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중고도서 2023 신춘문예 당선 동화동시집
판매자
kwj9062
판매자 평가 5 2명 평가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한정판매의 특성상 재고 상황에 따라 품절 가능

중고도서 소개

책소개

목차

동화

머리말 5
강원일보 이지영 - 올리버와 앤 14
경남신문 최율하 - 학교 가는 날 27
경상일보 이미주 - 동네북 42
광남일보 김성욱 - 투명해도 선명한 57
국제신문 신희진 - 베토의 하루 74
동아일보 김서나경 - 드림 렌즈 89
매일신문 신은주 - 달나라 절구를 찾아라! 104
무등일보 이윤정 - 마기꾼 119
문화일보 노금화 - 디노와 덩이 돌보기 135
불교신문 고훈실 - 내가 너를 비출 때 153
서울신문 박미연 - 공기의 전설 168
전남매일 최주인 - 악몽 바자회 183
전북일보 양 지 - 세모바퀴 달린다 198
조선일보 임진주 -우 리 둘이서 211

동시

강원일보 허은화 - 징검돌 228
매일신문 정정안 - 크리스마스 동화 234
부산일보 연지민 - 스프링클러 241
조선일보 임미다 - 고양이 기분 247

저자 소개18

이지영

 
강원일보에 『올리버와 앤』으로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었다.

최율하

 
경남신문에 『학교 가는 날』로 신춘문예 동시부문에 당선되었다.

이미주

 
경상일보에 『동네북』로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었다.

김성욱

 
광남일보에 『투명해도 선명한』으로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었다.

신희진

 
하늘, 바람, 별을 보며 상상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국어교육을 전공했고 아이들과 오랫동안 수업하다 아름다운 이야기를 짓고 싶어 어린이책작가교실에서 공부했습니다. 2023년 국제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였고 지은 책으로 《파랑비늘돔을 찾아서》(공저)가 있습니다.

김서나경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어린이책작가교실에서 동화를 공부했습니다. 2022년 청소년소설 「십자가」로 제14회 창비어린이 신인문학상을 받았고, 2023년 동화 「드림 렌즈」로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습니다. 『비밀을 지켜 줘』는 작가의 첫 책입니다.

신은주

 
동화를 쓰고 그림책을 만듭니다. <달나라 절구를 찾아라!>로 ‘매일신문 신춘문예’ 동화 부문에 당선되었습니다.

이윤정

 
무등일보에 『마기꾼』으로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었다

노금화

 
문화일보에 『디노와 덩이 돌보기』로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었다.

고훈실

 
불교신문에 『내가 너를 비출 때』로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었다.

박미연

 
서울신문에 『공기의 전설』로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었다.

최주인

 
전남매일에 『악몽 바자회』로 신춘문예 동시부문에 당선되었다.

양지

 
전북일보에 『세모바퀴 달린다』로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었다.

임진주

 
조선일보에 『우리 둘이서』로 신춘문예 동화부문에 당선되었다.

허은화

 
강원일보에 『징검돌』로 신춘문예 동시부문에 당선되었다.

정정안

 
매일신문에 『크리스마스 동화』로 신춘문예 동시부문에 당선되었다.

연지민

 
2000년 한국문인으로 등단했고, 2021년 계간지 [동시 먹는 달팽이]에 신인문학상 수상, 2022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공모전 당선, 2023년 [부산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당선되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충청의 천연기념물-그 천혜의 비상』 『물길, 세종의 꿈을 담다』 등이 있습니다. 현재 청주에서 살면서, 충청타임즈 기자로 일하며 시를 쓰고 있습니다. 어릴 땐 노래 부르길 좋아해 가수를 꿈꾸기도 했고, 이사를 자주 다니면서는 동네 도서관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세계문학전집 같은 두툼한 책들은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로 가득했지만, 오랜 시간이 흘러 어른이 되었을 때 문학
2000년 한국문인으로 등단했고, 2021년 계간지 [동시 먹는 달팽이]에 신인문학상 수상, 2022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공모전 당선, 2023년 [부산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당선되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충청의 천연기념물-그 천혜의 비상』 『물길, 세종의 꿈을 담다』 등이 있습니다. 현재 청주에서 살면서, 충청타임즈 기자로 일하며 시를 쓰고 있습니다. 어릴 땐 노래 부르길 좋아해 가수를 꿈꾸기도 했고, 이사를 자주 다니면서는 동네 도서관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세계문학전집 같은 두툼한 책들은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로 가득했지만, 오랜 시간이 흘러 어른이 되었을 때 문학의 길을 걷게 해 주었습니다.

