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문학지리학개론
양장
가격
32,000
32,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제1장 문학지리학의 연구 대상과 전공 설정

제1절 문학지리학의 연구 대상
제2절 문학지리학의 전공 설정
제3절 문학지리학의 지식 체계
1. 문학지리학 학술사
2. 문학지리학 원리
3. 문학지리학의 연구 방법
4. 문학지리학비평
5. 다양한 문학지리
제4절 문학지리학의 의의
1. 문학 감상과 관련한 의의
2. 문학 창작과 관련한 의의
3. 문학비평과 관련한 의의
4. 전공 설립과 관련한 의의
5. 환경 보호 및 개선과 관련한 의의
6. 장소감 촉진과 관련한 의의

제2장 지리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제1절 자연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1. 작가의 기질과 인격에 미치는 영향
2. 문학 제재와 문학지리 공간, 문학 풍격에 미치는 영향
제2절 인문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1. 국가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2. 지역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3. 가정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제3절 문학에 영향을 미치는 지리환경의 핵심 요소
1. 자연기후가 문학에 미치는 영향
2. 인문기후가 문학에 미치는 영향
제4절 지리환경이 문학에 영향을 주는 경로와 원리
1. 작가의 생명 의식
2. 생명 의식 촉발의 매개
3. 지리환경이 문학에 영향을 주는 원리

제3장 작가의 지리 분포

제1절 적관·조적·군망·객적
제2절 작가의 정태 분포
1. 분포 방식
2. 분포 법칙
제3절 작가의 동태 분포
1. 장기 동태 분포
2. 단기 동태 분포
제4절 정태 분포 및 동태 분포의 의의 비교

제4장 문학작품의 지리 공간

제1절 지역, 구역 및 공간
1. 지역과 구역
2. 지역, 구역과 공간
제2절 문학작품의 지리 공간 요소
1. 숨겨진 요소: 감정, 사상
2. 드러난 요소: 경관, 실물, 인물, 사건
제3절 문학작품의 지리 공간 구축
1. 공용어와 방언
2. 지리 공간 구성의 기본 양식

제5장 문학의 확산과 수용

제1절 문학 발원지의 가치와 배경
1. 문학 발원지의 가치
2. 문학 발원지의 배경
제2절 문학 확산의 두 가지 주요 유형
1. 이전 확산
2. 확대와 확산
제3절 문학 확산의 세 가지 효과
1. 명가 효과
2. 중심지 효과
3. 차이 효과
제4절 문학 확산과 지리환경
제5절 문학 수용의 지역 차이

제6장 문학경관

제1절 경관과 문화경관
제2절 문학경관의 정의, 유형 및 식별 기준
제3절 문학경관의 의의
제4절 문학경관의 가치

제7장 문학 영역

제1절 문학 영역의 정의와 특징
제2절 문학 영역의 유형
제3절 문학 영역의 구분 근거
1. 지리적 근거
2. 역사적 근거
3. 문학적 근거
제4절 중국 경내의 주요 문학 영역
1. 동북 문학 영역
2. 진롱 문학 영역
3. 삼진 문학 영역
4. 중원 문학 영역
5. 연조 문학 영역
6. 제노 문학 영역
7. 파촉 문학 영역
8. 형초 문학 영역
9. 오월 문학 영역
10. 민대 문학 영역
11. 영남 문학 영역

제8장 문학지리학 연구 방법

제1절 계지법
제2절 현지 연구법
제3절 공간 분석법
제4절 구역 분리법
제5절 구역 비교법
제6절 지리 의상 연구법

제9장 문학지리학 비평

제1절 문학지리학비평의 성질
1. 문학지리학비평의 성질
2. 두 가지 공간비평
제2절 문학지리학비평의 기본원칙
1. 텍스트 분석의 중시
2. 인간을 주체로
3. 시공간에 대한 중시
4. 환원의 한계
5. 환경의 간섭
제3절 문학지리학비평의 기본 순서
1. 텍스트에서 출발
2. 텍스트 탄생의 지리환경 고찰
3. 작가 개인 요소의 고찰
4. 텍스트 전파 효과 분석

부록: 문학지리학 연구사 검토
1. 중국 문학지리학 발전의 3단계
1) 단편적 언설 단계(B.?C. 544~A.?D. 1905)
2) 체계적 연구 단계(1905~2011)
3) 전공 건설 단계(2011~현재)
2. 외국 문학지리학의 주요 지역
1) 서유럽 지역(프랑스, 독일, 영국)
2) 북미 지역(미국, 캐나다)
3) 동아시아 지역(일본, 한국)
3. 문학지리학 전공이 중국에서 탄생한 원인
1) 중국문학지리학 연구의 특징
2) 중국문학지리학 연구의 단점
3) 문학지리학 전공이 중국에서 탄생한 원인

저자 소개5

증대흥

 

曾大?

중국 호북성 적벽 출신으로 중국 광주대학 교수이다. 중국 문학지리학회 회장·중국사학(詞學)연구회 상무이사·중국 문학지리학연구중심 주임을 맡고 있으며, 중국 중앙 CCTV 방송국 ‘백가강단(百家講壇)’에서 중화명루(中華名樓)에 대해 강연했다. 주로 중국 사학(詞學)·문학지리학·영남문화 등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 학술논문 160여 편을 발표하고, 『유영과 그의 사(柳永和他的詞)』, 『중국 역대 문학가의 지리 분포(中國歷代文學家之地理分布)』 등 학술 저서 20여 권을 출판했다.

정우락

 

鄭羽洛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북경대학교 방문학자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주로 한국문학사상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문화공간으로서의 영남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며 관련 글을 발표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 『남명과 퇴계사이』, 『남명문학의 철학적 접근』,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 『문화공간 팔공산과 대구』, 『모순의 힘, 한국문학과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북경대학교 방문학자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주로 한국문학사상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문화공간으로서의 영남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며 관련 글을 발표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 『남명과 퇴계사이』, 『남명문학의 철학적 접근』,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 『문화공간 팔공산과 대구』, 『모순의 힘, 한국문학과 물에 관한 사상력』, 『국역 흑산일록』, 『후산졸언 시문선집』 등이 있다.

정우락의 다른 상품

서주영

 

徐周永

경상북도 대구 출신으로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북경사범대학(北京師範大學)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에서 중국문학과 중국어를 강의하고 있으며,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문학과 고향의식에 관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왕소군(王昭君) 형상의 문학적 전형」 등이 있고, 저서로는 『모빌리티와 고향의 재탄생』 등이 있다.

서주영의 다른 상품

전설련

 
전설련(全雪蓮)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종가연구팀 연구원으로 있다. 논문으로는 <백하일기(白下日記)의 서술 방식(敍述方式)과 그 문학적(文學的) 성격(性格)>, <서천 조정규의 중국 체험의 시적 구현과 그 의의>, <대눌(大訥) 노상직(盧相稷)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 특징과 만주 인식> 등이 있고, 역서로는 ≪안자(晏子)≫(바닷바람, 2019)가 있다.

전설련의 다른 상품

부량

 

付亮

중국 하얼빈 출신으로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길림외국어대학(吉林外國語大學) 한국어학과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한국어 인칭접미사 ‘-꾼’의 의미적 선호와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중국어 신어의 단어 형성과 사회·문화적 특징: 2017, 2018년 신어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0월 10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654쪽 | 1024g | 153*224*35mm
ISBN13
9788971805879
32,000
1 3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