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근대 사상의 수용과 변용 1
양장
베스트
한국철학 top100 2주
가격
30,000
30,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2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뷰타입 변경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

책소개

목차

머리말

건덕(建德)에서 덕 윤리로 -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을 위한 조건과 과제 | 문시영
Ⅰ. 들어가는 말
Ⅱ. 덕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 그 조건과 과제
1. 덕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의 자리
2. 덕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의 조건과 과제
Ⅲ. 나오는 말

Ethics의 근대 번역어 ‘윤리학·윤리’를 만나는 자리-강상에서 윤리로 | 오지석
Ⅰ. 들어가는 말 : 아는 것 같은데, 애매한 이야기
Ⅱ. 번역어 액제가(厄第加)와 윤리학(倫理學)
1. 번역어 액제가(厄第加)·수제치평지학(修齊治平之學)
2. 서양어 ethics의 번역어·근대어로서의 윤리학
Ⅲ. 유교 가치의 계승인가? 이식된 서양 학문인가?
Ⅳ. 나오는 말 : 아직도 어렵다!

우정에서 천애지기(天涯知己)로-홍대용과 마테오리치의 우정론 | 심의용
Ⅰ. 들어가는 말
Ⅱ.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에 나타난 우정론과 그 영향
Ⅲ. 조선 후기 우정론 대두의 배경과 의미
Ⅳ. 홍대용의 우정에 드러난 정치적 맥락
Ⅴ. 역외춘추(域外春秋)와 근대적 지향으로서 천애지기(天涯知己)의 의미
Ⅵ. 나오는 말

천하(天下)에서 국가(nation-state)로-량치차오와 박은식의 보편원리의 행방 | 이혜경
Ⅰ. 문제제기 : 천하의 동요와 최고선의 상실
Ⅱ. ‘문명’을 받아들이는 일의 무거움
Ⅲ. 천하를 벗어나 만국공법의 세계로
Ⅳ. 박은식의 여정 : 중화를 대신할 것을 찾아서
Ⅴ. 량치차오의 여정 : 중화의 부활 혹은 건재
Ⅵ. 맺는 말 : 중화의 중심과 주변의 차이

사대부(士大夫)에서 지식인(intelligentsia)으로-유교와 신분제도의 관계를 바라보는 다양한 입장을 중심으로 | 이주강
Ⅰ. 들어가는 말
Ⅱ. 후쿠자와 유키치의 경우
1. 서론
2. 신분제도 및 유교에 대한 후쿠자와의 입장
3. 후쿠자와 유교 비판의 문제점
Ⅲ. 전통적 사대부 박규수의 경우
1. 서론
2. 신분제도 및 유교에 대한 박규수의 입장
3. 박규수와 후쿠자와 사상의 차이점
4. 박규수, 그 이후
Ⅳ. 근대적 지식인 유길준의 경우
1. 서론
2. 신분제도 및 유교에 대한 유길준의 입장
Ⅴ. 나가는 말

예교(禮敎)에서 종교(宗敎)로-대한제국기 종교정책과 배경 담론들을 중심으로 | 이종우
Ⅰ. 머리말
Ⅱ. 구본(舊本) 중심의 종교정책
1. 유교의 국교화
2. 중화에서의 탈피
Ⅲ. 신참(新參) 중심의 종교정책
1. 정교의 분리
2. 신앙의 자유
Ⅳ. 맺음말

경전(經傳)에서 텍스트로-20세기 초 『詩經』에 대한 근대 시인들의 인식 변화
Ⅰ. 근대시인들의 『시경』 인식 고찰의 의미
Ⅱ. 경전에서 권위로 : 최남선의 경우
Ⅲ. 권위에서 번역되어야 할 타자로 : 이광수, 김억, 김동환의 경우
Ⅳ. 번역해야 할 타자에서 반면교사로 : 김소월의 경우
Ⅴ. 경전에서 텍스트로

