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인철님의 굿라이프와 서은국님의 행복의 기원을 재미있고 유익하게 읽어서, 유사한 책을 찾다가 발견한 책입니다. 마침 최인철, 서은국님이 번역도 하셨네요.
책의 초반부는 기대감을 갖게 하는 흥미로운 얘기들이 나오는데, 가면 갈수록 너무 어려워서 읽기 힘들었습니다.
굿라이프와 행복의 기원은 실용적이고 와닿는 부분이 많았는데 이 책은 과학적인 근거 설명에 치중한 것 같습니다. |
삶이 계획대로 풀리지 않는 것처럼 미래는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상상만으로 무조건 낙관하지 않기 남의 행복이 곧 내게도 동일하게 작용할 것이란 생각을 버리기 행복은 외부조건을 통해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내 인식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기억하기..? |
대니얼 길버트 저/서은국,최인철,김미정 공역의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리뷰입니다. 이책은 우리 뇌가미래를 예측하는 일에 있어서 얼마나정확한지,그리고 어떤미래가행복할 것이라고 믿는지,그러한 예측을 하면서 어떤 실수를 하게 되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미래에 대한 상상 자체가 현재에 기반하여 채워 넣는속임수라고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범하게 되는 오류를 심리학, 뇌과학애 기반하여 설명하여 흥미로웠습니다 |
자신만의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 목표를 갖고 노력하는데 현재의 내 모습은 온전한 행복을 누리지 못하고 먼 미래의 이야기로 생각하게 되네요. 불확실한 상황속에서 행복이라는 개념을 깊이 있게 통찰해가며 행복에 대해 겪게 되는 여러 오류에 대한 이야기들이 흥미로웠습니다. |
제목부터 매우 흥미로운 책이었습니다ㅎㅎ 인간은 행복을 원하는데 왜 마음대로 안 될까?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에 대한 대답을 과학적, 생물학적 근거를 들어 답하고 있는 책입니다 우울할 땐 뇌과학이나 김주환 교수님의 저서들이 생각나기도 했네요 사람은 전두엽과 호르몬을 다스려야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ㅎㅎ |
왜 자꾸만 행복을 잘못된 방향으로 추측하는지, 그리고 생각만큼 만족스럽지 않은 현실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과학적으로 짚어가고 있어서 굉장히 이성적이고 신선했어요. 감정이라는 영역을 뇌와 몸의 작용으로 풀어낸다는 게 신기하기도 했고, 읽다 보면 스스로를 되돌아보게 되는 지점들이 꽤 많았답니다. |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를 읽고 쓴 리뷰입니다 단순한 개인 감상일뿐입니다 로또에 당첨되거나 좋은 차를 사거나 평소 바라던 일들이 일어나면 마냥 행복할 것만 같은 데 그렇지 않다고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뇌의 적응 매커니즘을 통해 중립을 유지 한다 라는 내용 같은 데요 처음 알게된 사실이라 굉장히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
대니얼 길버트 작가님의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리뷰입니다. 심리학자의 시선에서 행복을 말하고 있는데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이 발달시킨 ‘정서적 면역시스템'과 신체 매커니즘을 함께 설명하고 있어서 흥미로웠어요. 잘봤습니다 |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당신의 행복은 왜 항상 예측을 벗어나는가? 전두엽상실 > 미래에 대한 생각 자체가 불가능 영원한 현실속에 살고있음 경험을 지연시켜 기다림에 대한 상상으로부터 즐거움을 얻어낸다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것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 미래를 예측함으로 인해 앞으로 다가올 고통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됨 미래를 통제함으로써 즐거움을 경험한다 특정 경험을 한 이후에는 경험하기 이전처럼 세상을 볼 수 없게 된다 > 돌이킬 수 없는 경험의 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