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문 뒤에서
양장
베스트
세계각국소설 top100 11주
가격
11,000
10 9,900
YES포인트?
5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조르조 바사니 선집

책소개

목차

문 뒤에서 007

옮긴이의 말 161
조르조 바사니 연보 165
추천의 말_안젤로 조에 173
조르조 바사니 『페라라 소설』을 펴내며_김운찬 179
페라라 지도 182

저자 소개2

조르조 바사니

관심작가 알림신청
 

Giorgio Bassani

1916년 3월 4일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태어난다. 부유한 유대인 집안 출신으로, 유년기와 청년기를 페라라에서 보낸다. 1934년 볼로냐 대학 문학부에 입학해 미술사가 로베르토 론기에게서 수학한다. 대표적인 반파시즘 지식인 베네데토 크로체의 글에 심취해 있던 대학 시절, 페라라의 일간지 『코리에레 파다노』를 통해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1938년 반유대주의적 인종법이 선포될 무렵부터 반파시즘 활동에 참여하다 1943년 체포되어 구금된다. 무솔리니가 실각하면서 풀려난 뒤 로마에 정착한다. 이차대전 후에는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해나가는 동시에, 당대를 풍미한 문예지 『보테게 오
1916년 3월 4일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태어난다. 부유한 유대인 집안 출신으로, 유년기와 청년기를 페라라에서 보낸다. 1934년 볼로냐 대학 문학부에 입학해 미술사가 로베르토 론기에게서 수학한다. 대표적인 반파시즘 지식인 베네데토 크로체의 글에 심취해 있던 대학 시절, 페라라의 일간지 『코리에레 파다노』를 통해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1938년 반유대주의적 인종법이 선포될 무렵부터 반파시즘 활동에 참여하다 1943년 체포되어 구금된다. 무솔리니가 실각하면서 풀려난 뒤 로마에 정착한다. 이차대전 후에는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해나가는 동시에, 당대를 풍미한 문예지 『보테게 오스쿠레』 『파라고네』, 그리고 펠트리넬리 출판사의 편집장으로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한다.

바사니 문학의 원천은 ‘페라라’와 ‘유대인’이다. 작품 대부분이 무솔리니의 파시스트당 집권기를 전후한 페라라가 무대다. 혹독한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부르주아 의식의 혼란상을 파헤치는 예리한 묘사, 영화적?회화적 장면 구성, 증언담에 가까운 독특한 반직접화법, 역사와 집단으로부터 모욕당한 개인의 의식을 포착해낸 서정적인 문체로써 페라라의 역사와 일상을 정치하게 그려내어, 페라라 유대인 공동체의 증인이자 ‘기억의 작가’로 불리며 20세기 이탈리아 문학의 대표 작가가 된다.

바사니 문학의 결정판은 일명 ‘페라라 소설 연작’으로 불리는 작품들의 모음집인 『페라라 소설』(1980)이다. 이전에 따로 출판했던 여섯 권의 책-『성벽 안에서』(1956, 스트레가 상), 『금테 안경』(1958), 『핀치콘티니가의 정원』(1962, 비아레조 상), 『문 뒤에서』(1964), 『왜가리』(1968, 캄피엘로 상), 『건초 냄새』(1972)-을 한데 모아 펴낸 것으로, 무대는 같으나 스포트라이트가 여러 인물에게 돌아가며 비춰지는 각각의 이야기들은 파시즘 치하의 페라라가 지닌 역사적 면면을 거울놀이하듯 눈부시게 비춘다. 이 가운데 단편 「1943년 어느 날 밤」과 『금테 안경』 『핀치콘티니가의 정원』은 모두 영화로도 만들어진다. 소설 외에도 다수의 시집을 출간한 바사니는 1982년 『운율 있는 시와 없는 시』로 바구타 상을 수상한다. 2000년 4월 로마에서 생을 마치고 페라라의 유대인 묘지에 안장된다.

조르조 바사니의 다른 상품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교에서 움베르토 에코의 지도하에 화두(話頭)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신곡-저승에서 이승을 바라보다』, 『움베르토 에코』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단테의 『신곡』, 『향연』, 아리오스토의 『광란의 오를란도』, 에코의 『나는 독자를 위해 글을 쓴다』, 『거짓말의 전략』, 『이야기 속의 독자』, 『논문 잘 쓰는 방법』, 칼비노의 『우주 만화』, 『마르코발도』, 파베세의 『달과 불』, 『피곤한 노동』, 『레우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교에서 움베르토 에코의 지도하에 화두(話頭)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신곡-저승에서 이승을 바라보다』, 『움베르토 에코』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단테의 『신곡』, 『향연』, 아리오스토의 『광란의 오를란도』, 에코의 『나는 독자를 위해 글을 쓴다』, 『거짓말의 전략』, 『이야기 속의 독자』, 『논문 잘 쓰는 방법』, 칼비노의 『우주 만화』, 『마르코발도』, 파베세의 『달과 불』, 『피곤한 노동』, 『레우코와의 대화』, 과레스키의 『신부님 우리 신부님』, 비토리니의 『시칠리아에서의 대화』, 마그리스의 『작은 우주들』 등이 있다.

