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판매자
Traviata
판매자 평가 4 28명 평가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한정판매의 특성상 재고 상황에 따라 품절 가능

업체 공지사항

중고상품 특성상 단순변심, 구매자 착오에 의한 반품 불가합니다.
중고상품 특성상 단순변심, 구매자 착오에 의한 반품 불가합니다.

중고CD 소개

최상
새 상품에 가까운 상품?
  •  판매자 : Traviata
  •  개봉된 상품으로, 상태 양호합니다.
  •  특이사항 : 개봉된 상품으로, 상태 양호합니다.

아티스트 소개30

연주Isaac Stern

 

아이작 스턴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Itzhak Perlman

 

이차크 펄만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Nathan Milstein

 

나탄 밀스타인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David Garrett

 

데이비드 가렛

바이올리니스트

연주Daniel Hope

 

다니엘 호프

1974년생으로 남아프리카 더반에서 출생, 영국에서 성장했다.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 예후디 메뉴인에게 바이올린을 배웠다. 보자르 트리오의 최연소 멤버로 7년간 활동했다. 솔로 연주자로서 국제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다수의 수상경력이 있으며 그 중 ‘클래식 에코’는 여러 번 수상했다. 2007년 첫 번째 음반 「조상의 유산」을 발표했다. 현재 독일에 살고 있는 다니엘 호프의 첫 번째 저서 『조상의 유산』은 독일에서 베스트셀러로 기록되었다. 그는 아카데미 수상 배우인 클라우스 마리아 브랜다우어와 공연을 위해 "전쟁과 평화", "언플러그드 모차르트", "디트리히 본회퍼" 등의
1974년생으로 남아프리카 더반에서 출생, 영국에서 성장했다.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 예후디 메뉴인에게 바이올린을 배웠다. 보자르 트리오의 최연소 멤버로 7년간 활동했다. 솔로 연주자로서 국제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다수의 수상경력이 있으며 그 중 ‘클래식 에코’는 여러 번 수상했다. 2007년 첫 번째 음반 「조상의 유산」을 발표했다. 현재 독일에 살고 있는 다니엘 호프의 첫 번째 저서 『조상의 유산』은 독일에서 베스트셀러로 기록되었다. 그는 아카데미 수상 배우인 클라우스 마리아 브랜다우어와 공연을 위해 "전쟁과 평화", "언플러그드 모차르트", "디트리히 본회퍼" 등의 스크립트를 집필했으며, 종종 BBC와 아메리칸 퍼블릭 미디어의 라디오 진행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연주Gidon Kremer

 

기돈 크레머

발트 3국 중 하나인 라트비아 리가에서 태어났다. 조부이자 바이올린의 대가였던 카를 브뤼크너(1893-1963)와, 마찬가지로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양부에게서 가르침을 받아 네 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켜기 시작했다. 일곱 살에 리가 음악 학교에 들어갔고, 열여덟 살부터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전설적 연주자인 다비트 오이스트라흐(1908-1974)를 사사하며 본격적으로 연주자의 길을 걷는다. 1967년, 브뤼셀에서 열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3위로 입상했고, 1969년 몬트리올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2위에 올랐다가 마침내 같은 해 열린 파가니니 콩쿠르와 1970년 차이콥스 키 콩쿠르에서
발트 3국 중 하나인 라트비아 리가에서 태어났다. 조부이자 바이올린의 대가였던 카를 브뤼크너(1893-1963)와, 마찬가지로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양부에게서 가르침을 받아 네 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켜기 시작했다. 일곱 살에 리가 음악 학교에 들어갔고, 열여덟 살부터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전설적 연주자인 다비트 오이스트라흐(1908-1974)를 사사하며 본격적으로 연주자의 길을 걷는다. 1967년, 브뤼셀에서 열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3위로 입상했고, 1969년 몬트리올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2위에 올랐다가 마침내 같은 해 열린 파가니니 콩쿠르와 1970년 차이콥스 키 콩쿠르에서 우승 트로피를 차지한다. 1975년 독일 안스바흐의 바흐주간 페스티벌과 베를린 필하모니를 통해 데뷔 무대를 가졌고, 1980년에는 소련을 떠나 독일에 정착했다. 다음 해, 오스트리아 로켄하우스에서 실내악 페스티벌(후에 ‘크레메라타 무지카’로 명칭 변경)을 창설해 새롭고 독특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2011년까지 장장 30년 동안 예술감독을 지냈다. 1997년에는 발트 해 지역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인 크레메라타 발티카를 만들어 지금도 전 세계로 활발히 초청 공연을 다니고 있다. 2002년에는 이 실내악단과 함께 논서치에서 발매한 음반 〈애프터 모차르트After
Mozart〉로 그래미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2016년 영국 음악전문지 〈BBC 뮤직 매거진〉이 백 명의 현역 바이올리니스트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생존하는 가장 위대한 바이올린 연주자로 첫손에 꼽히기도 했으며, 현대 음악의 저변과 바이올린 음악 레퍼토리를 넓히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이 책을 비롯하여 《유년기의
파편Kindheitssplitter》 등 네 권의 음악 관련 서적을 썼다.

