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론
Ⅰ 한의학 들어가기 1. 자연과 인간 2. 陰陽(음양)과 五行(오행) 3. 한의학의 역사 Ⅱ 한의학 기초학 1. 한의학의 특징 2. 五臟六腑, 精神氣血 3. 병인 4. 진단학 5. 치법 6. 경락 생리 7. 경혈학 8. 침구학 9. 본초학 10. 방제학 11. 추나요법 12. 한방 간호학 13. 미생물학과 면역학 14. 해부학과 조직학 15. 양방생리학과 양방병리학 Ⅲ 한의학 임상학 1. 내과학 2. 소아과학 3. 부인과학 4. 침구의학과학 5. 재활의학과학 6. 신경 정신 의학 7. 사상체질의학 8. 안이비인후피부외과학 9.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10. 법의학과 임상병리학 11. 한의사, 한의학교육, 한약재유통, 한의계의 현주소 참고문헌 |
이종한의 다른 상품
책 내용은 한의학의 기본 이론, 한의학 기초학, 한의학 임상학의 순서로 엮었다. 한의학 기본 이론은 내용 중 기본 이론에 지루하지 않도록 간소하게 만들어서, 한의학 공부를 위해 꼭 알아야 할 정도만 언급하였다. 한의학 기초학은 한의과대학 저학년 과정에서 배우는 과목을 위주로 정리하였고, 한의학 임상학은 한의과대학 고학년에서 배우는 과목을 주로 소개하였다. 한의학적 이론보다는 실재적인 한의학의 모습을 다루었다.
이 책의 많은 내용은 내가 직접 쓴 것은 아니며, 다른 책을 참고해서 정리한 것이다. 앞부분의 기초학에 관한 것은 여러 한의학 서적을 참고했다. 경락 생리과경혈학 및 침구학은 『침구학』 상중하를, 본초학은 『본초학』을, 방제학은 『방제학』을, 추나요법은 『한국추나학』을, 한방 간호학은 『한방간호학』과 『한방간호학 총론』을, 미생물학과 면역학은 『최신미생물학』과 『면역학』을, 해부학과 조직학은 『Clinically Oriented Anatomy』과 『인체조직학』을, 양방생리학과 양방병리학은 『의학생리학』과 『Pathologic basis of disease』를, 내과학은 각 내과학 교과서를, 소아과학은 『동의소아과학』을, 부인과학은 『한방여성의학』을, 재활의학과학은 『동의재활의학과학』을, 신경정신의학은 『한의신경정신과학』과 『한방신경정신의학』을, 사상체질의학은 『사상의학원론』을, 안이비인후피부외과학은 『안이비인후과학』과 『한의피부외과학』을,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은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과 『예방의학과 공중보건』을, 법의학과 임상병리학은 『법의학』과 『임상병리학』을, 그리고 나머지 부분에서 『한의학원론』과 『동의진단학』을 비롯하여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 자료와 한의사들의 원고를 참고하였다. 그 자세한 출처는 책 뒷부분 참고 문헌에 적어 놓았다. --- P. 5 |
서양 문화가 우리 주변에 많이 퍼져 있지만, 아직 우리 언어와 우리 의학이 남아 있습니다. 특히 의학은 건강과 목숨에 직결되는 문제라서 실용적 가치가 없다면 먼저 도태되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한의학은 우리 민족의 문화를 담고 있기도 하지만, 의학적 가치도 훌륭합니다. 그래서 한의학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한문이라는 문턱이나 한의학의 이론적 배경의 복잡함에 걸려서 돌아서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누구나 쉽게 한의학을 알 수 있도록 소개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한의학 내용을 두루 실어야 하겠다는 결심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하여 이 책은 한의학 이론 소개는 최소로 줄이고,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한의원, 한의과대학, 한의사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어 한의학을 전반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