김운찬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8년 04월 25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184쪽 | 292g | 120*188*20mm
ISBN13
9788954641135

책 속으로

나는 인생에서 여러 번 불행했다, 아이였을 때, 소년이었을 때, 젊은이였을 때, 어른이 되어서도. 돌아보면 여러 번 이른바 절망의 바닥에 다다랐다... 세월은 결국 아무 소용이 없었다.--- p.7

이번은, 적어도 지금 이번만은, 우리가... 우애 좋은 두 친구처럼 발걸음을 맞춰가며 걸을, 우리에게 주어진 기회였다.--- p.41

우리가 내뱉는 단어들의 소리는 마치 오징어가 위험을 피하려고 저 주위를 혼탁하게 만들 때 내뿜는 먹물과 같았다.--- p.92

마침내 난 혼자가 될 것이다. 루차노의 가면을 벗긴 다음에. 그와 절교하고 다른 모두와도 절교한 다음에. 영영 혼자일 것이다.--- p.111

나는 몇 달 동안 그애한테 붙어살았고, 그애 때문에 일종의 소라게로 변해버렸어. 결국 그렇게 됐지! ...그런데 걔는 언제나 나를 그저 찬양하는 기계로, 손잡이만 돌리면 욕실 샤워기처럼 마음대로 작동되는 기계로 취급했어.--- p.129

지난가을의 온전한 고독으로 돌아가기 위해 이제 마지막 한걸음을 옮길 일만 남았다.--- p.139

아, 떠났으면! 달아났으면! 더이상 아무도 보지 않고, 제발 누구의 눈에도 띄지 않았으면!--- p.149

어떤 질문에도 대답할 준비가 돼 있어... 자, 말해봐... 첫 질문을 던져봐.--- p.153

불안하고, 불현듯 주변으로 밀려나 있고, 무언가 소외된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바로 그 느낌 때문에, 질투에 사로잡히고, 비열해지고, 비천해졌다...--- p.158

나는 완강하게, 깨어나지 않은 채, 단절과 적대감이라는 타고난 운명에 사로잡힌 채 문 뒤에 또다시 숨어 있었으니, 활짝 열려고 생각했대도 헛일이었다. 나는 그렇게 할 수 없을 것이다, 아무것도. 지금도 못하고, 앞으로도 못할 것이다.

--- p.159

출판사 리뷰

“나는 인생에서 여러 번 불행했다”로 시작하는,
바사니의 ‘페라라 소설 연작’ 중 가장 젊고 어두운 날의 소설


제발트, 모라비아, 칼비노 등 문학의 대가들이 극찬한 작가이자 안토니오니, 데시카, 파솔리니 등 영화 거장들이 사랑한 현대소설계의 대부 조르조 바사니(1916~2000)는 20세기 이탈리아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하나다. 볼로냐에서 태어나 유년기와 청년기를 페라라에서 보낸 유대인 작가인 그는, 이차대전 파시즘 체제하의 인종법과 유대인 박해라는 역사적 체험과 기억을 문학적으로 가장 잘 구현해낸 인물로, 페라라 유대인 공동체 전체의 증인이자 기록자로 평가받는다. 그래서인지 바사니 앞에는 곧잘 ‘기억의 작가’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또한 직접 체험한 ‘기억’에서 지인들의 목소리를 불러들여 쓰기에, 그의 작품은 서술자와 행위자의 목소리가 혼재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인데, 이로써 매우 독특한 리얼리티를 내뿜는다.