연주Lisa Batiashvili

 

리사 바티아쉬빌리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Salvatore Accardo

 

살바토레 아카르도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Shlomo Mintz

 

슐로모 민츠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Anne-Sophie Mutter

 

안네 소피 무터

1970년 후반 세계는 젊은 천재의 출현에 깜짝 놀랐다. 상큼한 미모의 소녀가 까다로운 황제 카라얀이 지휘하는 베를린 필과 협연하여 악평으로 이름 높은 독일의 음악평론가들까지도 넉아웃시켰기 때문이었다. 카라얀은 그녀에 대해 단연코 세계 3대 여류 바이올리니스트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한바 있다. 그녀는 베를린 필,빈 필,뉴욕 필 등 세계 3대 교향악단은 물론 세계 유수의 교향악단들과 협연하였으며 카라얀,다니엘 바렌보임,클라우디오 아바도,주빈 메타,볼프강 자발리쉬 등 최정상의 지휘자들과 함께 공연하여 20대가 채 되기도 전에 전세계의 음악가가 우러러보는 명인의 반열에
1970년 후반 세계는 젊은 천재의 출현에 깜짝 놀랐다. 상큼한 미모의 소녀가 까다로운 황제 카라얀이 지휘하는 베를린 필과 협연하여 악평으로 이름 높은 독일의 음악평론가들까지도 넉아웃시켰기 때문이었다. 카라얀은 그녀에 대해 단연코 세계 3대 여류 바이올리니스트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한바 있다. 그녀는 베를린 필,빈 필,뉴욕 필 등 세계 3대 교향악단은 물론 세계 유수의 교향악단들과 협연하였으며 카라얀,다니엘 바렌보임,클라우디오 아바도,주빈 메타,볼프강 자발리쉬 등 최정상의 지휘자들과 함께 공연하여 20대가 채 되기도 전에 전세계의 음악가가 우러러보는 명인의 반열에 올라버렸다. 바로 안네 소피 무터이다.

3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안네 소피 무터는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의 자리를 굳건히 지켜오고 있다. 그리고 2008년 4월 24일 여성으로는 최초로 국제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을 수상했다. 20만 유로의 상금이 주어지는 지멘스 음악상은 음악가들이 가장 욕심내는 상 가운데 하나이다. 무터를 '세계를 위한 선물'이라 칭송한 음악비평가 요아힘 카이저(Joachim Kaiser)가 축사를 맡았다. 안네 소피 무터는 지휘자 카라얀(Herbert von Karajan)이 13세의 그녀를 발굴하면서부터 세계무대에 오를 수 있었다. 44세의 안네-소피 무터는 그 이후로 30년이 넘게 세계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가운데 한명으로 꼽히고 있다. 심사위원들에 따르면 무터는 예술성과 자연스러움,뛰어난 기교와 감성을 하나로 어우를 수 있는 몇 안되는 음악인이라고 한다. 그녀의 연주의 특색은 따뜻하고 깊이있는 음색과 솔직한 감정표현을 열정적으로 연주하는데 있다. 무터는 언제나 열정과 충실한 작품해석 사이에서 예술적 기교를 발휘한다. 무터는 전통적인 대작들 외에도 관객들에게 언제나 새로운 작품들을 선보인다. 세계적 명성을 자랑하는 연주자 중에 그녀만큼 동시대음악에 열정을 쏟는 사람은 많지 않다는 것이 심사위원들의 평가였다.

바이올리니스트 안네 소피 무터는 1963년 6월 29일 독일의 라인펠덴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5살 때에 피아노를 시작했으나 곧바로 바이올린으로 바꾸었다. 6살 때 Jugend Musiczier에서 처음으로 입상했고 칼 플레쉬(Carl Flesch,1873-1944)의 제자인 호니히베르거(Erna Honigberger)와 스위스의 Winterhur 음악학교 교수인 Aida Stucki로부터 사사받았다. 1976년에 있었던 루체른 페스티발(Lucerne Festival)에서 카라얀은 무터에게 깊은 음악적 애정을 갖게되었고,1977년 13세의 나이로 잘츠부르크 페스티발(Salzburg Easter Festival)에서 카라얀과 함께 데뷔공연을 가졌다. 그 다음해인 1978년에는 카라얀의 베를린필과 함께 그녀의 첫 레코딩을 했고 그 레코드는 Grand Prix Disque와 Deutsch Schallplatten Preis를 수상했다.

