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크레마클럽 EPUB
eBook 북한 이주민과 함께 삽니다
EPUB
김이삭
나무발전소 2023.05.02.
가격
9,800
9,800
YES포인트?
49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 상품의 태그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카드뉴스7
카드뉴스8
카드뉴스9
카드뉴스10
카드뉴스11

소개

관련 동영상

목차

들어가면서 006

part1. 만나서 반갑습니다

#01 덕후의 중문과 진학 014
#02 취업준비냐 학과 원어연극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018
#03 고향은 어디예요? “북쪽인데요.” 022
#04 중국문화과에서 만난 사람들 028
#05 민의 고백 032
#06 토끼는 토끼굴 근처의 풀을 먹지 않는다 036
#07 까치는 까치끼리, 까마귀는 까마귀끼리 040

part2. 본업은 ‘연애’입니다

#08 민과 나 048
#09 갑자기 나타난 교회 누나 053
#10 본업은 ‘연애’입니다 057
#11 베트남 여행 063
#12 민의 친구들 070
#13 북한 이주민도 다 같지는 않더라 073
#14 조금 달랐던 명절 풍경 075
#15 다른 곳에서의 삶 079
#16 사랑의 힘이었을까? 085
#17 청혼 089

part3. 비슷하게, 가끔은 다르게 삽니다

#18 소수자가 불편하지 않은 사회 098
#19 도토리묵과 평양냉면 103
#20 흔하지는 않은, 배우자의 가족 106
#21 북한 이주민 남성이 한국에서 취업하기 112
#22 아빠 육아 보조금을 허하라 117
#23 제사는 안 지냅니다만 122
#24 추억의 음식 ‘두부밥’ 127
#25 딸이 뭐가 어때서 129

part4. 그렇게 가족이 된다

#26 한국인 번역가 김 여사의 눈물 136
#27 첫 번째 앤솔로지를 출간했을 때 143
#28 북한 이주민 2.0 세대 149
#29 대만으로 떠난 가족 여행 155
#30 사랑의 불시착 159
#31 배우자의 담당형사 162
#32 앞으로 가족 모임은 167

저자 소개1

김이삭

 
평범한 시민이자 소설가 그리고 번역가. 『베스트 오브 차이니즈 SF: 중국 여성 SF 걸작선』, 『인사반파자구계통』 등 중화권 장르 소설과 웹소설을 번역했으며 한중 작가 대담, 중국희곡 낭독공연 등 국제 문화 교류 행사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장편『한성부, 달 밝은 밤에》, 『감찰무녀전』, 단편집『천지신명은 여자의 말을 듣지 않지』, 에세이『북한 이주민과 함께 삽니다』 등이 있다. 홍콩 영화와 중국 드라마, 대만 가수를 덕질하다 덕업일치를 위해 대학에 진학했으며 서강대에서 중국문화와 신문방송을, 동 대학원에서는 중국희곡을 전공했다.

김이삭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5월 02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24.39MB ?
ISBN13
9791186536902

출판사 리뷰

“이 평범하고 특별한 사랑 이야기 소중하다”-CBS라디오 정혜윤 피디 강력 추천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현실판
갈등, 차별, 디아스포라, 소수자 등 복잡한 문제들을 유쾌한 연애/결혼 이야기로 풀어낸 책.
(나는) 북한 이주민과 함께 삽니다!
그리고…, (우리)는 북한 이주민과 함께 삽니다.


“어쩌다가 이 둘은 사랑에 빠졌을까?” 이 책은 ‘어쩌다’ 사랑에 빠지게 되었는지를 ‘여주’의 입장에서 서술한다. 남녀북남의 로맨스를 다룬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현실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로맨스 콘텐츠는 정복의 서사이자 전복의 서사이다. 판타지가 집약된 캐릭터라할지라도 ‘메이드 인 노스(North) 코리아’ 딱지가 붙는 순간 욕망의 대상이 되기 힘들었을텐데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은 당시(2019년) 남북화해 무드에 힘잆어 큰 인기를 끌었다. 현실판 남녀북남의 스토리는 드라마처럼 달콤하지 않다. 단짠단짝 사이에 매운 맛과 ‘현실 자각 타임’이 수시로 찾아온다.

“내가 여성이라서 어려움을 겪었다면, 민은 북한 이주민이라서 조금 다른 형태의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어떤 문제에서는 내 상황이 좀더 나았고, 어떤 문제에서는 민의 상황이 더 나았지만, 오십보백보였던 것 같다.”(책 115쪽, 「북한 이주민 남성이 한국에서 취업하기」 중에서)

우리가 당연하게 느꼈던 사회적 제도나 관습이 누군가에게는 부족한 또는 불편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명절에 친지와 가족들이 모여서 밥을 먹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만, 북한 이주민들 중에는 북한에 있는 가족과 함께할 수 없어 오히려 외롭고 힘든 시간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구직 활동에서 북한 이주민이 겪을 수 있는 차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된다.

“특히 규율은 명문화된 것도 있고, 암묵적인 것도 있다. 항공업계에는 취업이 불가하다든지, 중국 여행을 가지 말라든지, 경찰이 되면 안 된다는 규정이 있는 건 아니지만 틀림없이 면접에서 떨어질 거라든지…. (요즘 북한 이주민 취업 설명회가 경찰서에서 열리는데, 북한 이주민은 경찰이 될 수 없다니, 블랙코미디인가?)” (책 162쪽, 「배우자의 담당형사」 중에서)

이 책의 5장에는 미니인터뷰가 실려 있다. 작가는 서술자인 자신의 목소리만 담으려고 하지 않았다. 북한 이주민인 가족의 목소리도 함께 담으려고 했다.북한 이주민 1세대와 1.5세대 그리고 2.0세대까지 그들의 현재를 전달하고픈 작가의 고민이 느껴진다.

북한 이주민이 하는 말 중에 “까치는 까치끼리, 까마귀는 까마귀끼리”라는 표현이 있다. 북한 사람은 북한 사람과, 남한 사람은 남한 사람과 사귀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생긴 말이라고 한다. 종(?)을 뛰어넘은 이 둘이 발명한 ‘사랑’은 그래서 더 소중해 보인다. ‘까치’와 ‘까마귀’가 함께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는 세상이 오길 바라는 사람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채널예스 기사1

  • 김이삭 "북한 이주민이기 전에 이주민이에요"
    김이삭 "북한 이주민이기 전에 이주민이에요"
    2023.05.22.
    기사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