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인바스켓 Why and What
1. 역량기반 인바스켓 면접 1-1. 역량기반의 평가와 면접 1-2. 인바스켓 면접이란? 1-3. 인바스켓 면접 진행 1-4. 인바스켓 과제 예시 2. 인바스켓 평가항목 2-1. NCS와 직무능력 2-2. 역량의 정의와 특징 2-3. 역량 모델링 2-4. 역량평가기법 3. 채용시장과 변화 3-1. 채용방식의 변화 3-2. AI(Artificial Intelligence) 면접 3-3. 생성형 AI 3-4. 새로운 면접 도구 인바스켓 4. 현재의 면접 도구 4-1. 채용 프로세스와 구조화된 면접 4-2. 서류평가 4-3. 상황 면접 4-4. 인성 면접과 면접관 5. 발표(PT: Presentation) 면접 5-1. 발표 면접의 목적 5-2. 발표 면접 준비 5-3. 발표 면접 진행 5-4. 발표과제 예시 6. 토론(GD: Group Discussion) 면접 6-1. 토론 면접의 목적 6-2. 토론 면접 준비 6-3. 토론 면접 진행 6-4. 토론 과제 예시 7. 인성면접 7-1. 면접방식변화와 지원자 7-2. 인성면접의 목적 및 기준 7-3. 면접 환경 7-4. 자주 나오는 질문 8. 인바스켓 면접 준비 8-1. 독해력을 키워라 8-2. 사고력을 키워라 8-3. 생활력을 키워라 에필로그 참고문헌 |
왜 인바스켓을 신입사원 채용에서 사용할까?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생성형 AI의 등장이다. 현재 면접방식은 경험기반 면접이다. 지원자가 어떤 경험을 가졌는지 확인한다. 과거 경험을 기반으로 지원직무를 어떻게 수행할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경험기반 면접은 지원자가 작성한 자기소개서를 기초로 한다. 그런데 2023년 Chat GPT와 같은 생성형 AI가 등장하면서 많은 지원자가 더는 자기소개서를 직접 자신의 경험으로 작성하지 않는다. 생성형 AI를 통해 초안을 잡고 조금 과장하여 재포장한다. 제한된 시간 내에 기존의 경험기반 면접방식으로 많은 지원자의 답변을 유효하게 평가하는 것이 이제는 매우 어려워졌다. 서류평가와 경험기반 면접의 기초가 흔들리게 되었다. 효과성이 줄어들거나 없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