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표도르 도스트옙스키-나는 떨고 있는 벌레인가, 권리를 가진 인간인가?-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레프 톨스토이-모든 불행한 가정은 제각각 나름으로 불행하다표트르 차다예프-러시아는 전 세계에 무엇을 하면 안 되는지를 보여 주기 위해 예정된 것처럼 보인다알렉산드르 푸시킨-동화는 거짓이지만 숨은 뜻이 있다-사람들의 심장을 동사로 불질러라-사랑 앞에서는 나이가 고개를 숙인다-유럽으로 창문을 뚫다Box | 러시아는 유럽인가, 아시아인가?니콜라이 고골-빨리 가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 러시아 사람이 아니지!-러시아인에게는 불구대천의 위험한 적이 있다알레산드르 그리보예도프-재판을 누가할 건데?-믿는 자가 평화롭다 -악한 입버릇은 총보다 더 무섭다이반 크릴로프-강자는 항상 약자를 탓한다이반 투르게네프-행복은 건강과 같다Box | 투르게네프의 아가씨안토 체호프-사람은 모든 것이 아름다워야 한다-교양이란 다른 사람이 소스를 흘린 것을 못 본 척하는 것이다알렉산드르 블로크-평온은 그저 꿈일뿐마리나 츠베타예바-난 널 여름 내내 사랑할 거야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별빛을 켜 주는 건 누군가에게 필요해서가 아닐까세르게이 예세닌-하얀 사과나무 꽃구름이 사라지는 것처럼 모든 것들 또한 지나가리라막심 고리키-유럽을 전속력으로!-인생은 오로지 두 개의 형태가 있다: 부패와 불꽃Box | 평범하다=나쁘다-남자의 교양 수준은 여자를 대하는 태도로 결정된다-기어다니도록 태어난 자는 날 수 없다알렉산드르 볼코프-뇌가 없는 사람들은 말하는 걸 그렇게 좋아하더라고요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극장은 옷걸이에서 시작된다파이나 라녭스카야-진짜 남자는 여자의 생일은 꼭 기억하지만 나이는 절대 모르는 사람이다일리야 일프 & 예브게니 페트로프-돈은 아침에, 의자는 저녁에-익사자를 구하는 일은 익사자 자신의 손에 달려 있다베니아민 카베린-‘집’은 서로에게 아무것도 숨기지 않은 상태다안드레이 네크라소프-배는 이름 지어진대로 항해할 거라네 스트루가츠키 형제-어떤 이상을 위해 악행을 저질러야 한다면 그 이상은 쓰레기에 불과하다세르게이 도블라토프-내가 쓰레기는 아닌가? 빅토리야 토카레바-사랑의 테러, 우리는 테러의 인질로 잡혀 있다 보리스 아쿠닌-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평등할 수는 없다 빅토르 펠레빈-러시아의 삶에서 ‘영성’이란 과시가 주요한 생산품이라는 의미다 표도르 튜체프-러시아는 머리로 이해할 수 없다 에필로그
|
일리야 벨랴코프의 다른 상품
러시아의 명문장을 통해 읽는 러시아 문화 안내서! 러시아인들에게 문학은 일상의 일부다. 뉴스나 정치인의 연설은 물론 일상의 대화에서도 문학 작품의 한 줄이 인용된다. 그만큼 러시아 문학은 러시아 문화와 불가분의 관계다. ‘대한러시아인’ 벨랴코프 일리야는 러시아의 대문호뿐 아니라 현대 러시아 문학의 거장들까지, 러시아 사람들이 즐겨 인용하는 문장 속에 담긴 러시아의 문화와 정서를 흥미롭게 전한다. 『러시아의 문장들』은 문학이라는 창을 통해 러시아 문화를 읽는 가장 탁월한 가이드가 될 것이다.ㆍ러시아 문학은 독자들에게 에베레스트와 같은 존재다러시아 대문호들의 작품은 반드시 읽어야 할 고전이지만, 막상 도전하기는 쉽지 않다. 이는 러시아 문학이 어렵고 난해하다는 편견 때문이기도 하다. 한국 독자들에게는 작가와 등장인물의 이름부터가 난관이다. 여기에 러시아 문학 특유의 철학적 고민까지 더해지면, 한 페이지를 넘기는 것조차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러시아인들에게도 러시아 문학은 결코 쉽지 않다. 벨랴코프 일리야는 “러시아 문학은 작가와 독자의 고통으로 만들어진다”고 말한다. 이는 단순한 개인적인 견해가 아니라, 러시아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공감받는 인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인들은 자국의 문학을 자랑스러워하고 열독하며, 일상 속에서 문학 작품의 명문장을 자연스럽게 인용한다. 이는 러시아 문학이 그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러시아 문화 자체를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ㆍ러시아 문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먼저 러시아 문화를 알아야 한다러시아는 한국과는 확연히 다른 문화적 배경과 정서를 지닌 나라다. 또한 서구와도 완연히 다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 우리에게 익숙한 상식과 지식으로는 러시아를 이해하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러시아 문학은 더욱 높은 장벽처럼 느껴질 수 있다. 2016년 러시아에서 한국으로 귀화한 벨랴코프 일리야는 인생의 절반을 러시아에서, 나머지 절반을 한국에서 살아온 ‘대한러시아인’이다. 한국과 러시아를 잇는 가교 역할을 자처하는 그는, 러시아인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문학 속 한 줄의 문장을 통해 러시아를 이해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흥미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 같은 대문호들의 작품은 물론, 현대 러시아 문학까지 아우르며, 러시아인들이 사랑하고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문학적 표현이 오늘날 러시아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설명한다.ㆍ한국인만을 위한 러시아 문학, 그리고 러시아 문화 안내서이제는 한국 작가가 된 벨랴코프 일리야는 생소한 러시아 문화를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적 상식과 속담을 활용하여 한국 독자들을 위한 글을 썼다. 일리야 특유의 냉철한 논리에 위트를 더한 문체는 흥미를 배가시면서 독자들을 러시아 문학의 세계로 안내한다. 『러시아의 문장들』은 한국을 깊이 이해하는 러시아 출신 한국인만이 전할 수 있는 문화 안내서이자, 러시아 문학을 부담 없이 접할 수 있도록 돕는 친절한 가이드다. 낯설지만 매력적인 러시아를 문학이라는 창을 통해 들여다보는 경험은 새로운 세계를 탐구하고 싶은 독자들에게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