안네 소피 무터의 국제적 경력은 1977년 찰츠부르크 페스티발(Salzburg Whitsun Festival)에서 부터 시작 되었다. 솔리스트 또는 챔버 뮤지션으로서 유럽,미국,카나다,일본 등지에서 지속적으로 연주회를 가졌다. 그녀는 루토슬라브스키(Witold Lutoslawski,1913-1994),노르베르트 모레트(Norbert Moret,1921-1998),크시슈토프 펜데르츠키(Krzysztof Penderecki,1933- ),볼프강 림(Wolfgang Rihm,1952- )의 작품들을 주 레퍼토리로 연주하였고,많은 작곡가들은 특별히 그녀를 위한 곡들을 썼다. 뒤티외(Henri Dutilleux,1916- ),구바이둘리나(Sofia Gubaidulina,1931- ),그리고 전 남편 앙드레 프레빈(Andre Previn,1929) 등의 작곡가들은 특별히 무터를 위해 곡을 쓰기도 했다. 무터는 세계적 명성을 얻었고 많은 상을 받았다. 그리고 1985-1986년에는 런던에 있는 왕립음악학교는 그녀를 명예 회원(honorary fellow)으로 지명했다. 1979년에는 그해의 아티스트로 불려졌고 prestigious Deutscher Schallplattenpreis 를 받았다. 1983에는 옥스포드대학의 모짜르트협회의 명예회장이 되었고,1987년에는 독일공화국의 일등훈장을 받았다. 1996년에는 본에 있는 베토벤협회의 명회회원이 되었다.

카라얀 덕분에 그녀는 베를린 필과 베토벤,모짜르트,브라암스,멘델스존,브루흐 등의 협주곡을 출반하고 솔로앨범도 녹음하였는데,세계 최정상의 레이블인 도이치 그라모폰의 주요 베스트셀러들중의 하나로서 인기를 얻었다. 그 이면에는 20세기 들어 세계에 내놓을 만한 바이올리니스트를 갖지 못했던 독일 국민들의 소망- 독일인의 손으로 연주되는 베토벤을 위시한 독일 작곡가의 곡을 듣고 싶다는 소망 - 이 강도 높게 작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실제로 그녀는 독일정부가 종신토록 대여해준 1703년 제작 에밀리아니 스트라디바리우스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연주에 임하면 완전히 거기에 몰입하며 그 어떤 것도 들어갈 틈을 보여주지 않는 꽉찬 모습은 그녀의 놀랄만한 집중력을 보여준다. 그녀의 유연성과 순발력? 어떤 경우에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페이스를 지켜나가며,음을 자신이 원하는대로 표현해 내는 능력의 기초가 되어 완벽한 음악을 바라는 청중들의 기대를 만족시켜 준다.

무터는 세계적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그 결과,에이즈 퇴치와 암으로 고생하는 어린이를 위한 자선 콘서트를 가졌다. 그녀는 현재 뮌헨에서 살고 있으며, 음악 후진 양성 외에도 자선연주회 등을 통해 사회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연주Wolfgang Schneiderhan

 

볼프강 슈나이더한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David Oistrakh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바이올리니스트

연주Simon Standage

 

사이몬 스텐데이지

바이올린 연주자, 지휘자

연주Christian Ferras

 

크리스티앙 페라스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Augustin Dumay

 

오귀스탱 뒤메이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Hilary Hahn

 

힐러리 한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Giuliano Carmignola

 

줄리아노 카르미뇰라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Erica Morini

 

에리카 모리니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Pinchas Zukerman

 

핀커스 주커만

바이올린, 비올라 연주자, 지휘자

연주Victoria Mullova

 

빅토리아 뮬로바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Henryk Szeryng

 

헨릭 쉐링

바이올리니스트

연주Micaela Comberti

 

미카엘라 콤베르티 (바이올린)

연주Ruggiero Ricci

 

루지에로 리치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Tibor Varga

 

티보 바르가

바이올린 연주자

연주Yehudi Menuhin

 

예후디 메뉴인

바이올린 연주자, 지휘자

연주Johanna Martzy

 

요한나 마르치

요한나 마르치는 루마니아 태생의 헝가리 바이올리니스트이다. 마르치는 섬세하고 기품있는 연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녀는 지네트 느뵈, 이다 헨델 등과 함께 1950년을 전후해서 연주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6세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1932년에는 예뇌 후바이(Jeno Hubay,1858-1937)가 원장으로 있던 음악원에 입학하여 후바이가 사망한 1937년까지 그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후바이는 마르치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바이올린 연주자 가운데 한 사람이 될 것이라고 장담했는데, 그의 예언은 현실이 되었다. 13세에 치른 공연이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대성공을 거두
요한나 마르치는 루마니아 태생의 헝가리 바이올리니스트이다. 마르치는 섬세하고 기품있는 연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녀는 지네트 느뵈, 이다 헨델 등과 함께 1950년을 전후해서 연주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6세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1932년에는 예뇌 후바이(Jeno Hubay,1858-1937)가 원장으로 있던 음악원에 입학하여 후바이가 사망한 1937년까지 그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후바이는 마르치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바이올린 연주자 가운데 한 사람이 될 것이라고 장담했는데, 그의 예언은 현실이 되었다. 13세에 치른 공연이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대성공을 거두었다. 리스트의 친구인 명 바이올리니스트 레메니를 기념한 콩쿠르에서 대상을 받았고, 23세에는 제네바 국제 콩쿠르에서 상위 입상하였다. 이 무렵부터 유럽과 미국 공연으로 많은 인기를 얻었다.

