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마 터치, 크레마원 기본뷰어 이용불가
하느님의 손에 대한 이야기
미지의 사람 하느님은 왜 가난한 사람이 존재하기를 바라는가 러시아에 어떻게 배신이 찾아왔는가 티모페이 노인은 어떻게 하여 노래하며 세상을 떠났나 정의의 노래 베네치아의 유대인 거리에 있었던 정경(情景) 돌에 귀 기울이는 사람 골무가 하느님이 된 이야기 죽음에 대한 이야기와, 필자 불명의 추기(追記) 절실한 필요에서 생긴 협회 거지와 자존심이 센 소녀 어둠에게 들려준 이야기 작품 해설 - 근대 언어예술의 거장 R. M. 릴케 연보 |
Rainer Maria Rilke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다른 상품
송영택의 다른 상품
근대 언어예술의 거장 릴케가
순수하고 아름다운 시선으로 그려낸 언제 어디서나 우리 곁에 존재하는 하느님 이야기 섬세한 심리 묘사와 예리한 관찰력으로 20세기 독일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가 된 라이너 마리아 릴케가 언제 어디서나 우리 곁에 존재하는 하느님에 대한 이야기를 아름답고 언어로 풀어낸 《사랑하는 하느님 이야기》가 문예출판사 세계문학선 126번으로 출간됐다. 이 작품집에 실린 작품들은 릴케가 러시아 여행에서 얻은 수확이다. 그 영향으로 러시아 역사와 문화에 대한 체험의 흔적이 곳곳에 담겨 있다. 각각의 단편은 아이들에게 전하는 동화 형식을 취하고 있어 하느님의 사랑에 대해 선입견 없이 순수하고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일 것을 바라고 있다. 릴케가 이 단편집에 실은 열세 편의 단편들은 그 하나하나가 하느님이라는 하나의 실로 연결되어 있으며, 작품 곳곳에 하느님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하느님은 기독교 세계관에서 이야기되는 ‘신’에 대한 이해를 벗어난다. 릴케는 인간의 참된 모습이 신에 의해 규정되었다기보다, 시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통해 인간의 모습이 언제나 변화하고 새롭게 생성된다고 바라보고 있으며, 가난하지만 소박하게 사는 사람들에게서 인간의 참모습이 발견된다고 말한다. 이러한 릴케의 생각은 하느님은 어디까지나 이 지상의 사물들에 내재하므로 이윽고 그 사물들 속에서 날이 새듯이 피어오른다고 생각하는 범신론 사상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 단편집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고독하고 가난하지만 소박한 삶을 사는 인물들이다. 릴케는 가난한 삶을 단순히 물질적인 궁핍으로 묘사하지 않고, 거짓과 욕심을 벗어나 신에게 다가가기 위한 삶의 참다운 모습으로 바라본다. 삶을 바라보는 릴케의 예술가적 시선은 우리에게 삶에 대한 소중함과 함께 언제나 내적 성숙을 위해 살 것을 요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