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중고도서 세계교육 개혁:민영화 우선인가 공적 투자 강화인가?
교육개혁의 세계적 동향에 대한 실천적 연구 보고서
판매자
네네s
판매자 평가 5 7명 평가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한정판매의 특성상 재고 상황에 따라 품절 가능

중고도서 소개

책소개

목차

역사 서문 | 같은 시대, 다른 교육은 가능하다! 5
1장
글로벌 질문: 민영화 우선인가 공적 투자 강화인가? 1 5
프랭크 애덤슨Frank Adamson, 비에른 오스트랜드Bjorn Astrand
2장
칠레: 장기간의 신자유주의 실험이
교육의 질과 형평성에 미친 영향 4 3
아벨라르도 카스트로 이달고Abelardo Castro-Hildalgo, 릴리언 고메즈 알바레즈Lilian Gomez-Alvarez
3장
쿠바: 질 높은 공교육을
제공한 쿠바의 네 가지 비결 1 0 5
마틴 카노이Martin Carnoy
4장
시민에서 소비자로:
학교 시장으로 변형된 스웨덴의 민주적 이상 1 4 9
비에른 오스트랜드Bjorn Astrand
152*224.indd 12 17. 9. 12. 오후 5:04
5장
핀란드의 역설:
경쟁적 시장경제 안에서의 평등한 공교육 구현 1 99
파시 살베리Pasi Sahlberg
6장
미국 교육의 결정적 선택:
사적 투자인가 공적 투자인가? 2 3 5
프랭크 애덤슨Frank Adamson, 린다 달링-해먼드Linda Darling-Hammond
7장
캐나다의 수준 높은 공교육 발전:
온타리오주 사례 2 9 7
마이클 풀란Michael Fullan, 산티아고 링컨-가야르도Santiago Rincon Gallardo
8장
민영화 접근과 공적 투자 전략:
보이지 않는 손은 요술 지팡이인가? 3 4 3
린다 달링-해먼드Linda Darling-Hammond, 프랭크 애덤슨Frank Adamson

저자 소개10

린다 달링-해먼드

 
저자 린다 달링-해먼드Linda Darling-Hammond는 스탠퍼드대 교육대학원 원장. 『강력한 교사교육: 모범적인 프로그램의 교훈』(2012), 『변화해라: 학생 성공을 위한 학교 재발견』(2015) 등 수많은 혁신적인 교육 도서를 저술했다.

프랭크 애덤슨

 

Frank Adamson

저자 프랭크 애덤슨Frank Adamson은 스탠퍼드 교육기회정책센터 정책 및 리서치 애널리스트이다.

비에른 오스트랜드

 

Bjorn Astrand

저자 비에른 오스트랜드Bjorn Astrand는 스웨덴 우메오Umea 대학교 부교수, 전 사범대 학장이다.

강호원

 
런던대학교 교육대학원University College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영어교육박사과정이다.

이정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를 수료하고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예술창작기초학부 강사이다.

윤선인

 
인천대학교 영어교육과 조교수. 영국 런던의 Institute of Education-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교육철학으로 박사학 위를 받았다. 국내 학술저널에 게재된 주요 연구물로 「박물관 교 육에서 의미구성과정의 실존적 경험 탐구」2020, 교육철학연구, 「세계시민 교육의 실천 방향에 대한 철학적 성찰: 카신의 언어 논의를 중심 으로」2019, 교육문화연구, 「스콜라스틱 경계의 사유: 영화 <이매진Imagine > 에 나타난 통합교육의 교육적 함의」2019, 교육철학연구, 「하이데거의 존 재론에서 본 자유의 형이상학과 인문교육」2018, 교육철학연구 등
인천대학교 영어교육과 조교수. 영국 런던의 Institute of Education-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교육철학으로 박사학 위를 받았다. 국내 학술저널에 게재된 주요 연구물로 「박물관 교 육에서 의미구성과정의 실존적 경험 탐구」2020, 교육철학연구, 「세계시민 교육의 실천 방향에 대한 철학적 성찰: 카신의 언어 논의를 중심 으로」2019, 교육문화연구, 「스콜라스틱 경계의 사유: 영화 <이매진Imagine > 에 나타난 통합교육의 교육적 함의」2019, 교육철학연구, 「하이데거의 존 재론에서 본 자유의 형이상학과 인문교육」2018, 교육철학연구 등이 있고, 국외 학술저널에 게재된 주요 연구물로는 「At home and not at home in the national museum: on nostalgia and education」 2020,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Curiosity, Wonder and Museum Education」2018,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등이 있다. 그 외 해외 학 술 저서 집필과 국내 교육서 번역 등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심성보

 