임미다

 
조선일보에 『고양이 기분』로 신춘문예 동시부문에 당선되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1월 26일
쪽수, 무게, 크기
256쪽 | 544g | 153*135*20mm
ISBN13
9788958244790

책 속으로

“그거 어디서 났어?”

물류 유통형 로봇 분류번호 A-58973, 올리버는 펜이 들고 온 동물에 고개를 갸웃했다. 펜은 조금 들떠 있어 보였고 무서워하는 것 같기도 했다. 펜은 조사를 나올 때마다 올리버에게 자기가 발견한 동물과 식물들을 가져와 소개해주었다. 이번에도 그런 동물이겠거니 싶어 올리버가 묻자 펜은 자신의 품에 안겨 있는 동물을 가리키며 말했다.

“인간 아이.”
“인간? 멸종동물로 지정된 그거?”
“응. 인간 아이야. 그것도 여자아이.”

올리버는 펜이 데려온 여자아이를 보았다. 여자아이는 머리가 산발이었고 동물 가죽을 대충 둘러 옷처럼 입고 있었다. 올리버의 전자칩에 저장된 인간의 모습하고는 달라서 진짜 인간인지 구별이 가지 않았다.

“장난치지 마. 인간 여자애가 어떻게 살아 있어?”
“진짜야. 너도 심장 소리를 들어봐. 우리랑 달라”

올리버는 의심하면서도 심박수를 체크했다. 쿵, 쿵, 쿵, 쿵. 올리버와 펜과 같은 로봇들은 가지지 못한 일정한 심장 소리가 올리버에게 느껴졌다. 올리버는 펜이 장난치는 게 아니라는 걸 알았다.

“진짜 인간이네.”
“버려졌나 봐. 주변을 둘러봤는데 비슷한 종도 못 찾았어.”

펜의 대답에 올리버는 난감했다. 올리버가 태어나기 전에 멸종했다고 전해진 종이었다. 그리고 올리버와 펜의 임무는 도시 밖으로 나와 조사를 거치면서 새로운 종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멸종되었다고 전해지는 인간을 새로운 종이라고 해야 할지 난감했다. 올리버는 인간처럼 머리를 긁적였다. 펜은 잠든 여자아이와 올리버를 번갈아봤다. 펜은 무언가 결정을 내린 듯 여자아이를 더 꼭 안고 말했다.

“도시로 데려가자.”

올리버는 말릴 수 없었다. 황소고집 펜의 결정은 그 어떤 로봇도 막지 못했다. 올리버는 펜이 데려가는 인간이 도시를 한바탕 뒤엎을 사건이 되겠다고 생각했다.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동화·동시로 그려내는 유니버스
동심으로 바라보는 메타버스”


동화 동시는 어린이가 보는 책이라는 상식이 지배하고 있다. 어린이는 어른보다 서열이나 능력이 낮거나 모자란다는 통념이 지배한다. 따라서 동화·동시 작가도 그러한 통념으로 인한 오해로 인해 안타까울 때가 많다. 어린이는 어른의 스승이다. 복잡하게 꼬여버린 문제의 실타래를 푸는 일을 결자해지라고 한다. 원인 제공한 사람에게 해법이 있다는 말이다.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말도 있다. 달리 비약해서 어른일수록 동화나 동시를 가까이해야만 하지 않을까? 어린이의 눈에 어른은 단순한 문제를 크게 비화시켜 복잡하게 하는 도사이기 때문이다. 어른은 세상의 어린이에 불과하다. 매 순간 성인은 초심자에다 가 어린이일 수밖에 없다. 동화와 동시는 어른의 돌아갈 수 없는 과거 유토피아이자 순수한 눈에 비친 메타버스를 구현한 지대를 그려낸 은유이다. 작가의 순수한 눈과 가슴이 없이는 구축할 수 없는 거점인 것이다.

