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발간사 ii
머리말 iii 총론 1 PART I 총론 1 CHAPTER 01 뇌졸중의 정의와 분류 3 CHAPTER 02 뇌졸중의 역학 11 CHAPTER 03 뇌졸중의 위험인자 및 일차예방 19 CHAPTER 04 뇌혈관계 해부학 27 CHAPTER 05 뇌혈류의 생리 47 CHAPTER 06 허혈뇌졸중의 병태생리 55 CHAPTER 07 출혈뇌졸중의 병태생리 63 CHAPTER 08 혈액응고기전 73 CHAPTER 09 동맥경화증 87 CHAPTER 10 뇌졸중의 병리 101 PART II 임상양상 115 CHAPTER 11 전순환뇌졸중의 임상양상 117 CHAPTER 12 후순환뇌졸중의 임상양상 127 CHAPTER 13 일과성허혈발작 139 CHAPTER 14 혈관인지장애 147 CHAPTER 15 언어, 행동, 기분장애 155 CHAPTER 16 뇌졸중척도 165 CHAPTER 17 뇌졸중의 예후 177 PART III 흔한 발병기전 185 CHAPTER 18 경동맥 및 척추동맥죽경화질환 187 CHAPTER 19 두개내죽경화질환 197 CHAPTER 20 심장성색전뇌졸중 215 CHAPTER 22 백질변성과 미세뇌출혈 237 CHAPTER 23 원인불명뇌졸증 247 CHAPTER 24 뇌내출혈 255 CHAPTER 25 거미막밑출혈 263 PART IV 드문 원인들 및 특수상황 271 CHAPTER 26 청년기뇌졸중 273 CHAPTER 27 뇌아밀로이드혈관병증과 CHAPTER 28 뇌졸중과 연관된 유전질환 295 CHAPTER 29 뇌정맥혈전증 303 CHAPTER 30 비파열뇌동맥류 및 동정맥기형 315 CHAPTER 31 가역뇌혈관수축증후군/뇌동맥박리 323 CHAPTER 32 응고장애 및 혈액질환 335 CHAPTER 33 모야모야병 345 CHAPTER 34 염증/혈관염과 연관된 뇌졸중 357 CHAPTER 35 암과 연관된 뇌졸중 365 CHAPTER 36 약물남용, 경구피임제 및 호르몬요법 369 CHAPTER 37 시술/수술 시 뇌졸중위험평가 및 PART V 관리 체계 및 시책 385 CHAPTER 38 뇌졸중센터 387 CHAPTER 39 뇌졸중전문치료실 397 CHAPTER 40 뇌졸중진료의 질향상과 질평가 403 CHAPTER 41 뇌졸중 교육 411 CHAPTER 42 임상진료지침 419 CHAPTER 43 인공지능과 뇌졸중 427 CHAPTER 44 뇌졸중 국가정책 437 PART VI 영상진단 및 검사 445 CHAPTER 45 급성뇌졸중의 임상 및 영상진단 447 CHAPTER 46 컴퓨터단층촬영 459 CHAPTER 47 자기공명영상 479 CHAPTER 48 뇌혈관조영 497 CHAPTER 49 핵의학영상 513 CHAPTER 50 초음파검사 525 CHAPTER 51 심장검사 543 PART VII 급성기 치료 549 CHAPTER 52 급성뇌졸중의 전반적 관리와 CHAPTER 53 정맥내혈전용해술 559 CHAPTER 54 동맥내재관류요법 571 CHAPTER 55 급성허혈뇌졸중에서 항혈전요법 581 CHAPTER 56 신경집중치료 591 CHAPTER 57 뇌내출혈 급성기 치료 605 CHAPTER 58 반두개골절제 및 외과치료 613 CHAPTER 59 신경보호치료 619 CHAPTER 60 신경계합병증 및 치료 629 CHAPTER 61 전신합병증 예방과 관리 643 CHAPTER 62 뇌졸중 급성기 재활치료 651 PART VIII 이차예방 657 CHAPTER 63 항혈소판제 치료 659 CHAPTER 64 항응고치료 669 CHAPTER 65 고혈압 683 CHAPTER 66 당뇨병 687 CHAPTER 67 이상지질혈증 693 CHAPTER 68 두개외동맥폐쇄질환의 혈관내시술 및 CHAPTER 69 두개내혈관협착의 수술치료 717 CHAPTER 70 뇌졸중 후 인지, 행동 및 CHAPTER 71 만성기 뇌졸중의 재활 735 CHAPTER 72 생활습관과 뇌졸중 찾아보기 749 |
뇌졸중 교과서는 뇌졸중의 원인 및 병태생리에서부터 최근의 임상연구 동향과 새로운 치료방법까지 복잡한 뇌졸중 진료과정에 의학적 근거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뇌졸중 예방, 진단, 치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신경학의 발전은 “stroke by stroke”에 의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뇌졸중 분야는 신경학의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빠르게 임상 및 기초연구에서 양적 성장과 질적 발전을 이루어 낸, 매우 역동적인 분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뇌졸중은 여전히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3대 노인질환 중 하나로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유병인구 수가 증가하여 사회적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대한뇌졸중학회에서 2009년 뇌졸중 교과서 초판을 출판한 것을 시작으로 2015년 제2판을 발간하였고 이후 8년 만에 제3판을 펴내게 되었습니다. 제2판 발간 이후에도 뇌졸중 분야는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뇌영상 진단기술의 발전, 급성기 혈전제거술의 개발, 뇌졸중 예방을 위한 역학 연구, 그리고 뇌졸중 재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항혈전제의 등장으로 뇌졸중 임상진료지침은 계속해서 개선되었습니다. 또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응급이송체계 확립, 권역 심뇌혈관센터 개설, 원내 뇌졸중 진료체계 개선 및 뇌졸중 전문치료실 구축 등 진료현장과 진료체계에 있어서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인공 지능 기술을 도입하려는 시도로 뇌졸중 진료 적용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뇌졸중 진료의 질이 크게 향상되어 세계 상위 수준에 도달하였습니다. 이러한 뇌졸중 분야의 발전 추이를 새로 담아내고자 하였습니다. 제3판 뇌졸중 교과서는 초판과 제2판의 구성을 토대로 뇌졸중에 관련된 해부 및 병태생리, 예방과 역학, 임상양상, 진단 및 급성기 치료 및 만성기 관리에 대한 최신 지견을 반영하려 노력하였으며 더불어 진료체계의 구축 및 국가정책 수립 등 다양한 측면을 종합하여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원칙적으로 지식수준은 전공의를 일차 대상으로 하되 뇌졸중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 학생 교육 및 임상 연구를 수행하는 모든 이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