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를 겪으면서 의사라는 존재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된다. 이 책은 인류를 위해 세계사를 바꾼 의사들에 관한 이이기를 담고 있다.
사실 의사라는 존재는 우리사회에서 이중적인 양가 감정을 갖고 있다는걸 느끼는데.. 평소에는 엄청 욕을 한다. 심하게 말하는 사람들은 "별로 하는 일없는거 같은데 돈만 많이 번다." "쓸데 없는 검사로 시간, 돈 낭비 시킨다." 그러나 자기자신이나 가족이 아파서 의사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되면 "의사는 성직자와 같은 존재이다. 환자를 도와주고 신과 같은 존재이다" 이러면서 의사에게 인간이상의 헌신과 희생을 강요한다. 그리고 매년 입시에서 보다시피 왜 그리 자기 자식들은 의사를 만들고 싶어하는지.. 맨날 의사 욕하면서(사실 코로나 시대때도 의사 욕하는 사람들 많이 봤다.) 각종 정치인, 권력가들의 자제들은 왜그리 입시에서 의대 부정입학이 많은지 말이다.
사실 의사라는 직업은 정신적, 육체적, 인간적인 교감등 한마디로 엄청 복잡한 예술 활동과 비슷하다. 오죽하면 의대 입시때 과 이름이 의예과인데 "예"자가 바로 예술할때 그 "예"자일까. 일단 공부량이 엄청나고 그 기간도 길다. 육체적으로는 밤낮으로 수련을 받아야 자격증을 획득할수 있으며 사람의 몸과 마음을 다루기 때문에 인간적인 교감.. 환자나 보호자를 대할때 말, 행동, 표정도 신중히 해야한다. 한마디로 피곤한 직종이다. 일명 3D직종이다.
아무튼 그런 의사들이 인류를 살려내기 위해 애쓰는 모습은 현재 코로나 시대뿐만 아니라 그 옛날 인류가 생존을 시작할때부터 쉼없이 지속되어 왔다. 지금은 당연히 여기는 위생관념, 특히 코로나 시대 들어와서 당연시 되는 소독과 손씻기가 옛날에는 생각조차 못한 관념있였다는 게 놀라웠다. 1700년대에는 산모들이 병원에서 출산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했다고 한다. 왜냐하면 많은 산모들이 산욕열로 죽기 때문이였다. 그 이유가 산부인과 의사들이 여기저기 만진 손으로 출산을 집행하고 수술복도 안 입은채 여러 사람 수술할때 입었던 피묻은 옷을 입고 의료행위를 했다고하니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경악을 금치 못할 상황이다. 이런 잘못된 상황을 파악하고 바로 잡은 의사가 있었으니 그는 바로 오스트리아의 의사 제벨바이스이다. 그는 손씻기를 당장 실천하고 의료기구 소독도 실행하였다. 그리고 그결과는 사망율의 급격한 감소였다. 지금은 아무것도 아니고 당연시 여기는 행동 하나가 많은 사람들을 살려낸 것이다.
혈액형의 종류가 4가지가 있고 서로 다른 혈액은 수혈하면 안된다는 사실도 지금은 당연한 사실이지만 란트슈타이너 이전에는 동물의 피를 수혈해서 죽는 사람이 많았다고 하니. 이 시대에 이정도 의료 혜택을 받게 되기 까지 얼마나 많은 의사들의 노고가 있었는지 느끼게 되었다.
코로나 시대라서 그런지 소아마비의 백신을 개발한 조너스 소크는 특히 백신 특허를 내지 않고 전 인류가 싼값에 소아마비 백신을 맞을 수 있게 했다는데 존경을 표하지 않을수 없었다. 코로나 백신만 하더라도 제3세계 국가들은 잘 맞지도 못하는데 그나마 좀 먹고 살만한 국가들은 4차 접종까지 하고 있는 게 참...서글픈 현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