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라로 듣고 너무 좋아서 소장 합니다 눈으로 독서 다시 하려구요 첫째가 딸이고 둘째셋째가 아들인데 딸키울때랑 같지않더라구요. 둘째는 순딩이 아들임에도 불구하고 아들은 아들ㅇㅣ었어요. 여자인 엄마로써 어려운 부분이 많ㅇㅏ 최민준 샘 책 이거저거 읽고 있는데 일단 이 책 제목이 제 맘을 너무 대변ㅋㅋㅋ 아들맘들 힘내자구요 |
최민준님의 아들때문에 미쳐버릴것 같은 엄마들에게를 읽고 쓰는 리뷰입니다. 아들 한명을 키우고 있는데 엄마로써 아들을 이해하고 싶어서 읽었습니다. 유투브에서 최민준 소장님의 강의를 듣고 도움을 많이 받았기에 사서 읽어보았는데 저는 솔직히 ^^;; 유투브에 비해서 더 도움이 된다고 느껴지진 않았어요. 그래도 아들을 이해하고 싶어서 찬찬히 읽었습니다. |
저자가 말하는 의도를 확실히 알게 두드러지는 책이었습니다. 정말 아이와 대화도 되지 않고 아이의 고집이 생기고 나름 제가 알지 못하는 아이의 세계를 알고 싶어서 이렇게 책을 구매하고 정말 단숨에 읽고 남자 아이가 왜 이렇게 분산스러울 때가 있는지 왜 아들들은 왜 딸들과 다른지 조금 구분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엄마이고 딸이었기에 아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했지만 이 책에서 조금 헤아려주는 글들이 있어서 좋았습니다. 우리 아들을 남의 판단에 맡기지 않기 시작하고요~ 제가 아이를 기다려주면서 하루 하루 보내고 있답니다. 남자 아이라서가 아니라 여자 아이랑 다른 성향이라는 것을 엄마와는 성별이 달라서 이해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그것을~ 알려줍니다. 아들이 있으시고 가끔씩 이해 못하는 행동을 했을 때 화가 난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시면 못알아줬던 마음에 아들을 더 챙겨주실 수 있을 겁니다. |
내용이 참 좋아요. 남자에 대해서 짐작할 수도 없었던 부분들에 대해 알려주고 그럴 수도 있다, 자연스러운 것이다, 하고 이해의 폭을 넓혀줍니다.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이제야 알겠어요. 정말 남자란 여자와 완전히 다른 생물이구나 싶었습니다. 책을 덮고 속이 답답해질 정도로요. 그러나 어떡하겠어요. 받아들이고 특성을 이해하는 육아를 하고... 중요하고 핵심적인 규칙만은 단호히 선을 긋고요. 많이 배웁니다. |
사실 요즘 제가 다섯살 큰 아이 훈육문제로 고민이 참 많거든요. 다섯살 아들을 키우시는 엄마라면 비슷하게 공감하시겠지만 스리슬쩍 시작된 일춘기-
게다가 엄마인 저는 여자라 남자인 아들이 하는 행동들이 전혀 이해가 되질 않아요.
저희 아이는 100% 완벽한 아들성향의 남아도 아니라 더 어렵습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타이밍에 맞지 않을때 엉뚱한 것에 꽃힐 가능성이 농후한 아들이에요. 화가났을때 화르르 타오르는 다혈질인 성격이 저와 비슷해 엄마인 저와 많이 부딪히기도 하고,
기본적인 성향 자체는 조용하고, 낯가리고, 착하고, FM이고, 결벽있고- 아빠를 닮았는데
덕분에 요즘 훈육의 끝에 싸우고나서 후회하고, 막말해놓고 후회하고를 반복하다 안되겠어서,
그 노력의 일환으로 읽어보기 위해 구입한 책이 바로 이 책이에요.
늘 생각하는거지만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만큼 내 몸에 반영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앞으로 아이의 바른 성장과 올바른 훈육을 위해 제가 꾸준히 노력해야죠.
|
아들도 키우고 딸도 키우면서 육아서 많이도 봤는데 이렇게 사이다같이 속 시원한 아들 해법서는 처음이네요. 육아는 나이별로 정리할게 아니라 성별로 정리해야 하는거였네요. 아들이 받고픈 사랑은 언제나 인정.. 소통이 끊기는 순간 위기는 찾아온다.. 명심하겠습니다. |
손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다. 스마트폰만 열면 각종 강의 영상, 블로그 포스팅, 방송 영상이 나의 육아 방식에 훈수를 두고 문제가 생기면 각종 훈수들을 찾아보기 바쁘다. 그런데 말도 통하고 클만큼 컸다고 생각한 우리집 만 5세와 나는 가끔 심각하게 다툰다. 다툰다는 표현이 좀 웃기긴 한데 나는 열이 뻗쳐서 미치겠고 아이는 아이대로 바락바락 소리 지르며 울분을 표출한다. 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그때 눈에 띈 이 책 제목. 아들때문에 미쳐버릴 것 같은 엄마들에게 라니.. 너무 내 이야기잖아. 고민이고 뭐고 할 것도 없이 책을 주문했다. 그때도 한창 아이와 이기는 것만 좋은게 아니란다 라는 문제로 매일 씨름을 하던 때였으므로... 초등 이후의 아이들 이야기가 많아서 전부 나에게 부합하는 이야기는 아니었지만 최근 놀이만 하면 자기가 무조건 이겨야 하는 아이에게 져도 재미있게 놀 수 있어야 한다를 알려주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던 중이라 위의 이야기가 정말 와 닿았다. 갑자기 모든 일에 이기고 지는 개념을 적용하기 시작하더니 지면 삐지고 기분 나빠하고 자기가 이겨야만 놀이를 끝내려고 했다. 너도 지면 속상하듯이 엄마도 그래, 어떻게 너만 이길 수 가 있겠니 부터 시작해서 지는 것도 놀이의 일부야 질 때도 있고 이길 때도 있는거야 오만 얘기를 다 해줬지만 아이는 계속 이기고만 싶어했다. 그럼 엄마 아빠는 이 놀이 그만 할래 라고 협박아닌 협박도 해 보았고 일부러 몇 번 져 주기도 했으나 친구들하고 놀 때도 저런 식으로 놀이를 주도하면 곤란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책에 이런 조언을 해 준 것이다. 진 걸 인정하는 모습을 멋지다고 칭찬해 줄것. 그리고 엄마 아빠도 못하는게 있다는걸 알려줄것. 오늘 당장 놀이할 때 이야기해 줘야 겠다고 남편에게도 책을 펼쳐서 보여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