1964년 존 프리차드(John Prichard)가 지휘하는 런던 필과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런던 연주회를 마쳤을 때 '타임즈'는 그녀의 연주를 다음과 같이 평했다. ["마르치는 빼어난 주법을 구사하는 위대한 연주자다. 그녀는 서정적인 음악에 따뜻한 감성을 불어넣을 때나 역동적인 부분에 힘을 불어넣을 때,언제나 전력을 다해 연주한다. 첫 번째 악장의 트리플-스토핑(triple stopping)부분은 번득이는 힘을 담고 있었다. G현과 D현으로부터 그가 뽑아내는 톤의 정열적인 긴장감은 정말 존경하지 않을 수 없다. 음악이 진행되면서 고요한 부분을 흔치 않은 고귀함으로 연주할 수 있는 것은 음악적인 기질이 폭넓기 때문이다. 가끔 잘못된 음을 짚기도 하지만 재치있게 처리를 해내고 있으니 도대체 누가 불평을 하겠는가? 느린 아다지오 악장의 탁월함은 어떤가. 고음부에는 마르치만의 비단결같은 순결함이 있고 격조 높은 부분에는 잘 통제된 감정과 유연함이 있었다. 마지막 악장에서 머뭇거리듯 연주하는 부분이 있었지만 곧 제맛을 되찾았다. 주제부에는 힘찬 리듬을 담아냈고,옥타브 주제의 가락은 힘차고 믿음직스러웠으며 코다의 16분음표에서는 발랄함을 보여주었다."]

요한나 마르치는 새털같은 따스한 감성, 고전주의적인 양식미가 넘치는 매력적인 개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가 남긴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는 기교의 과시없이 정신적 깊이로 바흐를 풀어낸 그녀의 명연중의 명연이다. 마르치는 1979년 8월 13일, 54세의 많지 않은 나이에 취리히의 한 병원에서 암으로 영면했다.

연주Tibor Bisztriczky

 

티보르 비츠트리츠키

바이올린 연주자

지휘Reinhard Goebel

 

라인하르트 괴벨

바이올린 연주자,지휘자

오케스트라Musica Antiqua Koln

 

무지카 안티쿠아 쾰른 (고음악 연주단체),MAK

1973년,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음악학자인 라인하르트 괴벨(Reinhard Goebel)이 독일 쾰른의 음악원 학생들과 함께 창단한 고음악 연주단체. 바로크 시대 작품을 연주하며, 당시 시대악기를 사용하였다. 1979년 홀랜드 페스티벌 동안 런던 퀸 엘리자베스 홀에서 공연하여 처음으로 많은 관객과 만났다. 1년 전인 1978년에는 도이치 그라모폰과 전속계약을 체결하였고, 이후 고음악 레이블인 Archiv사에서 많은 음반을 발매하였다. 2006년, 라인하르트 괴벨이 건강 문제로 지휘에만 집중하기로 결정하면서 MAK는 해산하였다.

실내악Roby Lakatos Ensemble

 

로비 라카토쉬 앙상블

품목정보

발매일
2018년 03월 09일
시간/무게/크기
크기확인중
KC인증

음반 속으로

100 Violin Masterworks (Trailer)

Deutsche Grammophon

상품정보안내

  •  주문 전 중고상품의 정확한 상태 및 재고 문의는 [판매자에게 문의하기]를 통해 문의해 주세요.
  •  주문완료 후 중고상품의 취소 및 반품은 판매자와 별도 협의 후 진행 가능합니다. 마이페이지 > 주문내역 > 주문상세 > 판매자 정보보기 > 연락처로 문의해 주세요.

부적합 상품 신고하기

신고하기
  •  구매에 부적합한 상품은 신고해주세요.
  •  구매하신 상품의 상태, 배송, 취소 및 반품 문의는 판매자 묻고 답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상품정보 부정확(카테고리 오등록/상품오등록/상품정보 오등록/기타 허위등록) 부적합 상품(청소년 유해물품/기타 법규위반 상품)
  •  전자상거래에 어긋나는 판매사례: 직거래 유도
45,000
1 4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