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동화
머리말 5 강원일보 이지영 - 올리버와 앤 14 경남신문 최율하 - 학교 가는 날 27 경상일보 이미주 - 동네북 42 광남일보 김성욱 - 투명해도 선명한 57 국제신문 신희진 - 베토의 하루 74 동아일보 김서나경 - 드림 렌즈 89 매일신문 신은주 - 달나라 절구를 찾아라! 104 무등일보 이윤정 - 마기꾼 119 문화일보 노금화 - 디노와 덩이 돌보기 135 불교신문 고훈실 - 내가 너를 비출 때 153 서울신문 박미연 - 공기의 전설 168 전남매일 최주인 - 악몽 바자회 183 전북일보 양 지 - 세모바퀴 달린다 198 조선일보 임진주 -우 리 둘이서 211 동시 강원일보 허은화 - 징검돌 228 매일신문 정정안 - 크리스마스 동화 234 부산일보 연지민 - 스프링클러 241 조선일보 임미다 - 고양이 기분 247 |
“그거 어디서 났어?”
물류 유통형 로봇 분류번호 A-58973, 올리버는 펜이 들고 온 동물에 고개를 갸웃했다. 펜은 조금 들떠 있어 보였고 무서워하는 것 같기도 했다. 펜은 조사를 나올 때마다 올리버에게 자기가 발견한 동물과 식물들을 가져와 소개해주었다. 이번에도 그런 동물이겠거니 싶어 올리버가 묻자 펜은 자신의 품에 안겨 있는 동물을 가리키며 말했다. “인간 아이.” “인간? 멸종동물로 지정된 그거?” “응. 인간 아이야. 그것도 여자아이.” 올리버는 펜이 데려온 여자아이를 보았다. 여자아이는 머리가 산발이었고 동물 가죽을 대충 둘러 옷처럼 입고 있었다. 올리버의 전자칩에 저장된 인간의 모습하고는 달라서 진짜 인간인지 구별이 가지 않았다. “장난치지 마. 인간 여자애가 어떻게 살아 있어?” “진짜야. 너도 심장 소리를 들어봐. 우리랑 달라” 올리버는 의심하면서도 심박수를 체크했다. 쿵, 쿵, 쿵, 쿵. 올리버와 펜과 같은 로봇들은 가지지 못한 일정한 심장 소리가 올리버에게 느껴졌다. 올리버는 펜이 장난치는 게 아니라는 걸 알았다. “진짜 인간이네.” “버려졌나 봐. 주변을 둘러봤는데 비슷한 종도 못 찾았어.” 펜의 대답에 올리버는 난감했다. 올리버가 태어나기 전에 멸종했다고 전해진 종이었다. 그리고 올리버와 펜의 임무는 도시 밖으로 나와 조사를 거치면서 새로운 종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멸종되었다고 전해지는 인간을 새로운 종이라고 해야 할지 난감했다. 올리버는 인간처럼 머리를 긁적였다. 펜은 잠든 여자아이와 올리버를 번갈아봤다. 펜은 무언가 결정을 내린 듯 여자아이를 더 꼭 안고 말했다. “도시로 데려가자.” 올리버는 말릴 수 없었다. 황소고집 펜의 결정은 그 어떤 로봇도 막지 못했다. 올리버는 펜이 데려가는 인간이 도시를 한바탕 뒤엎을 사건이 되겠다고 생각했다. --- 본문 중에서 |
“동화·동시로 그려내는 유니버스
동심으로 바라보는 메타버스” 동화 동시는 어린이가 보는 책이라는 상식이 지배하고 있다. 어린이는 어른보다 서열이나 능력이 낮거나 모자란다는 통념이 지배한다. 따라서 동화·동시 작가도 그러한 통념으로 인한 오해로 인해 안타까울 때가 많다. 어린이는 어른의 스승이다. 복잡하게 꼬여버린 문제의 실타래를 푸는 일을 결자해지라고 한다. 원인 제공한 사람에게 해법이 있다는 말이다.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말도 있다. 달리 비약해서 어른일수록 동화나 동시를 가까이해야만 하지 않을까? 어린이의 눈에 어른은 단순한 문제를 크게 비화시켜 복잡하게 하는 도사이기 때문이다. 어른은 세상의 어린이에 불과하다. 매 순간 성인은 초심자에다 가 어린이일 수밖에 없다. 동화와 동시는 어른의 돌아갈 수 없는 과거 유토피아이자 순수한 눈에 비친 메타버스를 구현한 지대를 그려낸 은유이다. 작가의 순수한 눈과 가슴이 없이는 구축할 수 없는 거점인 것이다. 2023 신춘문예에도 훌륭하고 참신한 동화·동시 부문 작가들이 꿈꾸는 메타버스가 탄력을 받았다.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지표가 하루가 다르게 밀려오고 코로나19의 잔재가 곳곳에 남았다. 어려운 시기일수록 동심의 투사가 명약이 아닐까. 모두가 어른이 일으킨 것인데 동심의 눈으로 볼 때 역발상의 지혜가 떠오른다. 동심은 귀향을 꿈꾸는 노마드의 이상향처럼 회귀하기 어려운 곳이다. 누구나 꿈꾸는 지점이지만 그 지점을 터부시하고 애써 외면했던 모두의 자리였다. 그러한 장면을 설정하고 감각적 터치와 구도를 형상화 시켜 가랑비처럼 적셔주는 동화·동시 작가는 보석같이 귀하다. 동화·동시를 가까이하는 습관이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한다. 아이는 초인의 표상이기도 하다. 예술의 위력을 유일한 구원의 도구로 바라본 니체는 어린이에게서 그 모티프를 발견했다. 동화·동시 작가의 발굴이 급하고 중요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가정에 웃음이 만발하고 사회적 공동체가 살아 숨 쉬는 저력도 아이 키우는 어머니의 모성이 본성 속에 살아 숨쉬기 때문이지 않을까. 동심은 사심이 없는 순수한 이끌림의 에로스적 충동을 지닌다. 어른의 힘은 초심에서 나온다. 초심으로 돌아가면 얽히고설킨 매듭이 풀릴 수 있다. 동심의 한복판을 발견하고 머물고 걷는 사람은 허투루 지나칠 수 없을 것이다. ‘행복한 사람은 있는 것을 사랑하고 불행한 사람은 없는 것을 사랑한다’라고 한다. 누구에게나 있는 동심을 사랑하는 것이 미지의 행성에 고향을 세우는 불안을 잠재울 것 같다. ‘창백한 푸른 점’ 같은 미미한 존재인 자신의 고향을 사랑하는 것은 동심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떠날 수밖에 없는 천형 같은 운명을 안고 사는 불확실성에 대한 해답도 내가 딛고 서 있는 원형인 동심에 그 해답이 있다. 수구초심, 잠든 동심을 찾아 오래된 책장과 서점의 동화동시집에 손을 뻗어 중장년이 애독하여 힘과 지혜를 재충전하는 원년이길 다짐해 본다. 메타버스 세상은 동심에 이미 열려있다. 저 멀리 잡히지도 보이지 않는 기상천외한 곳에 있는 것이 아니다. 순수하고 훌륭한 작가의 동화와 동시 안에 새봄 꽃으로 피어있다. 이제는 꽃밭을 거닐고 향기를 맡으며 나름의 색깔로 그려나가면 된다. 새봄 동화·동시 작가의 탄생을 축하드립니다. 2023년 1월 박시연(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