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마음 상. 선생님과 나 16 중. 부모님과 나 104 하. 선생님과 유서 148 해설 _ 마음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강유정 275 나쓰메 소세키 연보 283 현암사가 완간한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전 14권) 1차분(2013년 9월 10일 출간) 1.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 송태욱 옮김 2. 도련님(坊っちゃん) 송태욱 옮김 3. 풀베개(草枕) 송태욱 옮김 4. 태풍(野分) 노재명 옮김 2차분(2014년 9월 5일 출간) 5. 우미인초(虞美人草) 송태욱 옮김 6. 갱부(坑夫) 송태욱 옮김 7. 산시로(三四?) 송태욱 옮김 3차분(2015년 8월 28일 출간) 8. 그 후(それから) 노재명 옮김 9. 문(門) 송태욱 옮김 10. 춘분 지나고까지(彼岸過?) 송태욱 옮김 11. 행인(行人) 송태욱 옮김 4차분(2016년 6월 25일 전집 완간) 12. 마음(こころ) 송태욱 옮김 13. 한눈팔기(道草) 송태욱 옮김 14. 명암(明暗) 송태욱 옮김 |
Natsume Soseki,なつめ そうせき,夏目 漱石,나츠메 긴노스케 夏目 金之助
나쓰메 소세키의 다른 상품
송태욱의 다른 상품
100년 전의 나쓰메 소세키에게 묻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고민
나쓰메 소세키는 메이지 시대의 사람들의 이야기를 썼지만 그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국경과 시대를 초월하여 ‘지금의 우리들’에게 닿아 있다. 그는 인간의 문제에 깊이 천착했고, 인간 마음속 심연까지 접근해 들어갔다. 고독과 불안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자신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하는 질문과 탐구로 생생한 보편성을 확보했다. 소세키는 자전적 성격이 강한 작품들을 썼고, 그의 생애가 작품처럼 드라마틱하고 비극적이었다. 그는 후처의 아들로 태어나 두 번이나 양자로 보내졌다가 양부모의 이혼으로 파양되었다. 중학생 때 어머니를 잃고, 큰형과 둘째형을 폐결핵으로 잃었으며 결혼한 뒤에는 아내가 유산의 충격으로 투신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 자신은 평생 위통을 앓았고 신경쇠약, 두통에 시달렸다. 그는 이러한 무수한 상실과 고통에 대한 기억을 작품 속에서 소름끼치도록 차분하고 담담하게 서술하고 있다. 우리의 삶이 고통과 불행, 궁핍의 연속이고 반복임을 수긍하면서도 한편으론 삶을 믿을 수 있기를, 불안하지 않기를 갈구했다. 성장 제일주의 사회, 군국주의 사회를 살아가면서 시대를 꿰뚫어 보고 타인의 욕망에 휩쓸리지 않는, 자유롭고도 윤리적인 ‘개인’이 되고자 한 나쓰메 소세키. 그는 “개인이 뿔뿔이 흩어져 있는 시대에 고독한 영혼끼리 공명하는”(강상중) 길을 모색했고, 불안하고 나약한 우리 자신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끈질긴 희망을 놓지 않으며 죽을 때까지 인간을 연구했다. 사모님은, 선생님이 K를 이기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만 게 아닐까. K가 자살하자 선생님은 영원히 자신의 승리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고, 사모님이 옆에 있는 한 선생님의 마음은 K에게서 벗어날 수 없게 된 것이 아닐까. 그렇다고 선생님은 사모님을 버릴 수도 없다. 그녀를 사랑했기 때문에 K를 속이면서까지 결혼했다는 자신의 정당성까지 버려야 할 테니까. K에게 감정이입하여 읽으면 선생님의 또 다른 마음이 보인다. _옮긴이의 말에서 내 눈은 그의 방 안을 한번 둘러보자마자 마치 유리로 만든 의안처럼 움직이는 능력을 상실했지. 그 자리에 못 박히고 말았네. 그런 상태가 질풍처럼 나를 통과한 뒤 나는 다시 아, 큰일 났다, 하고 생각했지.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검은빛이 내 미래를 관통하고 한순간에 내 앞에 놓인 전 생애를 무섭게 비추었네. 그리고 나는 덜덜 떨기 시작했지. _ 본문에서 나쓰메 소세키는 그 ‘마음’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방식으로 체감되며 어떤 형식으로 드러나는지 그 마음의 서사를 발명해냈다. 그를 일컬어 일본 근대 소설의 시작이자 그 핵심의 정서라고 말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세상과 어울리지 못하고 불화하는 개인 그리고 그 불화 가운데서 뜨겁고도 분명한 ‘진실’의 기미를 전달해주는 갈등, 그 갈등 가운데서 또렷해지는 어떤 개인,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소설에서 찾고자 하는 무엇이다. _ 강유정(문학평론가) “자유와 독립과 자기 자신으로 충만한 현대에 태어난 우리는 그 대가로 모두 이 외로움을 맛봐야 하는 거겠지.” ‘나’는 가마쿠라의 한 해수욕장에서 ‘선생님’을 만나 한눈에 알 수 없는 매력을 느낀다. 그러나 선생은 타인과 거리감을 두고 ‘나’에게 쉽게 마음을 열지 않는다. ‘나’의 적극적인 태도로 두 사람은 마음을 터놓는 사이가 되지만 ‘나’가 아버지의 병환 때문에 고향에 내려가 있는 사이 선생은 ‘나’에게 유서를 보내고 목숨을 끊는다. 선생의 유서에는 왜 그가 스스로 마음의 문을 굳게 닫게 되었는지가 담겨 있었다. 선생은 학생이었을 때 친구인 K와 둘이서 하숙집의 딸을 좋아했는데 친구를 속이고 그녀를 가로채었다. 이를 알게 된 K가 자살하자 이후 선생은 줄곧 절망에 빠져 살게 되었다. 소세키는『마음』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에서 오는 자괴감, 근대를 지탱하던 ‘시대의 윤리’ 등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심연을 묘사했다. 그리고 자기 안에 심연을, 즉 자아를 가진 인간으로서 타인과 마주하기 위해 함께 끌어안아야만 하는 고독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발견된 자아는 대단한 것이 아니라 쓸쓸하고 외로운 것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지닌 고독의 괴로움, 변화를 감내하는 불안감. 이는 근대의 막이 열리던 시기에 급속하게 사람들에게 찾아온 인식 변화이며, 이 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기조이기도 하다. 소세키는『마음』에서 스스로를 포함하여 인간 존재 일반을 증오하는 선생님이라는 인물을 통해 현대의 우리 모습을 투영했고, 나아가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 인생의 의미, 그리고 ‘개인’이라는 큰 문제의 해답을 위한 안내자가 되어준다. 『마음』은 모두 세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나’와 선생님이 처음 만나 관계가 발전되는 과정을, 두 번째 장에서는 아버지가 위독하여 고향에 내려가게 된 ‘나’와 가족 간의 관계를 그렸다. 그리고 세 번째 장은 선생님이 자신에게 찍힌 과거의 낙인과 그것이 스스로에게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에 대해 고백하는 ‘유서’로 구성되어 있다. 『마음』은 1914년, 도쿄와 오사카의《아사히 신문》에 동시에 연재되었다. 일본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소설 중에 하나이며, 판매 부수가 1,700만 부를 돌파할 정도로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또한 근대소설의 규범이 되었다는 점에서 일본 근대문학 최고의 정전(正典)으로 꼽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