선택은 빠를수록 좋다. ‘품절 임박’이란 판매자의 말은 대부분 거짓말이지만 가끔은 진짜일 때도 있다.
철수는 그동안 자신을 선택할 사람이 누구일까에 대해서만 생각해 왔다. 부지런히 청소도 하고, 제품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도 하고, 주기적으로 품질 테스트도 받고, 그 모든 게 다 누군가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그것이 조금씩 미심쩍어졌다. 철수가 선택을 할 수도, 아니 선택을 아예 받지 않고 살 수도 있는 것 아닐까. 심지어 구매한 것이 무슨 제품이었는지도 모르거나, 사용 설명서를 제대로 읽지도 않고 무리하게 사용할 사람이라면 구매자가 없는 편이 더 나을 수도 있다. 게다가 선택된다 하더라도 그것은 완성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일 뿐이다.
---pp.136-138

줄거리 줄거리 보이기/감추기

29세의 평범한 취업 준비생 철수. 학벌이나 키, 재산 뭐 하나 내세울 만한 것은 없지만 그래도 평균쯤은 된다고 생각하며 살아온 인물이다. 그런데 철수는 고장이나 불량이란 말을 너무 많이 들어 왔다. 가족에게도, 친구에게도, 애인에게도 정상이 아닌 약간의 불량품으로 기억될 뿐이었다. 어느 날 철수는 사람들이 멀쩡한 가전제품을 불량품 취급하는 것을 보면서 문득 이런 생각을 한다.
‘내가 정말 고장이었던 걸까? 혹시 사람들이 나를 잘못 사용해 왔던 것은 아닐까?’
제품에 하자가 있었던 게 아니라 사용 설명서를 제대로 읽지 않고 써서 발생한 문제였던 것처럼, 자신도 그런 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든 것이다. 이제 철수는 ‘철수 사용 설명서’를 쓰기 시작한다. 제대로 된 설명서만 있으면 자신도 불량품이 아닌 정상 제품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철수는 설명서를 쓰면서 자신의 잘못이 아니었던 일들이 의외로 많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자신을 불량품 취급했던 사람들은 철수의 사용 설명서를 제대로 읽지 않은 불량 사용자인 경우도 많았다. 설명서가 완성되어 갈수록 철수는 자신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이해하게 된다. 누군가와 밀착하면 금세 열이 뜨겁게 오르는 발열 반응도 어쩌면 하자가 아닐 수 있다. 예전 여자 친구들은 철수의 이상 반응을 견디지 못하고 모두 떠나갔지만, 그것은 다만 철수의 특징일 뿐이다.
그러나 완성되었다고 생각하는 순간, 사용 설명서는 또다시 수정을 거듭해야만 한다. 그것을 쓰는 동안 사양이나 주의 사항도 조금씩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철수는 설명서만 있으면 자신도 정상 제품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정상의 기준이란 과연 어떤 것일까. 오랫동안 고민하던 철수는 깨닫는다. 사용 설명서를 쓸 수 있는 사람도, 그것을 가장 먼저 읽어야 하는 사람도 결국 한 사람이라는 것을.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낙오된 청춘의 대표 주자 ‘철수’ 대한민국과 맞짱 뜨다
출시일을 앞두고 AS와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하는
모든 청춘들에게 바치는 에너지소비효율 최저 등급 탈출기!


심사가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심사위원 다섯 명(김미현·박성원·편혜영·정영훈·강유정) 전원의 만장일치로 너무나 쉽게 당선작이 결정된 2011년 「오늘의 작가상」, 그 수상의 영예는 29세의 신인 작가 전석순에게 돌아갔다. 장편 『철수 사용 설명서』는 “루저 문학의 최고 극단”이란 평과 함께, “루저를 다룬 새로운 작품이 더 이상 나올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던지며, “좋은 소설은 익숙한 소재를 새로운 형식으로 전달할 때 나온다는 명제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준 놀라운 작품이다.

소설가 박성원은 “매년 한국 장편소설의 전기를 마련해 온 「오늘의 작가상」에 아주 걸맞은 소설”이라 확신했고, 문학평론가 김미현은 “새로운 소설 활용법을 개발한 이 도발적인 신예에게 ‘소설가 보증서’를 발급한다.”고 주저 없이 말했다.

지극히 정상적인 인물을 비정상적인 인물로 만들어 가는 현대사회에 대해 일침을 가하는 세태소설인 동시에 성장소설이기도 한 『철수 사용 설명서』는 루저와 백수를 다룬 기존의 소설들과는 철저하게 다르다. 소설의 형식은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무장했으며, 소설의 내용은 심도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경쾌하고 발랄하며 시종 유머가 넘친다.

『철수 사용 설명서』의 첫 페이지를 펼치는 순간, 독자들은 외모, 집안, 학벌 뭐 하나 내세울 것 없는 이토록 평범한 스물아홉 살의 백수 ‘철수’의 취업과 연애 실패담의 매력에 흠뻑 취해 잠시도 눈을 떼지 못할 것이다.

■ 2011년 제35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낙오된 청춘의 대표 주자 철수가 대한민국에 던지는 출사표 ‘철수 사용 설명서’


『철수 사용 설명서』는 ‘철수’를 ‘사용’하는 ‘설명서’에 관한 이야기다. 여기서 ‘철수’는 평균적인 삶을 사는 스물아홉 살의 대한민국 청년에게 붙여진 보통명사인 셈이다. 그런데 철수는 철수니까 철수처럼 살아야 하는데, 그것이 쉽지 않다. 현빈도 아니고 삼식이도 아니니 그저 평범하게 살 수 있을 만도 한데, 세상은 철수를 현빈이 되라고 부추기고, 삼식이와 닮았다고 비난한다. 단지 평범할 뿐인 자신을 고장이나 불량품으로 취급하는 현실에 대한 고발이 철수라는 이름에 담겨 있는 것이다.

