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논술 수업을 이유로 과학이나 수학에 관련된 책을 읽게 되는 경우가 있다. 가능하면 이런 책이 재미있기를 바라지만 내 입장에선 즐겁다 생각한 적은 없다. 하지만 큰 아이는 나와 좀 다른 것 같다. 나는 어렵다고 생각한 과학관련 책을 읽으며 어떤 책은 중학교 수준이고 또 어떤 책은 초등학교 수준이고 또 어떤 책은 고등학교 이상의 수준이라 말해준다. 큰 아이가 화학 쪽으로 진로를 정하면서 이와 관련된 책을 같이 읽고자 마음먹었다. 같이 대형서점에 나가면 제일 좋겠지만 그럴 시간이 없었던 지라 이번엔 내가 아이에게 책을 추천하고 같이 읽기로 했다. 영화, 그림에서 화학을 발견하는 책을 읽었고 이번에는 화학 교과서와 관련된 재미있는 주제로 접근하는 책을 읽게 되었다. 영화와 그림과 관련된 화학보다 이번 편이 제일 어렵게 느껴졌다. 아무래도 화학교과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서 일까? 화Ⅰ과 화Ⅱ의 영역을 모두 다룬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분자들의 세계, 원소, 화학 반응, 다양한 물질들, 화학 평형, 화학 반응과 속도, 인간을 이롭게 하는 화학. 다양한 주제로 풀어내는 이야기는 확실히 흥미를 끈다. 아나스타샤는 진짜 러시아 공주인지 (여기서 DNA 지문법을 설명하고), 신비한 나노기술을 설명하며 미인 만들기 프로젝트를 이야기 한다. 세기의 발명품답게 이름 짓는 것조차 어려웠던 나일론에 대한 설명을 하고, 케미 돋는 사랑으로 원자와 분자의 세계를 설명하고, 주기율표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질서라 명명한다. 산업의 비타민인 희토류 원소를 이야기 하고 잉키 제국의 비극과 철에 대한 기술을 연결하며 금의 가치와 자동차, 맥주 원리가 같음을 이야기 한다. 김연아 선수가 얼음 위에서 넘어지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고 지방의 두 얼굴을 이야기 해주며 총알도 뚫지 못한 방탄복에 대한 설명과 스포츠 음료에서 삼투압의 원리를 설명한다. 악마와 천사가 함께 준 선물로 화약을 설명하고 예수의 시신을 덮은 수의에 대해서도 화학적으로 이야기한다. 이 밖에도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설명하고 이야기를 끌어가는데, 처음 시작한 주제는 흥미를 끄는 것이었으나 깊이 들어간 설명은 내 입장에선 여전히 어려운 제2 외국어 같았다.
화학적 원리나 이론을 설명하는 것들은 내 입장에선 글자만 읽는, 이해할 수 없는 암호 같다고 느낀다. 큰 아이와 같이 읽었지만 아이는 재미있다는 반응이, 나는 뭔 말인지 글자만 읽은 기분이라는 반응이. 어찌나 이렇게 상반된 반응인지. 다만 이런 생각은 했다. 혹 아이가 화학 시험을 못보더라도 다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나도 이렇게 어려운데 아이 역시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 다행히 아이는 화학을 재미있어 하고 즐거워한다. 화학이 주는 매력이 무엇인지도 알고 있는 것 같다. 책을 읽는다고 화학에 대해 잘 아는 건 아니지만 화학 곁으로 조금 가까워진 기분이 든다. 다음엔 같이 읽지 말고 아이 혼자서만 읽는 걸로.. 이렇게 말해주고 싶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