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예쁜 소녀
시체 연못 투르 드 프랑스 오직 외로운 이들만이 아버지의 새 애인 엄마 얘기를 꼭 해야 하나? 드 펠흐림 정신 병원 수집가 회복된 환자 후손의 탄생 민속학자를 위해서 마셔라 내 아들의 삼촌 옮긴이의 말 웃음이거나 혹은 눈물이거나 |
Dimitri Verhulst
裵琇亞
“개 같은 인생이란 이렇게 요약할 수 있다. 매일 오후가 되면 실비의 눈앞에서 아버지랑 삼촌들이 아침 먹으러 슬슬 방에서 기어 나온다. 그들은 정해진 순서인양 일어나자마자 하루의 첫 담배를 피운 다음에, 지난밤의 술독에서 깨야한다는 명목으로 간 생고기와 고등어통조림을 아구아구 먹어댔다. 통조림의 고등어조각에서 기름이 흘러 턱을 따라 뚝뚝 떨어지면, 그걸 신경 쓰지 않을 정도로 게을러터진 건 아니므로 올이 다 풀린 스웨터 소매를 이용해서 쓱 닦아냈다. 그런 다음 온다 간다 말없이 사라졌다가, 몇 시간 후 다시 술에 고주망태가 된 상태로 모습을 드러내는 식이었다. 어떤 사람들은 그런 삶의 상태를 악순환이라고 묘사할 수도 있겠지만, 우리는 그냥 자연스러운 순환이라고 불렀다. 우리 집에 있을 동안 실비는 자기 아버지가 찾아올까 봐 삼 주일 동안 학교에도 가지 않으면서, 때에 찌든 부엌 식탁에서 내가 온몸을 비비꼬며 벌칙으로 받아온 숙제를 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그동안 실비는 책을 읽으면서 시간을 보냈는데, 그 책은 그녀를 더욱 똑똑하고 어휘력이 풍부한 소녀로 만들어주는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그녀와 나머지 친척들과의 간극을 더욱 크게 벌여놓을 것이 분명해보였다. 밤에 침대에 누운 그녀는 두 눈을 또랑또랑하게 뜨고 천장을 응시하면서 좀처럼 잠들지 못하곤 했는데, 그럴 때면 나는 그녀가 속으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읽어 낼 수가 있었다. 바로 옆 침대에는 입을 반쯤 벌린 채 때로는 더러운 양말을 벗지도 않고 곯아떨어진 우리 아버지가 드르렁드르렁 코를 골면서 세상모르고 잠들어 있었다. 어떤 때는 거기에 포트렐 삼촌의 박박 이가는 소리가 섞이기도 했다. 할머니가 주워 모아 빨랫감 속에 쑤셔 박기 전까지는 침실 바닥에서 몇날 며칠이고 아무렇게나 굴러다니는 우리의 넝마쪼가리 옷가지들이 실비는 역겨웠을 것이다. 침대 곁 재떨이에 쌓인 누리끼리한 담배꽁초와 땀에 전 담요, 그리고 밤새 고약한 고린내를 풍기던 아버지의 양말 중에서 무엇이 그녀를 가장 진저리치게 만들었는지 지금으로서는 알 길이 없다. 실비는 거기에 대해서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던 것이다. 차라리 우리가 사는 꼬락서니에 대해서 그녀가 이러쿵저러쿵 내게 불평이라도 했다면, 무슨 말이라도 좋으니 사촌과 사촌으로서 마음을 터놓고 말이다, 그랬다면 내 입장에서는 훨씬 더 상처가 덜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오직 침묵했고, 말없이 우리를 경멸하기만 했다.”
--- P.21-22 |
저자는 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문학관을 이렇게 밝힌 바 있다.
“나는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 문학에 대해 반대하지 않는다. 탐정소설이나 러브스토리에 반대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그러나 우리는 문학에 다른 뭔가가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책임, 눈을 뜨는 것, 참여하는 것. 나는 이 점이 좋다. 나는 루이 폴 본(Louis Paul Boon) 덕분에 문학에 눈을 떴다. 모든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작가이다. 그의 펜에는 항상 따뜻한 마음이 있었고, 그는 항상 사람들 속에 있었다. 내게는 그것이 문학이다. 나는 나의 펜을 무기로 사용한다. 물론 난 참여 작가이지만 반드시 그래야 할 의무는 느끼지 못한다. 오늘날 참여 작가라는 것은 왠지 조소적인 면이 강하다. 80년대에 예술가와 진보주의자는 동의어였다. 오늘날에는 사람들이 이 말을 꺼린다. 마치 〈당신은 벨기에인이요〉라고 하는 것과 같다. 이제는 구식이 된 것이다. 허나 그런들 무슨 상관인가. 나는 참여 작가이다.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 그게 내 성향이니까.” ■ 문학상 - 『사물의 안타까움성』(2006) : 2007년 휘모 독자상 / 2007년 황금부엉이 독자상 - 『망할 지구 위에서의 망할 나날』(2008) : 2009년 Libris 문학상 (네덜란드 최고의 문학상) ■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의 독자 반응 “『사물의 안타까움성』은 바로 당신 곁에서 일어나는 일이자 미지의 땅을 탐험하는 모험이다.” ― 벨기에 서점인 “완벽한 문장으로 쓰인 『사물의 안타까움성』. 베르휠스트는 진정한 예술가이다.” ― 엘세 “장이 거듭될수록 디미트리 베르휠스트의 문장은 한층 독특하고 더욱 분명해진다.” ― 미르테 “저자의 아픈 유년기를 그린 사실적인 이야기가 이토록 유쾌할 수 있다니…. 여러분은 감히 플랑드르 정신의 진수를 만날 수 있다.” ― 베르트 “첫 백여 쪽의 달콤하면서도 시니컬한 문장이 좀 힘들지만 모두에게 추천한다.” ― 리엔크 퀴페르스 “쇼킹한 주제, 뛰어난 문체, 이 두 조합이 빚어낸 전무후무한 작품!” ― 디르크 “정말 재-미-있-습-니-다! 월드컵 술마시기 대회를 보는 듯합니다!” ― 팀 애단크 “추하지만 더 이상 아름다울 수 없는 책!” ― 잉게보리 “새로운 루이 폴 본이 부활했다!” ― 데 마미 “디미트리 베르휠스트는 비판적인 시선으로 외면을 넘어 사물에 내재한 커다란 사회적인 의미를 추출할 줄 안다. 일견 비관적인 세계관으로 비치는 그의 문장 속에는 일관된 철학적인 깊이가 담겨 있다.” ― 독일 독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