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黃善美
황선미의 다른 상품
조미자의 다른 상품
조용한 어린이의 마음을 세밀하게 들여다보는 이야기
동민이는 조용한 성격에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아이다. 겁이 많아서 엉뚱한 짓은 절대로 하지 않고, 숙제도 깜빡하는 일이 없다. 어느 날 동민이는 같은 반 친구인 경수가 울타리 넘는 장면을 보게 된다. 동민이의 동경과 걱정 섞인 시선을 오해한 경수는 선생님께 울타리를 넘었다고 고자질한 사람이 동민일 것이라 확신하며, ‘나중에 보자!’라고 한 방 먹이는 시늉을 한다. 동민이는 그날부터 경수를 크게 의식하며 걱정으로 하루를 보낸다. 작가는 소심하고 겁 많은 아이들의 마음을 잘 대변한다. 말을 삼키고 숨어 버리는 아이들이야말로 속에 할 말을 가득 품고 있다. 일기 검사 받기 싫은 마음을 차마 말로써 표출하지 못 하고, ‘너무너무 속상할 때는 높은 건물에 올라가서 꽤액 소리 지르는 게 낫겠다.’고 생각하는 동민이의 마음. 엄마가 일기를 훔쳐보거나 선생님이 검사하지 않았으면 하는 심리를 ‘일기장에 한 가지 장치를 하고 싶다. 바로 용수철이 달린 주먹이다. 용수철이 달린 눈알도 괜찮을 것 같다. 일기장을 펼치는 순간 튀어나오게.’ 라고 표현하는 등 일기에 얽힌 고민을 사실적으로 담아낸 묘사들이 눈에 띈다. 사람들은 아이가 어른의 사정을 모를 것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아이들이야말로 가장 가까이에서 모든 것을 듣고, 꿰고 있다. 작가는 어른의 사정과 마음까지 헤아려야 하는 아이들의 심리를 잘 보여주며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걱정의 울타리를 훌쩍 뛰어넘다 본래 일기는 자신을 돌아보는 의미로 쓰기 시작하지만, 누군가 검사한다고 생각하면 솔직한 내 심정을 쓰기 어렵다. 게다가 엄마랑 아빠가 싸운 일, 엄마가 울었던 일, 집이 가난해질지도 모르는 일들은 숨기고 고쳐야 한다고 한다. 동민이는 마음에도 없는 이야기를 써내다가, 결국 일기를 제출하지 않고 벌 받기를 선택한다. 그런 동민이에게 같은 반 친구 수연이 조언을 해 준다. 일기장을 두 개 만들어서, 나만 아는 것과 검사받는 것을 따로 두라는 것이다. 하지만 선생님과 친구들이 모르는 게 있다. 동민이는 꿋꿋이 일기를 쓴다. 다만 감추어 버릴 뿐이다. 어느 날 선생님은 동민이가 일기 끄트머리에 쓴 편지를 읽게 된다. 비밀로 해야 하는 일이 많아 일기를 쓰지 못하겠다는 것이다. 대신 문 잠그는 벌을 계속 받겠다고 한다. 동민이의 솔직한 마음과 책임감 있는 모습이 선생님에게 잘 가닿았던 것인지, 선생님도 동민이의 사정을 이해하게 된다. 갈등을 빚었던 경수와도 오해가 풀린다. 경수의 권유에 동민이는 용기를 내어 울타리를 뛰어넘고, 울타리 너머에 있던 아빠 품에 안긴다. 동민이는 자신을 괴롭혔던 걱정들과 화해하며 차츰 일기 쓰기를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어렸을 적에 검사 받기 싫었던 일기도 다 자란 뒤에 보면 슬며시 웃음 짓게 되고, 어느새 훌쩍 자란 내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독자는 동민이가 한층 더 성장한 모습을 지켜보며, 진정한 일기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글 너머에 감춰진 상상력을 자극하는 조미자 작가의 일러스트 동민이는 걱정과 상상이 많은 아이다. 경수와 싸우는 것을 사자 우리에 뛰어드는 일처럼 여기고, 변기에 빠지는 꿈을 꾼다. 일기에서 용수철 달린 주먹이 나오는 엉뚱한 상상을 하기도 한다. 조미자 작가는 동민이의 머릿속에서 재생되는 과장된 장면을 비유적이고 풍부한 색채의 일러스트로 보여 준다. 또, 말을 삼키는 대신 주변을 세심히 관찰하는 동민이의 시선을 면밀히 그려내 이야기의 맛을 살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