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편 한국사의 이해와 선사시대
제01장 역사란 무엇인가 008 제02장 구석기, 신석기 시대 009 제03장 청동기, 철기 시대 016 제04장 고조선 019 제05장 여러 나라의 성장 025 제2편 고대 사회의 발전 제06장 고대정치(1) - 삼국시대 왕 036 제07장 고대정치(2) - 가야, 통치체제 056 제08장 고대정치(3) - 삼국통일과정, 신라시대 구분, 비석 060 제09장 고대정치(4) - 통일신라 064 제10장 발해 069 제11장 고대경제 - 토지제도, 민정문서 075 제12장 고대사회 080 제13장 고대문화(1) - 불교 문화 083 제14장 고대문화(2) - 학문, 교육, 역사서 089 제15장 고대문화(3) - 고분, 불상, 불탑, 승탑, 일본문화전파 091 제3편 중세사회의 발전 제16장 중세정치(1) - 10세기 상황, 고려 전기 왕 100 제17장 중세정치(2) - 통치체제 112 제18장 중세정치(3) - 문벌귀족 사회, 무신시대 118 제19장 중세정치(4) - 고려 대외관계 127 제20장 중세정치(5) - 원 간섭기, 고려 멸망 과정 133 제21장 중세경제(1) - 토지제도 140 제22장 중세경제(2) - 수취제도, 경제활동 143 제23장 중세사회 - 신분제, 향도, 사회시책, 여성지위 147 제24장 중세문화(1) - 불교문화 153 제25장 중세문화(2) - 유교문화 159 제26장 중세문화(3) - 과학기술, 예술 166 제4편 근세 사회의 발전 제27장 근세정치(1) - 15세기 왕 174 제28장 근세정치(2) - 16세기 정치 상황 186 제29장 근세정치(3) - 통치체제1 (중앙, 지방) 193 제30장 근세정치(4) - 통치체제2 (군사, 관리) 199 제31장 근세정치(5) - 대외관계 202 제32장 근세경제(1) - 토지제도 206 제33장 근세경제(2) - 수취제도, 농업기술 209 제34장 근세사회(1) - 신분제도 211 제35장 근세사회(2) - 사회정책 214 제36장 근세문화(1) - 유교문화 220 제37장 근세문화(2) - 각종 서적 226 제38장 근세문화(3) - 과학, 예술 229 제5편 태동기 사회의 발전 제39장 근태정치(1) - 조선 후기 왕 236 제40장 근태정치(2) - 탕평정치, 대외관계 248 제41장 근태경제(1) - 수취제도 264 제42장 근태경제(2) - 상업, 수공업, 화폐 272 제43장 근태사회(1) - 신분제 동요 276 제44장 근태사회(2) - 향전, 농민봉기, 종교 282 제45장 근태문화(1) - 성리학 논쟁, 양명학, 실학 289 제46장 근태문화(2) - 국학 299 제47장 근태문화(3) - 서민문화와 예술 303 제6편 근대 사회의 전개 제48장 흥선대원군 308 제49장 강화도 조약 및 부속 조약 317 제50장 개화정책 추진과 반발 323 제51장 임오군란, 갑신정변 329 제52장 동학농민운동 335 제53장 갑오개혁, 을미개혁 341 제54장 독립협회, 광무개혁 346 제55장 항일의병운동, 애국계몽운동 355 제56장 열강의 경제 침탈과 구국운동 359 제57장 사회의식 변화, 근대문물 수용 363 제58장 근대 교육, 국학, 문예 367 제7편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제59장 일제 국권 피탈 과정 372 제60장 식민통치체제, 경제수탈정책 379 제61장 1910년대 민족운동 391 제62장 3·1운동 · 임시정부 395 제63장 국내 항일 투쟁, 의열 투쟁 406 제64장 항일 무장 투쟁 414 제65장 실력양성운동, 노동·농민 운동, 사회적 민족운동 전개 424 제66장 민족문화 수호운동, 국외 이주 동포 활동 전개 434 제8편 현대 사회의 발전 제67장 8·15 광복, 좌우대립 444 제68장 좌우대립 447 제69장 5·10 총선거와 대한민국 수립, 친일파 청산과 농지개혁 452 제70장 6·25 전쟁 460 제71장 이승만 정부(1공화국), 장면 정부(2공화국) 463 제72장 박정희 정부(3·4공화국) 470 제73장 전두환 정부(5공화국) 476 제74장 6공화국 -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 480 제75장 통일정책 482 제76장 경제정책 487 제77장 북한의 변화 491 제78장 사회·문화 변화 492 제79장 대한민국 헌법 개정사 493 제80장 통합문제 497 |
김종우의 다른 상품
‘반일독서 반일정사(半日讀書 半日靜思)’라는 옛 공부법이 있습니다.
하루의 반은 독서를 하고 나머지 반은 조용히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이미 축적된 지식과 정보는 책 속에 있으므로 독서로 습득해야 합니다. 그러나 책만 읽으면 기존의 지식과 상식의 틀에서 헤어나기 힘드므로 조용히 생각하고 익힐 시간이 필요하며,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창조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옛날 선비들은 독서하기 전에 의관을 정비하고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였습니다. 산만한 환경에서는 제대로 공부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고, 또한 드러누워서 책을 읽는 행위를 ‘와간(臥看)’이라 하여 불경스럽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반듯한 자세로 책상에 앉아 안광(眼光)이 지배(紙背)에 철하도록, 다시 말하면 눈빛이 종이 뒷면까지 꿰뚫도록 진지하게 책을 읽어야 머리에도 잘 들어오고 제대로 된 공부법이라고 하였습니다. 수험생 생활도 옛날 선비들 공부법과 같이 해야 합니다. 옷차림을 정갈히 해야 하며, 이론 공부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실력을 가름하고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문제풀이 또한 중요시해야 합니다. 조선시대 머리가 나쁘기로 유명했던 김득신(金得臣, 1604~1684)은 〈사기(史記)〉의 〈백이열전(伯夷列傳)〉을 1억1천1백 번이나 외워, 그 호를 억만재(億萬齋)라고 했습니다. 그는 말을 타고 가면서도 글을 외웠습니다. 수험생들이 저에게 공부법을 물어보면 항상 김득신과 같이 보고 또 보는 공부법을 추천합니다. 무조건 공부는 회독입니다. 이런 공부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본서, 필기노트, 기출문제집 구성을 통일하였고, 최대한 해설을 자세히 기재했습니다. 이 문제집을 기본으로 반복 또 반복한다면 합격이라는 말이 여러분과 함께 할 겁니다. 앞으로도 수험생의 관점에서 생각하며 더욱 좋은 교재와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김종우가 되겠습니다. 〈김종우 도끼한국사 기출문제집 활용법〉 1. 1회독은 중요도와 난이도를 파악하면서 무엇이 기출 되는지 정도로 파악한다. (정치사 중심으로) 2. 2회독부터는 문제를 풀 때 문제에는 체크하지 말고 카페나 인강 홈페이지 자료실에 있는 정답표에 체크하면서 문제를 풀어본다. 기출문제집에는 틀린 문제만 체크하면서 모르는 문제는 해설 정도만 읽어보고 넘어간다. 3. 3회독은 전체적으로 문제를 풀면서 틀린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시 한번 풀어본다. 4. 4회독 1달 1회독으로 범위를 정하고 풀면서 틀린 문제가 왜 틀렸는지 분석하면서 풀어본다. 5. 5회독 이상부터는 필기노트와 기출문제를 같이 보면서 무한 반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