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중고도서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부터 수나라의 통일까지
판매자
돌직구
판매자 평가 3 3명 평가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한정판매의 특성상 재고 상황에 따라 품절 가능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에 가까운 상품?
  •  판매자 : 돌직구
  •  25
  •  특이사항 : 고맙습니다

책소개

목차

머리말 - 새로운 중화세계의 탄생
서장 - 서진의 붕괴와 대(代)의 흥망 - 오호의 여러 정권들
1. 서진의 붕괴와 한의 발흥
2. 대국의 성립과 멸망

1장 - 북위의 화북 지배(북조1)

1. 탁발규의 북위 건국
2. 태무제의 화북 통일과 최호의 차질
3. 태상황제의 탄생
4. 선비를 연결한 유목적 관제와 제천의례

2장 - 새로운 ‘전통’을 창출한 송(남조1)

1. 유유의 송 건국
2. ‘전통’의 창출과 숙청의 광풍
3. 송과 제의 문화

3장 - 효문제의 중국화 정책의 빛과 그림자(북조2)

1. 풍태후의 여러 개혁들과 화북 지배의 침투
2. 효문제의 중국화 정책 - 낙양 천도, 예제, 관제, 습속
3. 낙양의 번영과 문벌정치

4장 - 동위와 서위의 사투(북조3)

1. 육진의 난과 이주영의 전횡
2. 동위의 권신 고환의 고뇌 - 훈귀와 한인 귀족의 틈에서
3. 서위의 권신 우문태의 복고정책 - 유목적 관제와『주례』의 제도

5장 - 황제보살 소연과 파란의 남자 후경(남조2)

1. 양의 건국과 천감의 개혁
2. 황제보살의 빛과 그림자
3. 후경의 난과 양의 붕괴

6장 - 또 하나의 삼국시대(북제, 북주, 진)(북조4, 남조3)

1. 북제 - 격화하는 권력 투쟁
2. 북주 - 화북 통일로의 길
3. 진 - 남조 최후의 왕조

종장 - 남북조시대의 다이나미즘
맺음말
참고문헌
주요인물소개
연표

저자 소개2

아이다 다이스케

 

會田大輔

1981년생, 도쿄 출신. 2013년 메이지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 후기과정 수료, 박사(사학).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PD)을 거쳐 현재 메이지대학·도요대학·야마나시대학 등에서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전공은 중국사(남북조수당사)로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부터 수나라의 통일까지』가 첫 저서이다. 제35회 동방학회상을 수상했다.

권용철

 

權容徹

고려대학교 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사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박사후연구원, 단국대학교 북방문화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경기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원대 중후기 정치사 연구』와 『고려사 속의 원 제국』이 있고, 50여 편의 학술논문을 집필했다. 번역기획공동체 ‘창窓’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몽골족의 역사』, 『킵차크 칸국』, 『칭기스의 교환』, 『몽골제국』, 『랍반 사우마의 서방견문록』, 『중국의 역사』, 『실크로드 세계사』, 『천하와 천조의 중국사』, 『중국과 이슬람 세계의 지도 그리기
고려대학교 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사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박사후연구원, 단국대학교 북방문화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경기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원대 중후기 정치사 연구』와 『고려사 속의 원 제국』이 있고, 50여 편의 학술논문을 집필했다. 번역기획공동체 ‘창窓’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몽골족의 역사』, 『킵차크 칸국』, 『칭기스의 교환』, 『몽골제국』, 『랍반 사우마의 서방견문록』, 『중국의 역사』, 『실크로드 세계사』, 『천하와 천조의 중국사』, 『중국과 이슬람 세계의 지도 그리기』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8월 17일
쪽수, 무게, 크기
328쪽 | 137*215*30mm
ISBN13
9791192667577

상품정보안내

  •  주문 전 중고상품의 정확한 상태 및 재고 문의는 [판매자에게 문의하기]를 통해 문의해 주세요.
  •  주문완료 후 중고상품의 취소 및 반품은 판매자와 별도 협의 후 진행 가능합니다. 마이페이지 > 주문내역 > 주문상세 > 판매자 정보보기 > 연락처로 문의해 주세요.

부적합 상품 신고하기

신고하기
  •  구매에 부적합한 상품은 신고해주세요.
  •  구매하신 상품의 상태, 배송, 취소 및 반품 문의는 판매자 묻고 답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상품정보 부정확(카테고리 오등록/상품오등록/상품정보 오등록/기타 허위등록) 부적합 상품(청소년 유해물품/기타 법규위반 상품)
  •  전자상거래에 어긋나는 판매사례: 직거래 유도
18,000
1 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