이런 일이 벌어지는 이유는 무얼까. 그것은 철수를 ‘사용’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인간을 제품으로 간주할 때, 그래서 끝없이 표준화하거나 업그레이드하려고 할 때, 즉 철수를 인간이 아닌 기계로 간주할 때, 철수는 철수 이상이어야 한다. 그래야 상품(商品)은 상품(上品)이 될 수 있다. 물론 인간의 사물화에 대한 비판이란 주제는 산업사회 이후 보편화된 주제이다. 하지만 이 소설의 소설다움은 그것을 진짜 제품의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서’처럼 형상화하는 데 있다. 『철수 사용 설명서』의 도입부에서 제시된 철수의 제품 규격과 사양 설명에서부터 말미에 첨부된 제품 보증서에 이르기까지 설치 방법, 전원 공급, 청소 방법, 주의 사항, 알아 두기, 제품 Q&A 등 가전제품 사용 설명서의 양식을 고스란히 차용하여 이야기를 풀어 나간다. 냉장고도 일반 냉장고뿐만 아니라 김치냉장고와 와인 냉장고, 심지어 화장품 냉장고까지 나날이 발전하는 사회에서 저용량의 구식 모델 냉장고처럼 남아 있는 존재가 바로 철수인 셈이다. 문학이 사회학이나 철학이 아닌 이유를 다시 한 번 증명해 주는 재치 있고 발랄한 선택이 아닐 수 없다.

철수는 이렇게 말한다. “어떤 제품과 비교하든 하자만 더 생겼다. 만약 제품 자체나 상품 평이 아니라, 사용 설명서를 비교한다면 얘기가 달라질 수도 있을 텐데. 제품의 단점이 아니라, 모두 동등하게 서로의 특징이나 장점에 대해서만 나누는 것은 역시 사용 설명서뿐이다.”라고. 불량품이 아닌 정상 제품이 되기 위해 쓰기 시작한 사용 설명서를 다 완성했을 즈음, 철수는 깨닫는다. 언제 어디서나 완벽한 제품은 처음부터 없었으며, 그건 철수도, 철수를 사용한 사람들도 마찬가지라고. 사실 모두가 비정상이니 결국 모두가 정상인 셈이라고. 그러므로 정확한 사용 설명서는 사용되는 제품에게도,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모두 상처를 주지 않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그것은 평범한 철수가 이 사회 전체에 던지는 비범하고도 근본적인 문제 제기인 동시에, 궁극적 성찰이다.

『철수 사용 설명서』는 효능과 효율을 강조한 나머지 인간을 가전제품으로 취급하여 규격화된 성능과 양식을 요구하는 사회, 우리 주변에 있는 대다수의 철수를 사용 연한이 임박한 구형 전자 제품으로 취급하는 사회, 고장이 나면 망설임 없이 폐기 처분해 버리는 사회에 대한 알레고리이기도 하다. 사람은 제품이 아닌데도, 끊임없이 애프터서비스와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한다. 사람은 문명을 만들고 기술을 발전시키지만, 외려 그 문명과 기술에 의해 소외되고 실패자로 전락하고 마는 것이다. 이 소설을 읽다 보면, 우리 모두 철수라는 이름의 사용 설명서를 가진 또 하나의 가전제품에 불과한 것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것도 바로 그런 연유에서일 것이다.

추천평 추천평 보이기/감추기

매년 한국 장편소설의 전기를 마련해 온 「오늘의 작가상」에 아주 걸맞은 소설이다. 기존의 소설과는 철저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루저 문학의 최고 극단이다. 루저를 다룬 새로운 작품이 더 이상 나올 수 있을까 싶은 의문이 들 정도로 신선하고 놀랍다.
박성원 (소설가, 동국대 문창과 교수)
『철수 사용 설명서』는 설명서적 잣대로 인간을 취급하는 현실에 대해 설명서적 형식으로 대응함으로써 그 소외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성공적으로 구사했다. 인간과 사물, 정상과 비정상, 다름과 틀림 사이에서 방황하는 ‘루저’ 아닌 ‘루저’를 통해 정상이라는 잣대의 폭력성이나 끝없는 개조에 대한 강박, 업그레이드로 인한 피곤을 웃고 있어도 눈물 나게 그려 낸다. 2011년 「오늘의 작가상」은 새로운 소설 활용법을 개발하고 독자들에게 이에 따른 사용 후기를 요구하는 이 도발적인 신예 작가 전석순에게 ‘소설가 보증서’를 발급한다.
김미현 (문학평론가, 이화여대 국문과 교수)
이 소설은 평범함을 무능함으로 대치하는 약삭빠른 사회, 효능과 효율을 강조한 나머지 인간을 가전제품처럼 취급하여 규격화된 성능과 양식을 요구하는 사회, 우리 주변의 대다수의 ‘철수’를 사용 연한이 임박한 구형 전자 제품으로 취급하는 사회에 대한 알레고리이다.
편혜영 (소설가)
도대체 인간이 왜 가전제품처럼 스스로를 업그레이드해야만 할까? 평범한 철수는 독자들에게 비범하고도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것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사회 전체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강유정 (문학평론가)
묘하게도 매력적이다. ‘자조’라는 외피를 두르기는 했지만 그 이면에는 속 깊은 자기 긍정과, 현실에 대해 정곡을 찌르는 정당한 비판이 놓여 있다.

정영훈 (문학평론가, 경상대 국문과 교수)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8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