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부 영화서술학과 홍상수 영화의 유형학
제1장 유형학과 서술학: 분석 및 해석의 관점 제2장 초점인물의 교체와 다성성의 영화 - 홍상수 영화의 서술학적 유형 제3장 남성인물의 필터화와 전이된 욕망의 영화? - 홍상수 영화의 서술학적 유형 제4장 액자구조와 상호텍스트성의 영화? - 홍상수 영화의 서술학적 유형 제5장 고백의 형식과 자기반영성의 영화? - 홍상수 영화의 서술학적 유형 제6장 영화서술학과 홍상수 영화의 유형학 제2부 영화서술과 문학서술, 영화비평과 문화비평 [우리 선희], 명명의 (불)명확성과 서성거림 비유기적 서술시의 방법과 장치, 그리고 오래된 미래 시적 영화에서 무협영화까지 ‘낭만’의 재발견과 현재적 가치 참고문헌 찾아보기 |
서술학/서사학의 기존 이론과 새로운 이론을 섭렵하여 정리를 하고, 이를 현시대 가장 관심이 많고 강력한 서사인 영화에 대한 분석 및 해석에 실제 적용하고 있는 책이다. 서술학을 영화의 유형학에 적용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분석 및 해석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서술학의 방법론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홍상수의 영화는 훌륭한 예가 된다. 그리고 문학서술에 대한 분석 및 해석도 곁들이고 있는 책이다. 이 책에 사용된 도표와 스틸사진은 서술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