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푸코와 철학자들
동반자 또는 경쟁자와 함께 읽는 푸코 양장
민음사 2023.03.10.
베스트
서양철학 top100 3주
가격
35,000
5 33,250
YES포인트?
350원 (1%)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 김은주 푸코와 철학

1부 푸코와 근대 철학자들

1장 푸코와 칸트 | 허경 | 칸트적 ‘근대’에서 니체적 ‘현대’로─에피스테메의 변형을 중심으로
2장 푸코와 니체 | 도승연 | 힘에의 의지에서 지식-권력으로─푸코의 니체 활용
3장 니체와 푸코 | 정대훈 | 지식의 의지 개념의 조형─푸코가 니체에게서 계승하지 않은 것
4장 푸코와 하이데거 | 설민 | 역사인가, 철학인가?─푸코와 하이데거의 역사적 존재론과 철학적 자기 정당화의 문제

2부 푸코와 동시대 프랑스 철학자들

5장 푸코와 데리다 | 김은주 | 푸코-데리다 광기 논쟁을 통해 본 데카르트라는 사건
6장 푸코와 캉길렘 | 주재형 | 과학, 생명, 주체
7장 푸코와 알튀세르 | 진태원 | 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
8장 푸코와 들뢰즈 | 최원 | 저항이 가능한 장소─상이한 바깥의 위상학들

3부 푸코의 윤리 계보학과 고대 철학자들

9장 푸코와 고대 철학 | 심세광 | 자기 삶을 스캔들로 만들기─진실의 용기와 자유의 실천

필자 소개
찾아보기

저자 소개2

김은주

 
서울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스피노자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2년 프링스 리옹고등사범학교(Ecole Normale Superieure de Lyon)에서 상상을 산출하는 인과성과 상상이 만들어내는 인과성을 중심으로 스피노자의 인과성 개념을 다루는 논문을 써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피노자를 중심으로 데카르트와 홉스 등 17세기 철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면서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자크 라캉 등 현대 프랑스 철학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와 단국대 등에서 시간강사, 한양대에서 박사후연구원 및 학술연구교수롤 거쳐, 현
서울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스피노자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2년 프링스 리옹고등사범학교(Ecole Normale Superieure de Lyon)에서 상상을 산출하는 인과성과 상상이 만들어내는 인과성을 중심으로 스피노자의 인과성 개념을 다루는 논문을 써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피노자를 중심으로 데카르트와 홉스 등 17세기 철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면서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자크 라캉 등 현대 프랑스 철학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와 단국대 등에서 시간강사, 한양대에서 박사후연구원 및 학술연구교수롤 거쳐, 현재 국립부경대 교양교육원 교수로 있다. 저서로 『생각하는 나의 발견, 방법서설』(미래엔, 2007)과 『스피노자의 귀환』(공저, 민음사, 2017)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테러 시대의 철학: 하버마스, 데리다와의 대화』(지오바나 보라도리, 공역, 문학과지성사, 2002),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알렉상드로 마트롱, 공역, 그린비, 2008), 『스피노자 매뉴얼』(피에르-프랑수아 모로, 공역, 에디토리얼, 2019) 등이 있다.

김은주의 다른 상품

진태원

 
연세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스피노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 연구교수로 있고, [황해문화] 편집주간으로 있다. 저서로는 『을의 민주주의』, 『알튀세르 효과』(편저), 『스피노자의 귀환』(공편), 『포퓰리즘과 민주주의』(편저) 등이 있으며, 자크 데리다의 『법의 힘』, 『마르크스의 유령들』, 에티엔 발리바르의 스피노자와 정치』, 『우리, 유럽의 시민들』, 『정치체에 대한 권리』, 『폭력과 시민다움』, 피에르 마슈레의 『헤겔 또는 스피노자』, 자크 랑시에르의 『불화: 정치와 철학』, 장 프랑수아
연세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스피노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 연구교수로 있고, [황해문화] 편집주간으로 있다. 저서로는 『을의 민주주의』, 『알튀세르 효과』(편저), 『스피노자의 귀환』(공편), 『포퓰리즘과 민주주의』(편저) 등이 있으며, 자크 데리다의 『법의 힘』, 『마르크스의 유령들』, 에티엔 발리바르의 스피노자와 정치』, 『우리, 유럽의 시민들』, 『정치체에 대한 권리』, 『폭력과 시민다움』, 피에르 마슈레의 『헤겔 또는 스피노자』, 자크 랑시에르의 『불화: 정치와 철학』,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의 『쟁론』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스피노자 철학을 비롯한 서양 근대철학을 연구하고 있고, 현대 프랑스철학과 정치철학, 한국 민주주의론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다.

