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리뷰란 무엇일까.
|
![]() "I have a dream."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세계 유명 명연설에 빠지지 않고 손꼽히는, 마틴 루터 킹의 상징과도 같은 문장이다. 1963년 미국 워싱턴 D.C. 링컨 기념관 앞에 모인 25만명의 청중에게 흑인과 백인이 하나되는 세상을 외친, 소박하지만 위대하고, 부드럽지만 강인한 역사적 연설. 그에 대해 알고 있는 사전 지식은 사실 많지 않았다. 그래서 킹 목사에 대해 더 알고 싶어서 이번 서평단 모집 글을 보고 신청을 했고 책을 받아볼 수 있는 행운을 얻었다. 우선 킹 목사에 대한 이력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자. 1929년 미국 애틀란타에서 태어는 그는 흑인들의 인권 향상과 현실 변화를 고민하다가 예수의 사랑과 간디의 비폭력주의를 결합한 사회개혁운동을 꿈꾸고 이를 현실 속에 구체화시킨다. 여기서 비폭력주의란 아무 행동을 하지 않고 수동적으로 인내한다는 뜻이 아니다. 저항은 하되 폭력적인 수단을 쓰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는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화합과 소통의 길이라고 여겼으며 이를 실천했다. 이러한 비폭력 인권운동에 대한 공로로 그는 1964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다. 자신의 개인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흑인을 비롯한 사회, 공동체를 생각하며 행동으로 보여준 그의 비전은 참으로 찬란히 빛났다. 베트남전에도 반대했으며 새로운 빈민 운동을 계획하던 중 1968년 괴한의 총탄에 그의 생을 마치고 만다. 39세 밖에 되지 않았던, 참으로 안타까운 사건이었다. 사실, 그는 자서전을 쓰지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은 그의 자서전으로 손색이 없다. 여기에 담긴 텍스트는 제3자가 창작한 것이 아니라 그가 생전에 남긴 기록들을 엮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유명한 것도 있고 생소한 부분들도 있다. 그의 삶을 온전하게, 그리고 생생하게 나타낸다. 너무 이성적이거나 너무 감성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어조가 아니라, 담담하게 자신의 삶을 옆에서 이야기하듯이 들려주는 문체는 오히려 감정을 더 북돋운다. 그의 숨결과 말결이 앞에서 느껴지는 듯하다. 헛되지 않은, 가치 있는 삶을 꿈꾸고 달려온 그의 인생을 따라가며 그를 다시금 그려 보고 그 마음을 살며시 들여다본다. 그가 꿈꾸던 세상, 킹 목사 서거 50년이 자닌 현재. 과연 지금은 어떤가. 아직 부족한 점은 있지 않은가. 책장을 덮으며 나는 나에게 나직이, 그러나 분명히 물어본다. 너에게는 꿈이 있냐고, 있다면 그 꿈은 무엇이냐고. 그리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지금 무엇을 할 것이냐고. 2019년 봄을 맞이하는 길목에서 삶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생각해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마틴 루터 킹 목사를 알고 있던 분들에게, 알고 싶은 분들에게, 그리고 지금까지 잘 몰랐던 분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https://blog.naver.com/joa4342/221552336484 * 이 리뷰는 예스24 리뷰어클럽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어린 시절 동화책을 읽던 시기를 제외하고, 20년이 조금 넘는 내 독서 인생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준 두 사람은 C. S. 루이스와 마틴 루터 킹이다. 기본적으로 학자였던 루이스의 경우는 많은 책들을 써서 모으는 재미와 함께 다양한 즐거움을 주지만, 목회자이자 대중운동가였던 킹의 경우는 많은 책을 남기지 않았다. 때문에 단편적인 글의 모음 정도만 겨우 읽어왔던 차에 킹의 자서전이라니 이런 게 있었나 하는 반가움에 구입을 했다.
하지만 킹은 실제로 자서전을 쓴 적이 없었다. 자서전이라면 보통 자신의 삶을 돌이켜 볼 수 있는 인생의 후반부에나 쓰기 시작하는 종류의 책이지만, 겨우 30대 후반의 나이에 암살을 당한 그로서는 제대로 준비조차 하지 않았을 테니까. 이 책은 킹의 글들을 모아 책으로 엮어온 클레이본 카슨이 킹의 생애와 그가 남긴 글들을 시간 순서대로 늘어놓아 엮은 사후 자서전이다. 물론 일부 편집자의 역할이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킹의 말과 글을 바탕으로 했기에 충분히 마틴 루터 킹을 접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만한 책이다.
마틴 루터 킹이라면 역시 비폭력저항의 대부로 알려져 있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것이 그가 비폭력 무저항을 주장했다고 생각하는 건데, 킹은 비폭력주의과 무저항주의를 분명히 구분한다. 생전에도 그를 향해 일종의 정적주의(Quietism)를 선포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오히려 킹의 비폭력주의는 저항을 하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봐야 한다. 폭력을 행하는 상대에게 저항을 하되 비폭력이라는 수단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쪽이 도덕적 우월성과 정당성을 드러낼 수 있는 좀 더 강력한 방식이니까.
실제로 그의 생각은 옳았던 것 같다. 흑인들의 지위 향상을 위한 그의 비폭력 투쟁은 비록 자신은 암살로 생을 마감하긴 했으나, 결국 여러 실제적 결과들을 얻어냈으니까. 물론 여전히 미국 사회에서 인종차별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긴 하지만.
또 한 가지 책을 읽으며 새롭게 깨달았던 것은, 그가 모든 영역에서의 비폭력을 주장했던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킹은 베트남 전쟁에서 반전주의의 편에 섰고, 이 때문에 수많은 정적들이 생겨나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개인 차원에서 자신이나 가족들을 공격하는 적에 대해 자기방어를 포기하라고 말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이를 당연한 것으로 여겼고, 심지어 총도 사용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것 같다. 다만 흑인인권운동의 차원에서는 비폭력이 훨씬 더 효과적이고 정당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킹은 열정적인 행동가였다. 북미 대륙 이곳저곳을 쉬지 않고 오고가며 그의 힘이 필요한 곳에 있기 위해 애를 썼다. 심지어 오전에 자신이 담임하고 있는 교회에서 사역을 하고, 비행기를 타고 투쟁의 현장에 갔다가, 다시 저녁 예배의 성례식을 위해 돌아오기도 했을 정도니까.
하지만 그는 행동파이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킹에게서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그의 상상력이었다. 흑인은 백인과 함께 앉아 식사조차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차별정책을 자랑스럽게 유지하겠다고 말하는 권력자 앞에서, 사나운 개와 물대포를 앞세우고 위협하는 경찰청장들을 마주하고 있으면서도 킹은 노예주인과 노예의 후손들이 손을 잡고 함께 나아갈 날을 보고 있었다.
어쩌면 이런 상상력이 그로 하여금 불가능해 보이는 행동을 꿋꿋하게 해 낼 수 있도록 만드는 원동력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그의 연설을 듣고 있으면 나도 모르게 그게 보고 있는 것을 보게 되고, 그와 함께 앞으로 나아가고 싶어진다. 탁월한 연설가였다.
일단 책 자체도 두툼하고, 이전의 다른 책들에서 봤던 문장들과 글들도 상당수 담겨 있어서, 마틴 루터 킹이라는 인물의 투쟁과 그가 품고 있던 생각을 이해하는 데 좋은 기본 교과서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잘 엮은 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