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정가제 Free
잡지 긋닛 1호 : 비대면 [2022]
가격
12,000
10 10,800
YES포인트?
600원 (5%) 마니아추가적립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최대 3,000원 즉시할인
  • 표지 스크래치, 내지 잉크 튐은 제작 과정 중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어 교환 대상이 아닙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비대면의 방법들 | 전치형
있을 법한 모든 것 | 구병모
졸려요 자기 | 이상우
일요일 아침 | 정용준

저자 소개4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부교수.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공부했다. 미국 MIT에서 과학기술사회론(STS: Science, Technology & Society)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독일 막스플랑크 과학사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밟았다. 과학잡지 <에피> 편집위원인 저자는 카이스트 교수로서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관계, 정치와 엔지니어링의 얽힘, 로봇과 시뮬레이션의 문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선조위 · 사참위 종합보고서 작성에 참여했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부교수.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공부했다. 미국 MIT에서 과학기술사회론(STS: Science, Technology & Society)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독일 막스플랑크 과학사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밟았다. 과학잡지 <에피> 편집위원인 저자는 카이스트 교수로서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관계, 정치와 엔지니어링의 얽힘, 로봇과 시뮬레이션의 문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선조위 · 사참위 종합보고서 작성에 참여했고, 과학기술학의 관점에서 세월호 진상규명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미세먼지, 세월호 참사, 지하철 정비, 통신구 화재 등의 사건들부터 로봇과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인류세 등의 주제들까지 과학적 지혜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영역들을 주목하고 고민한다.

전치형의 다른 상품

BYUNG MO-KU,具竝模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편집자로 활동하였다. 2009년 『위저드 베이커리』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제2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한 『위저드 베이커리』는 신인답지 않은 안정된 문장력과 매끄러운 전개, 흡인력 있는 줄거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오늘의작가상, 김유정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데뷔작 『위저드 베이커리』는 기존 청소년소설의 틀을 뒤흔드는, 현실로부터의 과감한 탈주를 선보이는 작품이었다. 청소년 소설=성장소설 이라는 도식을 흔들며, 빼어난 서사적 역량과 독특한 상상력으로 미스터리와 호러, 판타지적 요소를 두루 갖추었다는 평을 받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편집자로 활동하였다. 2009년 『위저드 베이커리』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제2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한 『위저드 베이커리』는 신인답지 않은 안정된 문장력과 매끄러운 전개, 흡인력 있는 줄거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오늘의작가상, 김유정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데뷔작 『위저드 베이커리』는 기존 청소년소설의 틀을 뒤흔드는, 현실로부터의 과감한 탈주를 선보이는 작품이었다. 청소년 소설=성장소설 이라는 도식을 흔들며, 빼어난 서사적 역량과 독특한 상상력으로 미스터리와 호러, 판타지적 요소를 두루 갖추었다는 평을 받았다. 작품을 지배하는 섬뜩한 분위기와 긴장감을 유지시키면서도 이야기가 무겁게 얼어붙지 않도록 탄력을 불어넣는 작가의 촘촘한 문장 역시 청소년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의 새로운 상상력을 자극하는 요소였다.

구병모 작가는 한 인터넷 웹진에서 '곤충도감' 이라는 작품을 연재했다. 이름을 가리고 봐도 구병모 작가의 작품인지 알 수 있을 만큼 작가 특유의 분위기가 살아 있는 작품으로, 용서에 대한 것을 주제로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2015년 소설집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로 오늘의작가상과 황순원신진문학상을 수상했다. 소설집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 『단 하나의 문장』 장편소설 『네 이웃의 식탁』, 『파과』, 『아가미』, 『한 스푼의 시간』이 있다.

구병모의 다른 상품

소설가. 지은 책으로 『두 사람이 걸어가』 『warp』 『프리즘』 『모닝빵』(공저)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공저) 등이 있다.

이상우 의 다른 상품

소설가.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9년 《현대문학》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가나』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 『선릉 산책』, 중편소설 『유령』 『세계의 호수』, 장편소설 『바벨』 『프롬 토니오』 『내가 말하고 있잖아』 등이 있다. 젊은작가상, 황순원문학상, 문지문학상, 한무숙문학상, 소나기마을문학상, 오영수문학상, 젊은예술가상 등을 수상했다.