沈聖輔

거시적·장기적 교육 전망과 현장에서의 미시적·단기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실천적 이론가’와 ‘이론적 실천가’를 꿈꾸고 있다. 이상주의idealism와 현실주의realism가 분리되지 않는 변증법을 굳게 믿고 실천하면서 교육이론 운동과 교육 실천 운동의 두 갈래 길을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최근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민주학교의 탄생』,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을 공동으로 펴냈다. 또한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거시적·장기적 교육 전망과 현장에서의 미시적·단기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실천적 이론가’와 ‘이론적 실천가’를 꿈꾸고 있다. 이상주의idealism와 현실주의realism가 분리되지 않는 변증법을 굳게 믿고 실천하면서 교육이론 운동과 교육 실천 운동의 두 갈래 길을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최근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민주학교의 탄생』,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을 공동으로 펴냈다. 또한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프레이리와 교육』, 『존 듀이와 교육』,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세계시민교육』, 『사랑의 교육학』의 번역에 참여했다. 2018년 정년 퇴임 후에는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코로나 시대, 마을교육공동체운동과 생태적 교육학』을 펴냈다. 현재 부산교대 명예교수로서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상임대표, 흥사단교육운동본부 상임대표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교육과 사회의 동시적 변혁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촛불혁명의 미완성 과제와 코로나 사태의 발생으로 새로운 과제가 대두하면서 대한민국의 다중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사상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려고 한다. 1995년 5·31교육개혁이 신자유주의적 문명화 시도였다면, 지금은 지속가능한 포용적·공동체적·생태적 문명으로의 이동을 위한 사회 및 교육 체제의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 교육의 전면적 전환을 위한 총체적 교육사상의 정립과 다면적 실천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100여 년 전 기술적 근대화(개화파)와 토착적 근대화(개벽파)가 분열되어 일제 식민지화를 초래했듯, 제2의 식민지화를 막으려면 한국의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 우리는 지금 대안적 세상을 여는 혁신적·변혁적 교육 및 운동을 절실히 요구한다.

이두형

 
동국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습니다. 서울시 민주시민교육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윤혁

 
흥사단 교육운동본부 사무처장 및 청소년 인생학교 대표이며 교육혁명공동행동 정책위원이다.

이윤미

 
흥사단 교육운동본부 사무차장 및 ‘민주피아’ 기획 운영자이다.

품목정보

발행일
2017년 09월 23일
쪽수, 무게, 크기
408쪽 | 612g | 153*224*30mm
ISBN13
9791159300349

출판사 리뷰

『세계교육개혁, 민영화 우선인가 공적투자 강화인가?』는 이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저서이다. 이 책을 쓴 교육학자들이 안내하는 세계교육개혁에 참여한 세 쌍의 교육체제 비교는 민영화 접근 대 공적 투자 모델이 어떻게 시민을 위해 서로 다른 교육 성과를 창출하는지를 보여준다. 그들은 궁극적으로 자신들의 사회를 위해 연구하고 조사하였다. 비교교육 연구 기금을 받아 수행된 이 연구 조사 결과는 모든 정책 결정자의 의제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최고의 작품이다.
_수전 L. 로버트슨Susan L. Robertson,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교육 선택과 민영화는 더 나은 학교를 만들 수 있는가? 아니면 차별과 불평등을 만들어내는가? 이 연구의 결과는 여러분을 놀라게 할 것이지만, 또 하나의 견해와 대안을 보여주고 있다.
_헨리 M. 레빈Henry M. Levin, 미국 컬럼비아 사범대학교 경제학·교육학 교수

이 책의 내용이 전해주는 교훈은 학생, 학부모, 정책 결정자 그리고 서로 다른 교육의 이해 당사자들에게 가르침과 배움이 아닌 민영화와 이윤이 교육개혁을 어떻게 주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보여준다.
_줄리언 V. 하일리그Julian Vasquez Heilig,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교육리더십학과 교수

상품정보안내

  •  주문 전 중고상품의 정확한 상태 및 재고 문의는 [판매자에게 문의하기]를 통해 문의해 주세요.
  •  주문완료 후 중고상품의 취소 및 반품은 판매자와 별도 협의 후 진행 가능합니다. 마이페이지 > 주문내역 > 주문상세 > 판매자 정보보기 > 연락처로 문의해 주세요.

부적합 상품 신고하기

신고하기
  •  구매에 부적합한 상품은 신고해주세요.
  •  구매하신 상품의 상태, 배송, 취소 및 반품 문의는 판매자 묻고 답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상품정보 부정확(카테고리 오등록/상품오등록/상품정보 오등록/기타 허위등록) 부적합 상품(청소년 유해물품/기타 법규위반 상품)
  •  전자상거래에 어긋나는 판매사례: 직거래 유도
8,200
1 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