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프롤로그
PART.1 선거 환경 제1장 좋은 정치인 만들기 Ⅰ. 좋은 정치인 Ⅱ. 정치인의 조건 Ⅲ. 정치인 프로젝트 Ⅳ. 정치인 지름길 Ⅴ. 성공하는 정치인 Ⅵ. 결론 제2장 한국정치의 이해 Ⅰ. 한국사회와 선진화 Ⅱ. 한국정치의 선진화 과제 Ⅲ. 한국정치와 돈 Ⅳ. 한국 정치와 선진국 정치 비교 Ⅴ. 한국 정치의 선진화를 위한 제언 Ⅵ. 결론 제3장 선거의 구성요소 Ⅰ. 공직선거법 Ⅱ. 선거구제 Ⅲ. 정당 Ⅳ. 선거일 Ⅴ. 선거운동기간 Ⅵ. 선출 직종 Ⅶ. 피선거권 Ⅷ. 각종선거의 조건 PART.2 선거 전략 제4장 유권자 분석 Ⅰ. 유권자의 선거권 Ⅱ. 유권자의 정치 수준 Ⅲ. 유권자의 투표행위 분석 Ⅳ. 유권자의 후보선택 기준 Ⅴ. 지역별 유권자수 비교분석 Ⅵ. 지역별 정당 지지도 첫 번째 선거 이야기. 서울특별시 초대 민선 교육감 보궐선거 제5장 후보자 전략 Ⅰ. 후보자 출마여부 판단 Ⅱ. 후보자 경쟁력 판단 기준 Ⅲ. 국민 4대 의무 이행조건 Ⅳ. 후보자 성찰 5개항 점검 Ⅴ. 후보자 당선 필요 기본조건 Ⅵ. 출마 결심 전 점검 사항 Ⅶ. 후보자의 건강관리 Ⅷ. 후보자의 배우자 역할 Ⅸ. 후보자 준비사항 Ⅹ. 후보자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행동지침 ?. 후보자가 유세를 잘 하는 방법 두 번째 선거 이야기. 동정표 결집으로 당선된 국회의원 제6장 선거 조직원 구성 전략 Ⅰ. 조직의 종류와 역할 Ⅱ. 참모의 역할과 선발 시 점검사항 Ⅲ. 조직 구성원 업무 전략 Ⅳ. 후보자의 조직운영지침 Ⅴ. 선거참모 명심보감(참모 필승전략) 세 번째 선거 이야기. 선거의 귀재 ‘엄창록’ 선거참모 제7장 선거 전략 Ⅰ. 선거 전략 수립의 기준 Ⅱ. 선거 전략기획 필요 기초자료 및 선거장비 Ⅲ. 선거공약개발 참고사항 Ⅳ.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효과 Ⅴ. 선거이슈 전략 Ⅵ. 선거구내의 전선 파악 Ⅶ. 지지세 우위 확보 전략 Ⅷ. 선거 켐페인 방향설정 네 번째 선거 이야기. ‘돌아온 남대천 연어’ 초대 민선 강원도지사 제8장 여론조사 전략 Ⅰ. 여론조사의 종류 Ⅱ. 조사의 기본문제 Ⅲ. 여론조사의 단계별 준비사항 Ⅳ. 여론조사의 진행과정별 주의사항 다섯 번째 선거 이야기. 참여연대의 낙선운동 제9장 선거운동원 교육 전략 Ⅰ. 선거종사원의 10계명 II. 선거와 전쟁의 공통점 III. 후보자 신상에 대한 교육(유인물 제작 배포) Ⅳ. 후보자 신상명세 내용 요약 (선거운동원 참고사항) Ⅴ. 표의 종류 Ⅵ. 득표활동 3대원칙 VII. 득표활동 계획 수립(공조직) VIII. 선거운동원의 필승 행동강령 IX. 구전홍보 여섯 번째 선거 이야기. 보선에 출마한 청문회스타 PART.3 선거 캠프 운영 제10장 파트별 업무 FLOW I. 조직구성(안) 체계도 II. 선거기획 계획수립 제11장 파트별 업무 분장표 Ⅰ. 후보자(후보 배우자) Ⅱ. 수행팀 Ⅲ. 선거사무장(총무부) Ⅳ. 회계책임자 Ⅴ. 전략기획팀장,상황실장 Ⅵ. 홍보부 Ⅶ. 조직부 Ⅷ. 교육부 에필로그 별첨부록 부록. 1 ?공직선거법? 주요 개정 내용 부록. 2 법정 선거홍보물 제작 |
이 책은 저자들이 오랜 기간 동안 선거 현장에서 연마하고 체득한 전략 전술을 기록한 전술서이다. 이 책을 여는 순간, 훌륭한 ‘책사(策士)’를 만날 수 있다.
선거는 단순한 캠페인이 아니라 융합테크닉이다. 선거는 정치행위의 총체적 결정판이므로 ‘전략적 접근’이 필수이다. 선거전략의 요체는 ‘부동층을 자기편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선거전은 이른바 총성 없는 전쟁이고, 선거전쟁도 전략과 전술을 바탕으로 한다. 선거전에서의 최대 무기는 후보자 자기 자신이며, 훌륭한 참모의 확보와 맞춤 전략과 전술의 구사는 당락을 좌우할 수 있다. 선거 전략은 작전계획서이고, 선거전술은 선거에 사용될 프로들의 테크닉이다. 선거 전략서가 수 없이 많지만 실제적으로 실전에 사용하고 응용할 전략을 담아낸다는 것은 탁상이론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선거 전략은 다양한 실험과 실전의 경험을 통한 체득에서 나올 수 있음이 물론이기 때문이다. 선거에서 당선을 위한 전략체계 수립은 당선을 위한 설계의 토대로서 전략전술을 구사하는 ‘책사(策士)’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이 책은 한정된 시간과 제한 속에서 귀하를 당선에 이르는 빠른 왕도(王道)의 길로 안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