진태원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3월 10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456쪽 | 800g | 152*225*25mm
ISBN13
9788937444616

책 속으로

강연이나 인터뷰에서 푸코는 자신이 철학자가 아니라고, 자신의 작업이 철학적인 것이 아니라고 굳이 강조하곤 한다. “저는 작가도 아니고, 철학자도 아니고, 대단한 지식인도 아닙니다. 저는 교육자입니다.” “당신은 철학적인 질문을 하고 계십니다. 또한 저를, 아마도 너무 후하게도, 철학자라고 가정하면서 말입니다. 그러나 저는 철학자가 아닙니다. 저는 철학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
우리는 이 길을 택하는 대신 푸코가 이런저런 철학자들과 맺은 관계를 다룬다. 그가 당대나 이전의 철학자들과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벌인 대결과 그들의 계승을 고찰하는 것이다. 푸코의 유명론적 관점을 고려하건대 여기에는 분명한 이점이 있다. 푸코에게 중요한 것은 하나의 학문 분과나 일반명사로서의 철학이 아니라 특정한 지적 지형에서 부상한 특정한 담론적 사건으로서의 철학이며 개개 철학자들은 이 사건들의 구현체로 다룰 수 있기 때문이다.
---「머리말」중에서

『말과 사물』에 관한 한 인터뷰에서 푸코는 ‘인간’이 근대의 발명품이며 그 인간이 죽었다고, 그런 의미에서 휴머니즘은 우리 시대의 커다란 도착(倒錯, perversion)이며 거기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정직한 사람(honnete homme)이라면 주술에서 깨어나는(se desenchanter) 법을 배워야 한다.”라는 베버적 표현과 함께. 이제 우리는 푸코의 철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푸코에게는 근대 이래 ‘철학’과 ‘인간’이 밀접하게 결속되어 있는 만큼 그리고 적어도 이론적 지식 분과로서의 철학은 근대의 발명품인 만큼, 인간의 죽음과 더불어 이런 의미의 철학 역시 자리를 잃게 되었다고 말이다. 그렇다면 자신이 철학자가 아니고 자신의 작업이 철학에 속하지 않는다는 푸코의 부인은 철학의 죽음을 ‘정직한 사람’의 눈으로 직면하려는 용기의 현시이자, 철학 바깥에 있으면서 도래할 철학을 준비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서론 푸코와 철학」중에서

출판사 리뷰

칸트, 니체, 하이데거, 데리다, 캉길렘,
알튀세르, 들뢰즈 그리고 고대 철학까지
철학 바깥에서 푸코가 읽은 철학자들

“당신은 철학적인 질문을 하고 계십니다. 그러나 저는 철학자가 아닙니다.”


한 대담에서 푸코는 상대에게 이렇게 응수했다. 여러 자리에서 이처럼 철학의 외부자를 자처한 푸코에게 중요한 것은 특정한 지적 지형에서 부상한 담론적 사건으로서의 철학이다. 고전적 텍스트보다 방대한 문서고를, 유명 사상가보다 무명의 사람들을 들여다본 푸코에게 철학자들은 그러한 사건들의 구현체로 의미가 있다. 푸코의 비판적 접근은 근대라는 특정 시기를 겨냥하는데, ‘인간학적 잠’에 빠져든 칸트적 근대와 철학으로부터 영성을 결정적으로 분리시킨 데카르트적 근대로 크게 나뉜다. 전자의 귀결이 현상학을 비롯한 주체 철학이고, 후자의 귀결이 논리실증주의 같은 인식론화된 철학일 때 양자를 비판한 푸코의 고유한 문제의식이 생생해지며 그 모든 사상적 영향력의 정체가 드러나게 된다.

『푸코와 철학자들』은 푸코가 계승하거나 맞선 철학자들을 세 부류로 나누어 철학사적 연대기와 푸코 사상의 전개에 따라 배치한다. 1부에서는 근대의 에피스테메에 속하면서 푸코의 전 작업에 걸쳐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길잡이가 된 칸트(허경), 니체(도승연, 정대훈), 하이데거(설민)를 다룬다. 2부에서는 푸코가 동시대에 직간접적으로 비판적 대화를 주고받은 데리다(김은주), 캉길렘(주재형), 알튀세르(진태원), 들뢰즈(최원), 그리고 이 대결의 장소가 되었던 데카르트와 마르크스를 탐구한다. 3부에서는 푸코 후기를 특징짓는 대안적인 주체화 양식의 참조처인 고대 그리스·로마의 철학자들(심세광)을 살펴본다.

현대 프랑스 철학에 대한 철저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는 김은주·진태원 교수가 엮은 아홉 편의 연구는 푸코의 현재성을 확인하려는 독자에게 정확하게 응답한다. ‘철학과 비철학’을 오가는 푸코의 행보는 니체·하이데거와의 근원적 관계로부터 해명된다. ‘인간이 사라진 시대에 언어작용이 도래한다’는 푸코의 전망은 칸트가 개시한 인간학에서 인공지능의 번영까지 ‘인간의 죽음’과 언어의 관계를 설명한다. 과학 앞에 선 철학의 위상을 파고들어 ‘생명주의 철학’이 도출되고, 치열한 정치적 사고 속에서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심오한 대안’과 ‘헤테로토피아의 위상학’이 제시된다. ‘통치’ 그리고 ‘돌봄’을 도입해 윤리와 정치를 근접시킨 시도는 후기 푸코의 사유가 이전과의 단절이 아니라 연속성을 이루고 있음을 드러낸다. 독자는 이 한 권에서 35년여에 걸친 한국의 푸코 수용이 거둔 결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33,250
1 33,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