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장을 넘기며 눈시울이 붉어지는 것을 느끼지 못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아버지와 아들의 못다한 사랑이야기,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런 것들을 통해 더 눈물을 흘리게 된다.
그 내용을 살펴보자
태산이의 아버지는 등산을 좋아하는 산악인이다. 이 점을 보면 색다른 아버지의 모습이 느껴진다.
태산이는 자신의 아버지가 자신보다 산을 더 좋아한다고
느끼고 항상 그것이 불만이다. 늘 산에 관련된 이야기들만 좋아하시고
다른 일은 하지 않으면서 오로지 산에만 열중하시는 아버지가 못마땅하다.
어느 날 아버지는 꿈에서도 원하던 그토록 소원하던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산 등반에 나서는데, 얼마 뒤 그곳에서 아버지가 실종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결국 태산이네 가족은 아버지의 시신조차 찾지 못하고
아버지의 사진한장만으로 장례식을 치르게된다. 돌아가신 태산이의 아버지의 유품 중 태산이 가족에게 부치지 못한 편지가 한 장 들어 있었는데,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일주일 전 태산이에게 부치려던 아버지의 마음이
묻어나는 사랑의 편지이다. 태산이는 아버지의 편지를 읽으며 자신에 대한 아버지의 진정한 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렇게 좋아하던 산보다 자신을
더 사랑하고, 자신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 했던 아버지의 마음을
말이다. 아버지가 태산에게 쓴 편지 내용 한마디 한마디그 편지를 읽으며
말하는 한마디 한마디에서는 부자의 사랑이 묻어난다.
태산이와 아버지가 편지로 주고받는 말들이 따뜻하고 가슴찡한 감동을
전해 준다. 나는 맨 마지막 아버지가 아들한테 쓴 편지의 내용 중
' 내가 이런 험한 산에서 버틸 수 있는 힘은 바로 너와 네 엄마와 함께한
추억이라는 것을 너에게 꼭 알려 주고 싶구나 '라는 내용이다.
태산이는 이 글을 받기 전까지만 해도 아버지가 가족보다는 산을
사랑한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던 태산이가 마음을 확 바꾸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내가 아빠에게 어떻게 대하냐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나는 아빠와 태산이가 전혀 아니다. 고민은 함께 나누고
놀러도 자주 다니는 사이이다. 이런 것들을 보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오늘도 아빠랑 놀러나 갈까?
|
<에베레스트에서 온 편지>를 읽고
한 산악인의 가족 이야기를 들으며, 아니 읽으며 나는 눈물이 나려고 했다. 산악인인 아빠가 초모랑마를 밟고 돌아오는 도중 설맹과 탈진으로 발을 헛디디고 만다. 옆에 있던 동료도 발을 헛디뎠는데, 아빠는 동료를 살리기 위해 자일을 스스로 끊는다. 그리고 크레바스에 빠진다. 다시는 헤어나올 수 없는 깊은 곳으로.. 아빠는 무슨 생각으로 자일을 끊었을까? 무섭지 않았을까? 아들과 부인은 어떡하라고.. 흑흑.. 태산이와 엄마는 아빠의 마지막 편지를 읽고 슬퍼한다.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태산이. 태산이가 나는 너무 불쌍했다. 아버지가 그렇게 빨리 돌아가시면 너무 슬플 것이다. 태산이의 생각으로 글을 쓴 이 책은 정말 슬프고 깊은 감명을 주었다. 그리고 이렇게 슬픈 책이 재미있어서 태산이에게 조금 미안하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