정용준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2월 01일
쪽수, 무게, 크기
124쪽 | 176g | 130*200*8mm
ISBN13
9772951413000

책 속으로

‘비대면’의 명령은 비동시, 과대면, 비인간이라는 세 가지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얼굴을 마주 보고 만나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시간을 엇갈리게 하거나, 신체 없이 얼굴만 확대하여 모니터 위로 옮겨놓거나, 마주 볼 상대방을 아예 없애버린다. 이러한 세 가지 비대면의 양식에서는 대면의 위험을 안고 있는 인간을 처리하는 방법이 모두 다르다.
전치형, 주제 에세이 「비대면의 방법들」
--- p. 9

몇 분 지나지 않아 C는 허리를 곧추세우고 앉는다. 도우미가…… 그전과 다른 사람이다.
지나간 영상 두 달 치를 모두 재생해본다. 단 한 번 면접을 보았을 뿐인 도우미의 얼굴을 선명하게 기억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바로 지난주까지 왔던 사람은 전형적인 짧은 펌의 장년長年 여성이었는데, 오늘 영상에는 긴 생머리를 묶은 중년 여성이 나온다. 어쩌면 C보다 적은 나이일지도 모르는 얼굴이다.
구병모, 「있을 법한 모든 것」
--- p. 53

내가 그때보다 딱히 나아진 게 하나도 없기 때문에 가고 싶지가 않았던 것 같아요. 그때의 장소에서 그때의 사람들을 다시 만나고 그때로부터 그렇게 시간이 많이 흘렀는데도 여전히 아무것도 없는 나를 보여주기가 싫었어. 변한 게 뭐가 있지. 도대체. 정말. 정말 그렇게 생각해? 모르겠어요. 나는 정말이라는 것이 가능한 단어인지도 모르겠어. 그냥. 응 그냥 그리고요? 있지 슬슬 잠이 와. 또? 그만 자. 아직 이야기 중인데. 알아요. 그런데 있지.
이상우, 「졸려요 자기」
--- p. 81

제가 전화를 건 이유는요. 오늘 저는 죽을 예정인데요. 상담원님은 이런 전화 많이 받아보셨을 테니까 제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 판단 좀 해주세요. 제 말을 들어보시고 다른 사람들에 비해 제 삶이 객관적으로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살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그러면 제가 살게요.
(……)
보호종료가 되면 이제부터 나는 내가 보호해야 해요. 그런데 나는 나를 보호할 능력이 없고 경험도 없었어요.
정용준, 「일요일 아침」

--- pp. 106-107

출판사 리뷰

점점 더 뉴스를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화면 속 이야기일 뿐, 나와는 관계없는 일인 줄로만 알았던 뉴스 속 사건들이 나의 일상이 되어버린 지 오래입니다. 무엇보다, 감당할 수 없는 이 뉴스들은 쌓이는 속도보다 더 빨리, 휘발되어버립니다. 뉴스 속 일들보다 당장 눈앞의 일상이 더 무겁게 우리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최선을 다해 그 일상을 살아내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함께 고민하는 것, 잊지 않는 것, 나아가는 것 역시 우리의 일입니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읽고 씁니다.

언어와 기록을 통하면, 특히 이야기의 형식을 통과하면 그 안에는 크고 강한 힘이 생깁니다. 금세 휘발되어버리는 뉴스와 달리 창작자의 깊은 고민을 거쳐 전혀 다른 방식으로 태어난 이야기들은 읽는 이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에 각각 다른 방식으로 가 닿아 오래 살아남습니다. 한순간 자극적으로 다가왔다가 순식간에 사라져버리는 말들과는 전혀 다른 힘이 있습니다.

이야기는 타인이 어떻게 느끼는지를 직접 알려줄 수는 없지만, 그들이 처한 상황에서 우리가 어떻게 느낄지를 상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이야기가 가지는 공감의 힘일 것입니다. 추상적인 논증은 어느 정도 배경지식을 일러줄 수 있지만, 이야기야말로 오히려 직접적이고 절실하게 핵심을 보여줍니다.

2022년 12월을 시작으로, 계간으로 발행되는 『긋닛』은 그런 이야기의 힘을 믿습니다. 이야기는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이 세계와, 거기에 분명히 있지만 잘 보이지 않고 보지 않으려 하는 세계를 연결해 보입니다. 『긋닛』은 우리 시대에 간과할 수 없는 특정한 주제와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편의 주제 에세이와 세 편의 단편소설을 엮어 독자들에게 선보입니다.

‘긋닛’은 단속斷續의 옛말입니다. 끊어지고 또 이어지는 것.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자주 멈추어 섭니다. 전력질주를 하다가, 느리게 걷다가, 다시 속도를 내었다가, 어느 순간 우뚝 그 자리에 멈추어 서고 맙니다. 멈칫거리고 주위를 둘러보다가 왔던 길을 되짚어가야 할 때도 있습니다. 우리가 멈춘 그 자리에서 내딛는 다음 발걸음이 어디로 향할지,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긋닛』 1호의 주제는 ‘비대면’입니다. 코로나 팬데믹을 통해 촉발된 비대면을 통해 생겨난 새로운 풍경들은 다시 다양한 현상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주제 에세이와 함께 각기 다른 개성의 세 단편은 읽는이를 수시로 멈칫거리게 하면서도 손에서 책장을 놓지 못하게 만듭니다.

리뷰/한줄평1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10,800
1 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