2023 신춘문예에도 훌륭하고 참신한 동화·동시 부문 작가들이 꿈꾸는 메타버스가 탄력을 받았다.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지표가 하루가 다르게 밀려오고 코로나19의 잔재가 곳곳에 남았다. 어려운 시기일수록 동심의 투사가 명약이 아닐까. 모두가 어른이 일으킨 것인데 동심의 눈으로 볼 때 역발상의 지혜가 떠오른다. 동심은 귀향을 꿈꾸는 노마드의 이상향처럼 회귀하기 어려운 곳이다. 누구나 꿈꾸는 지점이지만 그 지점을 터부시하고 애써 외면했던 모두의 자리였다. 그러한 장면을 설정하고 감각적 터치와 구도를 형상화 시켜 가랑비처럼 적셔주는 동화·동시 작가는 보석같이 귀하다.

동화·동시를 가까이하는 습관이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한다. 아이는 초인의 표상이기도 하다. 예술의 위력을 유일한 구원의 도구로 바라본 니체는 어린이에게서 그 모티프를 발견했다. 동화·동시 작가의 발굴이 급하고 중요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가정에 웃음이 만발하고 사회적 공동체가 살아 숨 쉬는 저력도 아이 키우는 어머니의 모성이 본성 속에 살아 숨쉬기 때문이지 않을까.

동심은 사심이 없는 순수한 이끌림의 에로스적 충동을 지닌다. 어른의 힘은 초심에서 나온다. 초심으로 돌아가면 얽히고설킨 매듭이 풀릴 수 있다. 동심의 한복판을 발견하고 머물고 걷는 사람은 허투루 지나칠 수 없을 것이다. ‘행복한 사람은 있는 것을 사랑하고 불행한 사람은 없는 것을 사랑한다’라고 한다. 누구에게나 있는 동심을 사랑하는 것이 미지의 행성에 고향을 세우는 불안을 잠재울 것 같다. ‘창백한 푸른 점’ 같은 미미한 존재인 자신의 고향을 사랑하는 것은 동심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떠날 수밖에 없는 천형 같은 운명을 안고 사는 불확실성에 대한 해답도 내가 딛고 서 있는 원형인 동심에 그 해답이 있다. 수구초심, 잠든 동심을 찾아 오래된 책장과 서점의 동화동시집에 손을 뻗어 중장년이 애독하여 힘과 지혜를 재충전하는 원년이길 다짐해 본다.

메타버스 세상은 동심에 이미 열려있다. 저 멀리 잡히지도 보이지 않는 기상천외한 곳에 있는 것이 아니다. 순수하고 훌륭한 작가의 동화와 동시 안에 새봄 꽃으로 피어있다. 이제는 꽃밭을 거닐고 향기를 맡으며 나름의 색깔로 그려나가면 된다. 새봄 동화·동시 작가의 탄생을 축하드립니다.

2023년 1월
박시연(평론가)

상품정보안내

  •  주문 전 중고상품의 정확한 상태 및 재고 문의는 [판매자에게 문의하기]를 통해 문의해 주세요.
  •  주문완료 후 중고상품의 취소 및 반품은 판매자와 별도 협의 후 진행 가능합니다. 마이페이지 > 주문내역 > 주문상세 > 판매자 정보보기 > 연락처로 문의해 주세요.

부적합 상품 신고하기

신고하기
  •  구매에 부적합한 상품은 신고해주세요.
  •  구매하신 상품의 상태, 배송, 취소 및 반품 문의는 판매자 묻고 답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상품정보 부정확(카테고리 오등록/상품오등록/상품정보 오등록/기타 허위등록) 부적합 상품(청소년 유해물품/기타 법규위반 상품)
  •  전자상거래에 어긋나는 판매사례: 직거래 유도
6,500
1 6,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