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혁명의 시대 (GB 100만 부 특별 리커버판)
양장
가격
28,000
5 26,6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한길그레이트북스 스페셜 컬렉션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카드뉴스7
카드뉴스8
카드뉴스9

책소개

목차

이중혁명과 자본주의 세계의 형성/김동택
서문
머리말

제1부 전개과정

제1장 1780년대의 세계
제2장 산업혁명
제3장 프랑스 혁명
제4장 전쟁
제5장 평화
제6장 혁명
제7장 민족주의

제2부 결과

제8장 토지
제9장 산업세계를 향해
제10장 재능에 따른 출세
제11장 노동빈민
제12장 이데올로기: 종교
제13장 이데올로기: 현세
제14장 예술
제15장 과학
제16장 결론: 1848년을 향해

지도와 표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 소개3

에릭 홉스봄

관심작가 알림신청
 

Eric John Ernest Hobsbawm

영국의 저명한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은 1917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유태계인 영국인 아버지와 오스트리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오스트리아를 거쳐 베를린에서 잠시 살았으나 히틀러가 집권하자 영국 런던으로 이주했다. 학창시절부터 이미 마르크스주의자임을 자임했던 그는 공산당원으로 활동하기도 했고, 케임브리지의 킹스 칼리지에서 역사학을 전공한 뒤 1982년 정년퇴임 때까지 런던 대학 버크벡 칼리지에서 강의와 연구에 헌신했다. 현재 영국 학술원과 미국학술원 특별회원이자 뉴욕 신사회조사연구원 교수, 버크벡칼리지 명예교수로 재직하며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영국의 저명한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은 1917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유태계인 영국인 아버지와 오스트리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오스트리아를 거쳐 베를린에서 잠시 살았으나 히틀러가 집권하자 영국 런던으로 이주했다. 학창시절부터 이미 마르크스주의자임을 자임했던 그는 공산당원으로 활동하기도 했고, 케임브리지의 킹스 칼리지에서 역사학을 전공한 뒤 1982년 정년퇴임 때까지 런던 대학 버크벡 칼리지에서 강의와 연구에 헌신했다. 현재 영국 학술원과 미국학술원 특별회원이자 뉴욕 신사회조사연구원 교수, 버크벡칼리지 명예교수로 재직하며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세기를 대표하는 마르크스주의 역사가이면서도 경직된 이념에서 탈피하여 방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균형 잡힌 시각을 견지하여 자유자의자들이 가장 많이 읽는 마르크주의 저술가로 꼽히고 있다. 그는 정치·경제 분야는 물론 사회·문화·예술 등 현실 삶을 구성하는 제 양상을 총체적으로 다루면서, 시기적으로는 17세기에서 20세기까지를 아우르고, 지역적으로도 제3세계를 포괄하는 방대한 영역에 관심을 나타냈다. 또한 재즈를 저항과 민중의 예술로 보고 재즈 비평가로도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역사 3부작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를 비롯해서 『극단의 시대』, 『산업과 제국』, 『노동하는 사람들』, 『원초적 반란자들』, 『역사론』 등이 있다.

에릭 홉스봄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공부했으며 합동통신사 등에서 외신부장, 경제부장, 출판국장 등을 지냈다. 옮긴 책으로는 한길사에서 펴낸 에릭 홉스봄의 명저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를 비롯해 윤건차(尹健次)의 『현대일본의 역사의식』, 마빈 해리스의 『식인문화의 수수께끼』, 시오노 나나미의 『바다의 도시 이야기』 등이 있다.

정도영의 다른 상품

『혁명의 시대』의 공동 역자다.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1월 30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372쪽 | 152*225*30mm
ISBN13
9788935677948

출판사 리뷰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이라는 이중혁명

1962년에 출판된 『혁명의 시대』는 19세기의 첫 번째 국면인 산업 자본주의의 등장을 다루고 있다. 홉스봄은 산업 자본주의가 승리한 이유를 이중혁명, 즉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에서 찾는다. 18세기 유럽은 농업과 절대주의가 지배하고 있었다. 이 중세적 구조의 산업(경제) 부분은 산업혁명이, 정치 부분은 프랑스혁명이 균열을 냈다는 것이 일반적인 역사 해석이다. 홉스봄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산업혁명은 단순한 산업 일반의 발전을 이끈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적 산업’의 승리를, 프랑스혁명은 ‘부르주아지적 자유와 평등(자본주의적 정치)’의 승리를 낳았다고 지적한다.

19세기 세계의 경제가 주로 영국 산업혁명의 영향 아래 형성되었다면 그 정치와 이데올로기는 주로 프랑스혁명으로 형성되었다.

물론 19세기 초까지만 해도 유럽을 지배하는 이들은 봉건 귀족이었다. 또한 농노제처럼 사람을 일정한 공간에 묶어놓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었다. 이 불안정한 사회는 19세기 중반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질서를 서서히, 하지만 확실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바야흐로 ‘자본의 시대’의 막이 열린 것이다.

“이 시대의 기본적 동인을 대표한 것이
자본주의가 아니라면,
이 시대가 부르주아지에 의해서
그리고 부르주아지를 위해서 만들어진
세계가 아니라면 그 무엇이었단 말인가.”
·에릭 홉스봄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6,600
1 26,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