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001. 수채화의 현대적 개념
1. 수채화의 개념 2. 보편적 정의 002. 수채화의 회화적 특성 1. 회화적 특성 003. 수채화 제작을 위한 도구와 재료 1. 물감 2. 붓 3. 팔레트, 종이 4. 여러 가지 미디움 5. 그 밖의 도구들 004. 풍경화란 무엇인가 005. 풍경화의 제작 1. 부분적 표현 1)나무의 특성 2)바위, 돌담 3)길가,땅,바닥 4)산 5)꽃 6)물 7)집,건물 8)하늘과 구름 2. 여러가지 풍경 1)들판 2)도심 3)숲 4)농촌,산촌 5)어촌 6)달동네 7)물가 8)폐가 9)설경 10)야경 11)실내풍경 12)투영공간 13)다리가 있는 풍경 14)폐차장 15)안개 낀 날, 흐린 날 16)비 오는 날 17)바람부는 날 3. 시각의 차이와 풍경 1)Close up 풍경 2)고시각 3)저시각 4. 사진을 이용한 풍경화 1)사진을 이용한 풍경 수채화 2)여러 장의 사진을 복합한 풍경화의 제작법 5. 심상, 상상의 풍경 6. 그 밖의 풍경화 1)동물이 있는 풍경 2)인물이 있는 풍경 3)오브제를 부분적으로 사용한 풍경 4)이중화면의 풍경화 5)정물과 조화된 풍경 6)추상성과 조화된 풍경 7. 풍경수채화 제작 과정 1)어느 공간 2)양수리의 오후 3)머위가 있는 풍경 4)청적(淸寂) 5)실내 풍경 6)밤의 공간 中에서 7)안개 낀 날 8. 여러가지 표현 기법의 풍경수채화 1)혼합재료를 부분적으로 사용한 기법 2)불투명 기법 3)뾰족한 나무젓가락과 갈필을 사용한 기법 4)넙적붓을 이용한 겹쳐그리기 위주의 면 분할 채색법 5)수채 물감과 아크릴 물감의 혼용 6)한지,두루마리 휴지 등을 붙여서 채색 7)롤 캔트(Roll Cant)지 위에 양초를 이용한 기법 8)아크릴 붓과 유화 붓을 사용한 기법 9)콘테를 깔아서 채색 10)화지를 구겼다 펴서 채색 11)여러 색의 크레용을 이용한 기법 12)수채화 연필을 사용한 기법 13)젯소를 사용한 기법 14)화지를 Sand Paper로 갈아서 채색 수채화 작품의 올바른 보관법 |
우리 민족은 물로 그리는(水溶性,Water Soluble) 회화의 전통을 갖고 있다. 선조들이 즐겨 그리던 민화(民話)나 산수화(山水畵)도 인간생명의 근원인 물을 매제로 하는 회화이다. 수채화(水彩畵)는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그려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매우 친숙하고 한국 정서에 어울리는 그림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동안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우리의 정서와 미감에도 맞지 않는 외국의 원서나 번역서 등을 통해 수채화를 공부할 수 밖에 없었으며 지금도 외국서적이 판을 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처받은 문화적 자존심을 회복하고자 하는 바람이 이 책을 낸 계기가 되었다.
난해해져가는 현대미술의 상황 속에서 우리는 작가자신에게 맞는 조형언어를 선택하여 연구, 발전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여기에 풍경화(風景畵)도 예외가 아니며 얼마든지 작가의 언어를 대변할 수 있고 좀 더 새롭고 현대적인 작업도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만이 풍경은 아니다.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풍경이 될 수 있다. 풍경의 의미는 얼마든지 확산 가능한데 이때 작가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것이 “창조적인 새로운 시각”이다. 이 책의 특징 몇 가지를 살펴보자. Ⅰ. 모든 회화에는 공통적인 요소가 있다. 수채화, 유화, 아크릴화, 파스텔화 등도 재료에서 오는 기법이나 효과의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원리는 같다. 풍경화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라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원리에 충실했다. Ⅱ. 한국의 풍경과 한국 작가들의 풍경화들로 구성하여 우리 강산에서 실전적인 도움이 되게 하였다. Ⅲ. 지금까지의 풍경화 책에 없던 내용들을 많이 실었고 풍경화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내용들을 세부적으로 분리하여 다양성 있게 전개하였다. --- '본문' 중에서 |
수채화는 누구나 다 그려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매우 친숙한 그림이다. 『풍경 수채화의 세계』는 모든 풍경을 한국의 것으로, 한국의 물맛으로, 그려내고 또한 그리도록 가르치고 있다. 한국의 풍경과 우리 작가들의 풍경화로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초보자에게는 기초를,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다양하면서 깊이 있는 풍경수채화를 배울 수 있도록 만든 책으로 많은 곳에서 실기서 및 교재로 쓰여 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