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영화는 2006년 개봉한 [카모메 식당]이다. '무레 오코'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로 '카모메'는 한국어로 '갈매기'를 말한다. 왜 갈매기일까? 찾아보니 영화의 배경이 되는 핀란드 헬싱키에는 갈매들이 많아서 갈매기를 뜻하는 '카모메 식당'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정말 평범한 제목이다.
제목의 평범함처럼, 영화는 평범하게 흘러간다. 일본의 왜소한 여자가 핀란드 헬싱키에서 동네식당을 열었는데 한달동안 손님이 한명도 없다. 그러던 어느날 젊은 남자 손님이 처음 찾아왔는데 대뜸 '독수리 오형제' 주제가를 알려달라고 한다. 이런 식당이 과연 잘될 수 있을까? 아니 이 영화 제대로 될 수 있을까?
영화는 생각보다 지루하지 않다. 오히려 '평범함'과 '여유'가 나름의 힐링포인트를 제공한다. 혼자 운영하던 식당에 사연을 가진 다른 일본인들이 모여들면서 이야기가 생기고 식당에는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영화는 활기를 찾기 시작한다.
'카모메 식당'의 주력 메뉴는 '오니기리'인데, 한국말로 하면 '주먹밥'. 자세히 보니 삼각김밥과 닮았다. 우리가 지금 편하게 즐겨 먹는 삼각김밥은 아마도 일본의 '오니기리'에서 파생된 듯 보인다. 여튼! 일본의 전통음식인 '오니기리'가 핀란드에서도 통할 수 있을까? 식당을 운영하는 '사치에'는 충분히 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식당을 운영한다. 결국, 그녀의 말처럼 '오니기리'는 핀란드에서도 통하기 시작한다. '음식의 맛' 때문이기보다는 '오니기리'가 전해주는 '초심'이라고 해야할까? 이렇게 오니기리는 '카모메식당'의 주력메뉴이면서 영화의 주제를 관통한다.
평범한것의 소중함을 알려주는 [카모메 식당]을 운영하는 '사치에'가 세상의 마지막날에 무엇을 할 것이냐는 물음에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먹는다"라고 대답하는 대사는 영화의 주제가 아닐까 싶다. 평범한 속의 묻어난 작은 특별함. 이 영화는 자극적인 소재에 블럭버스터가 난무하는 영화속에 피어난 조용하지만 특별한 선물과도 같은 영화인것 같다.
2006년도에 우리의 삶이 어땠지? 이런 생각이 들었다. '스마트폰'이 만들어지기 직전의 세상. 그 시대에 스마트폰이 있었다면 '독수리 오형제' 주제가를 물어보기 위해 들어오는 청년도 없었겠지? 이런 생각이 들었다. 스마트폰은 생활의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지만 관계의 단절도 가져다 주는 것 같다.
[카모메 식당] 좋은 영화다.
일본에서 오랫동안 주,조연으로 활약한 배우인 것 같다. 처음에 영화를 보면서 한국의 '최화정'님을 닮으셨다고 생각했었는데! 영화속 사토미는 체구는 작지만 아주 단단하게 자신만의 음식철학을 지키면서 핀란드 헬싱키에서 '카모메 식당'을 운여하는 것으로 나온다. 본인도 어떤 사연이 있을까? 영화속에서 직접적으로 나오지는 않지만! 영화의 마지막쯔음 수영장에서 "그디어 손님이 가득 찼어"라고 말하는 장면과 박수를 받는 장면이 나오는것으로 보아 아마도 도 그와 관련된 해석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잘 모르겠다..ㅋㅋㅋ 여튼, 연기 잘하십니다!
|
먹는걸 다룬 영화여서 그럴까?
