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이중혁명과 자본주의 세계의 형성/김동택
서문 머리말 제1부 전개과정 제1장 1780년대의 세계 제2장 산업혁명 제3장 프랑스 혁명 제4장 전쟁 제5장 평화 제6장 혁명 제7장 민족주의 제2부 결과 제8장 토지 제9장 산업세계를 향해 제10장 재능에 따른 출세 제11장 노동빈민 제12장 이데올로기: 종교 제13장 이데올로기: 현세 제14장 예술 제15장 과학 제16장 결론: 1848년을 향해 지도와 표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
Eric John Ernest Hobsbawm
에릭 홉스봄의 다른 상품
정도영의 다른 상품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이라는 이중혁명
1962년에 출판된 『혁명의 시대』는 19세기의 첫 번째 국면인 산업 자본주의의 등장을 다루고 있다. 홉스봄은 산업 자본주의가 승리한 이유를 이중혁명, 즉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에서 찾는다. 18세기 유럽은 농업과 절대주의가 지배하고 있었다. 이 중세적 구조의 산업(경제) 부분은 산업혁명이, 정치 부분은 프랑스혁명이 균열을 냈다는 것이 일반적인 역사 해석이다. 홉스봄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산업혁명은 단순한 산업 일반의 발전을 이끈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적 산업’의 승리를, 프랑스혁명은 ‘부르주아지적 자유와 평등(자본주의적 정치)’의 승리를 낳았다고 지적한다. 19세기 세계의 경제가 주로 영국 산업혁명의 영향 아래 형성되었다면 그 정치와 이데올로기는 주로 프랑스혁명으로 형성되었다. 물론 19세기 초까지만 해도 유럽을 지배하는 이들은 봉건 귀족이었다. 또한 농노제처럼 사람을 일정한 공간에 묶어놓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었다. 이 불안정한 사회는 19세기 중반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질서를 서서히, 하지만 확실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바야흐로 ‘자본의 시대’의 막이 열린 것이다. “이 시대의 기본적 동인을 대표한 것이 자본주의가 아니라면, 이 시대가 부르주아지에 의해서 그리고 부르주아지를 위해서 만들어진 세계가 아니라면 그 무엇이었단 말인가.” ·에릭 홉스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