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왜 교육 키워드를 알아야 하는가PART 1 요즘 교육 트렌드는 이렇습니다01 초등 우등생이 중고등 우등생이 아닌 이유02 요즘 대학은 이렇게 선발합니다PART 2 교육을 움직이는 7가지 키워드키워드 01 · 의대 블랙홀 “대한민국 수험생은 ‘의치한약수’에 몰린다”키워드 02 · 고교학점제 “내가 듣고 싶은 과목을 내가 선택해서 듣는다”키워드 03 · 2022 개정 교육과정 “2009년생부터 적용되는 교육과정의 핵심”키워드 04 · 2028 대입 개편 “아이의 공부 방향성을 어떻게 잡아줄 것인가”키워드 05 · IB(국제 인증 교육 프로그램)“어릴 때부터 국제 기준에 맞춘 교육과정을 듣고 싶다면”키워드 06 · 챗GPT 교육 “인공지능은 앞으로 교육 방향을 어떻게 바꾸어놓을까”키워드 07 · 권위 상실 “부모가 교육의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면”[특별 인터뷰] 주도권 있는 자녀교육을 위한 제언① 부모의 권위를 세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_아주대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조선미 교수② 아이 키우기 힘든 부모를 위한 조언_하정훈소아청소년과의원 하정훈 원장
|
이만기의 다른 상품
방종임의 다른 상품
“우리 아이 교육, 흐름을 알면 흔들리지 않는다!”40만 학부모의 길잡이 교육대기자 방종임 X 대한민국 최고의 입시 전문가 이만기초등부터 10년을 바라보는 미래 교육 트렌드“우리 아이가 수능 칠 때 입시제도는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교육 트렌드는 어떻게 변할까요?”교육 정책이 크게 바뀔 때마다 학부모들이 하는 고민이다. 최근에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시행과 2028 대입 개편 발표 등으로 교육 정책에 대대적인 변화가 있었기에 더욱 많이 혼란스러워했다. 특히 초등생 자녀가 있는 학부모들은 이런 뉴스를 보면 어렵기도 하고 아직 먼 이야기인 것만 같아 이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해야 할지 막연하기만 하다. 초중등 학부모는 이런 정보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우리나라에서는 정보력의 차이가 아이의 성적과 입시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미디어를 통해 쏟아지는 교육 정보 속에서 학부모가 중심을 잡지 못하면 아이는 갈피를 잡지 못하고 우왕좌왕하기 마련이다. 반면 학부모가 흐름을 이해하고 있으면 아이가 자기의 방향성으로 나아가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우리 아이 미래를 바꿀 대한민국 교육 키워드7』에서는 대한민국 최고의 교육 전문 채널 〈교육대기자TV〉의 방종임 편집장과 대한민국 최고의 입시 전문가 이만기 소장이 매년 바뀌는 교육 트렌드를 분석하고 우리 교육계를 움직이는 키워드를 통해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하고 자녀 교육의 방향성을 알려준다. 초중등 학부모라면 적어도 이 키워드는 알아야 한다!7가지로 콕 짚어 살펴본 교육계 핵심 화두이 책에서는 현재 가장 뜨거운 교육 트렌드와 학부모들의 궁금증을 종합?분석해 대한민국 교육을 움직이는 7가지 키워드를 선정했다. ‘의대 블랙홀’, ‘고교학점제’, ‘2022 개정 교육과정’, ‘2028 대입 개편’, ‘IB(국제 인증 교육 프로그램)’, ‘챗GPT 교육’, ‘권위 상실’이 그것이다. 적어도 이 키워드만 알면 앞으로 몇 년 동안의 교육 변화에 대해서는 확실히 감을 잡고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01 · 의대 블랙홀몇 년간 대입을 장악한 입시 키워드다. 의대에서 학생들을 다 빨아들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심지어 서울 강남 대치동 일대를 중심으로 ‘초등의대반’이라는 기존에 없던 학원이 생겨나고 있을 정도다. 우리나라 의대 선발 현황과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의대를 생각하는 초중고생이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키워드 02 · 고교학점제내가 듣고 싶은 과목을 내가 선택해서 듣는 수업 방식이다. 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학생들의 개성과 다양성을 존중하겠다는 취지다. 이것이 실제 학교에서 어떻게 적용될지, 새롭게 바뀔 학교에 적응하기 위해 학생들은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알아야 미리 대비할 수 있다. 키워드 03 · 2022 개정 교육과정2009년생 학생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교육과정이다. 교육과정은 무엇을 배울지 큰 기둥을 세우는 일이다. 이 흐름을 제대로 알아야만 교육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고, 새로 도입되는 정책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곧 아이의 학교 성적과 직결된다. 키워드 04 · 2028 대입 개편2023년 10월, 2028학년도에 새롭게 시행될 대입제도 개편 시안이 발표됐다. 수능과 내신 양쪽에서 큰 변화가 예고됐는데, 무엇이 어떻게 바뀌는지 알면 중요한 게 무엇인지 보이기 마련이다. 새로운 대입 제도 아래서 우리 아이는 어떤 전형을 공략할지 결정하고 준비하자. 키워드 05 · IB(국제 인증 교육 프로그램)우리나라에서 국제 기준에 맞춘 교육과정을 들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이비리그와 뉴욕대, MIT 등 982개 미국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국제 인증 학교 교육 프로그램이다. IB의 학습 과정과 추구하는 가치에는 미래 사회가 원하는 인재상이 담겨 있다.키워드 06 · 챗GPT 교육모든 분야에서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챗GPT가 교육에도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에듀테크와 AI 교과서부터 하버드대보다 들어가기 어렵다는 혁신대학까지, 교육 현장을 바꾸어놓고 있는 기술의 모습을 알려준다. 챗GPT 시대에 적합한 우리 아이 교육법은 무엇이며, 인공지능이 바꿀 교육에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키워드 07 · 권위 상실 2023년 교육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키워드를 딱 하나만 꼽으라면 단연 ‘권위’다. 새로운 메커니즘에 대한 논의 없이 전통적 가치관이 빠르게 무너지자, 가정과 학교의 훈육에서부터 문제가 불거졌다. 부모가 교육의 주도권을 놓지 않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조선미 교수, 하정훈 원장 특별 인터뷰 수록!학부모의 궁금증을 정확히 해결해주는 교육 트렌드 핵심 정리학부모가 교육 트렌드를 제대로 알고 흐름을 파악하면 여기저기 교육 정보를 찾아내느라 허비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을 불안으로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수많은 교육 전문가를 만나 다양한 정보를 축적한 방종임 편집장이 흩어져 있는 정보 속에서 핵심을 짚어 날카로운 인사이트를 도출해내고, 교육 현장 일선에서 입시 제도의 변화와 흐름을 몸소 겪어온 이만기 소장이 급변하는 입시 제도에 대한 치밀한 분석력을 보여준다. 또한 책의 마지막에는 조선미 교수와 하정훈 원장의 특별 인터뷰를 수록해 교육계 최고 권위자들의 해법을 소개한다. 이 책 한 권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교육 트렌드의 핵심을 정리하고, 초등부터 대학 입시까지 그때그때 바뀌는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학부모가 교육의 중심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