어찌 이리 깔끔하면서 맛깔스러운지 게다가 개성있는 캐릭터들의 연기는 보는 내내 웃음짓게 만드는 영화다. 그리고 영화속 요리들은 또 어떻게나 맛있어 보이는지 강한 식욕을 자극시키기도 하고 주 배경이 된 식당의 조리기구들이 탐이 나기도 한다. ![]() 영화의 공간적 배경은 핀란드! 전차가 다니고 갈매기가 나는 바다가 있고 숲이 있는 영화속에 등장하는 핀란드의 모습은 영화와 너무도 잘 어울린달까? ![]() 어린 나이에 엄마를 여의고 집안 살림을 도맡아 하던 여주인공은 어느날 핀란드에 카모메식당을 연다. 정해진 시간에 수영을 하고 밤이면 무릎걸음을 걷고 나서야 잠이 드는 참 정갈한 여자랄까? 그런데다 손님 하나 없는 가게지만 결코 좌절하거나 실망하지 않고 식당을 열어 손님을 기다리는 모습에서 무언가 꼭 되고야 말거 같은 느낌을 받는다. ![]() 사람은 저마다 각자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남자같이 터프하지만 무밍을 무척이나 좋아하고 솔직하면서 그림을 잘 그리는 섬세한 면을 보여주는 미도리! 그녀의 핀란드로 오게 된 이유는 단지 잘 찍어서다. 온화한 미소로 어떤 것이라도 다 받아들일거 같은 마사코는 자신의 짐을 잃어버리는 바람에 이곳으로 오게 된다. 그렇게 그녀들은 어느새 식당일을 함께 하게 되고 그녀들이 모이면서 점 점 손님이 하나둘 늘어 결국은 여주인공의 신념대로 식당이 꽉 차게 되는 영화다. 그녀 주변으로 하나둘 모여드는 인물들은 참 개성이 강하고 독특한 캐릭터지만 세상은 그런 사람들로 가득한거 아닐까? ![]() 카모메 식당의 주메뉴는 고향의 맛을 느끼게 하는 오니기리(주먹밥)! 하지만 핀란드인들은 알리가 없으니 고향을 떠나온 여주인공들에 의해 감성을 자극시키며 점 점 핀란드인들에게까지 그 감성이 전해지는 영화다. ![]() 우여곡절끝에 여주인공과 함께 생활하게 된 미도리에게 차려준 식탁이 참 부러웠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멀리 고향을 떠나왔지만 결국 고향이 그리울 수 밖에 없는 이들에게 고향의 음식이란 정말 감동 그자체가 아닐 수 없다. ![]() 처음 미도리라는 캐릭터는 키도 큰데다 머리도 엄청 크고 너무 남성스러워서 어색했지만 무밍의 비밀을 이야기하고 그림을 그리고 첫 손님인 헤르트와 종이접기를 하는 모습등을 통해 또 다음엔 어떤 행동을 할까 무척 기대하게 만드는 매력적인 캐릭터랄까? 그녀는 늘 '세상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비밀이 참 많아요'라고 하는 말은 이 영화를 두고 하는 말인듯하다. 그녀들에겐 정말 무언가 우리가 알지 못하는 비밀이 하나가득하다. ![]() 첫손님은 공짜라는 여주인공의 방침은 내내 공짜 손님만 들락거리는 식당에 대한 안타까움도 있었지만 그런 그녀의 원칙이 결국은 이렇게 식당 하나가득 손님이 꽉 차게 만드는 전략이었다는 사실이 놀랍다. 이 영화속 핀란드도 카모메식당도 재래시장도 갈매기가 나는 바다도 울창한 숲도 모두 모두 가보고싶은 맘이 든다. 그리고 그곳에서 조먹밥을 시켜 먹으며 이 영화를 떠올리게 된다면 더 바랄게없겠다. 이 영화는 개성이 강하고 이쁘지도 않은 인물들이 등장하는 영화지만 이상하게 그들을 이쁘게 보이게 하는 마술을 지닌 영화다. 고향을 떠나온 사람들과 각자 나름대로의 사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모여드는 카모메식당이 참 좋다.
|
핀란드 헬싱키에 가면 카모메 식당이 있을것 같다 커피향이 느껴지는 보는내내 행복했던 영화~ 오니기리가 무지 먹고 싶어진다^^ 음식을 맛깔스럽게 만드는 장면은 최고!! 오니기리와 시나몬롤~ㅋ 너무 인상적인 카모메식당^^ 커피향~ 핀란드...숲....노란버섯.... 갈매기.... 핀란드 하면 이젠 카모메식당이 떠오른다^^ 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