바사니의 ‘페라라 소설 연작’ 중 작가의 가장 젊은 학창시기가 녹아든 이 소설 『문 뒤에서Dietro la porta』(1964)는 이런 전반적인 자전적 서술기법과 특징들이 담긴 성장소설이다. 화자는 첫 문장을 “나는 인생에서 여러 번 불행했다”고 시작하면서, 그중에서도 자신에게 “유독 암울하던 시기”였던 고등학교 일학년 무렵을 회상한다. 이 기억 속에서 세월도 치유해줄 수 없었던, 문 뒤에서 엿듣게 된 진실의 민낯은, 유대인 소년에게 처음으로 내리꽂힌 생의 비수다. 서늘한 대기에 회오리치는 페라라 소년들의 질풍노도하는 이 풍경화는, 조국 이탈리아에 유린당한 페라라 유대인 공동체의 다가올 운명을 예고하는 전경과 같다. 작가는 이 자전소설을 『핀치콘티니가의 정원』을 비롯해 여러 대표작을 발표하고 비교적 늦은 나이인 마흔여덟에 발표했다. 제목에서 보다시피, 간결한 서사와 강렬한 서정이 압축적으로 녹아든 이 작품은, ‘문 뒤에서’ 눈뜬 생의 이면에 대한 통렬한 자각의 산물이다. 바사니는 자신의 소년기에서마저 어슴푸레 감지되던 소외된 인간의 근원에 자리한 어두운 폭력성을 목격했고 그 고독한 상처를 글말로 옮겼다.

눈앞의 진실과 마주할 것인가, 문 뒤에서 물러날 것인가
: 망설이고 엿듣는 자의 고통스러운 자기발견과 진실의 이중성


1929년에서 1930년 사이, 아직은 파시즘 광풍이 휘몰아치기 전인 페라라, 이제 막 신학기가 시작한 여느 곳과 다름없는 교실, 주인공은 교장도 선생도 학급 친구들도 모두 마음에 안 든다. 아무하고도 말을 섞고 싶지 않아 스스로 고립을 택하고 맨 끝줄 구석 자리에 앉는다. 그런 주인공에게 두 친구가 생긴다. 모두가 기피하는 전학생으로 나만 바라보는 풀가와, 모든 면에서 완벽한 다가가고 싶은 카톨리카. 가난뱅이에 외지인에 내 뒤를 졸졸 따라다니는 풀가는 외면할 수 없는 상처투성이 친구로서 내게 성적 욕구와 폭력성을 일깨우며 전에 없던 인생의 이면을 비춘다. 독실한 가톨릭교도이자 절대 이길 수 없는 반의 우등생 카톨리카는 좀체 곁을 내주지 않는다.

그러던 어느 날 카톨리카가 먼저 다가와 귀가 솔깃한 제안을 건네며 그의 집으로 초대하는데… 주인공은 카톨리카가 밝혀내려는 자신에 대한 풀가의 위선과 가면을 마주하고 과연 새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을까. 이와 동시에 자신 안의 진실과도 마주할 수 있을까. 귀찮게 따라붙던 과거의 관계 사슬을 끊고 이번에는 어떤 삶의 국면을 택할까. 세월이 지나도 선명한 상처로, “남몰래 피흘리던, 온전히 비밀한 상처로 남은” 바로 ‘그날’의 고통스러운 사건이 일어난 그 문 뒤로, 작가는 한 발 한 발 그 격랑 이는 감정의 정경 속으로 독자들을 데리고 들어간다.

마지막에 내뱉는 내적 독백은 이 작품의 백미이자 하나의 선언처럼 읽힌다. “나는 완강하게, 깨어나지 않은 채, 단절과 적대감이라는 타고난 운명에 사로잡힌 채 문 뒤에 또다시 숨어 있었으니, 활짝 열려고 생각했대도 헛일이었다. 나는 그렇게 할 수 없을 것이다, 아무것도. 지금도 못하고, 앞으로도 못할 것이다...” 이렇게 말하는 ‘나’는 세상과 그 어떤 타협도 원하지 않는 반항하는 인간의 첫 초상이다. 소년에서 성인으로 나아가는 문턱에서, 이 야누스적 세상의 얼굴과 처음으로 마주한 ‘나’의 고통스러운 자기발견은 곧 깨어남의 표지다. 그 인식은 폭력을 수반하는 진실과의 섣부른 대면을 유보하고, 고독 속에서 적대와 저항으로 다음의 행동을 사색하는 햄릿의 망설임을 연상시킨다. 작가의 유년기 자화상이 어른거리는 이 빛나는 성장소설은 독자로 하여금 인생의 첫 단절에서 오는 상처를 저마다 꺼내보게 한다.

추천평

기쁨과 고통의 순환, 그리고 모호성의 존재를 발견하게 해주는, 삶의 종말에 대한 비극적이고 의미심장한 소설. - 안젤로 조에 (주한 이탈리아문화원 원장)
셰익스피어풍의 복잡다단한 심상과 시로 작품을 빚어내는 작가. 이 세기의 위대한 목격자이자 예술가 바사니는 자신의 세계로 당신을 데려가 참여자가 되어 있게 한다. - 『가디언』

리뷰/한줄평4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8.7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9,900
1 9,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