해석(解釋)인가, 전유(專有)인가?-20세기 한국의 『노자』 이해와 ‘동양철학’(東洋哲學)
Ⅰ. 도가(道家), 노가(老家), 도교(道敎)
Ⅱ. 노장(老莊), 해석과 전유
Ⅲ. 20세기의 ??노자?? 전유, ‘철학’과 ‘종교’
Ⅳ. ‘이단’에서 ‘전통’으로 : 문명화와 자기정체성의 사이에서

참고문헌
논문출처
찾아보기

저자 소개8

숭실대 철학과와 동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마치고 장로회 신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를 전공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카고대학, 에모리대학에서 연구했고 국가생명윤리위원회 전문위원,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장, 한국기독교학회 연구윤리위원장을 역임했다. 교회됨을 위한 윤리를 추구하는 새새대 교회윤리연구소장이고 한국기독교윤리학회장이며 남서울대 교수(교목실장)이다. 《죽음의 두려움을 이기는 세븐 게이트》(북코리아, 2019), 《아우구스티누스와 덕 윤리》(북코리아, 2014)를 비롯한 다수의 저서와 논문 및 역서가 있다.

문시영의 다른 상품

숭실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조교수(HK교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서양 기독교윤리의 주체적 수용과 변용: 갈등과 비판을 넘어서』, 『가치가 이끄는 삶』(공저), 『인간을 이해하는 아홉 가지 단어』(공저),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를 통해 본 근대의 수용과 변용』(공저), 『개화기 조선 선교사의 삶』(해제) 등이 있다.

오지석의 다른 상품

숭실대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정이천의 『주역』 해석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고전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지금, 여기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고전번역연수원 연수과정을 수료했고, 충북대 인문연구원을 지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비변사등록』 번역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성신여대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숭실대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시적 상상력으로 주역을 읽다』 『마흔의 단어들』 『주역, 마음속에 마르지 않는 우물을 파라』 『주역과 운명』 『귀곡자 교양강의』 『세상과 소통하는 힘』 등이 있고, 공저로 『못말리는 아인슈타인에게
숭실대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정이천의 『주역』 해석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고전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지금, 여기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고전번역연수원 연수과정을 수료했고, 충북대 인문연구원을 지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비변사등록』 번역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성신여대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숭실대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시적 상상력으로 주역을 읽다』 『마흔의 단어들』 『주역, 마음속에 마르지 않는 우물을 파라』 『주역과 운명』 『귀곡자 교양강의』 『세상과 소통하는 힘』 등이 있고, 공저로 『못말리는 아인슈타인에게 말 걸기』 『문화, 세상을 콜라주하다』 등이 있다. 정이천의 『주역』, 성이심의 『인역人易』, 『성리대전』(공역), 『주역절중』(공역), 피터 K. 볼의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카린 라이의 『케임브리지 중국철학 입문』, 푸페이룽의 『장자 교양강의』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심의용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한 뒤, 일본 교토(京都)대학에서 철학박사로 있었으며 중국근대사상사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근대화 과정에서 일어난 윤리관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천하관과 근대화론 : 양계초를 중심으로』, 『량치차오 : 문명과 유학에 얽힌 애증의 서사』, 『맹자, 진정한 보수주의자의 길』, 『덕의 귀환 : 동서양 덕의 역사 동양편』(공저), 『황종희가 꿈꾸는 도덕정치 : 연대와 성장의 민주주의』, 『역사 속에 살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한 뒤, 일본 교토(京都)대학에서 철학박사로 있었으며 중국근대사상사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근대화 과정에서 일어난 윤리관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천하관과 근대화론 : 양계초를 중심으로』, 『량치차오 : 문명과 유학에 얽힌 애증의 서사』, 『맹자, 진정한 보수주의자의 길』, 『덕의 귀환 : 동서양 덕의 역사 동양편』(공저), 『황종희가 꿈꾸는 도덕정치 : 연대와 성장의 민주주의』, 『역사 속에 살아 있는 중국 사상』, 『송명유학사상사』(공역), 『맹자사설』, 『신민설』 등이 있다. 동아시아근대화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혜경의 다른 상품

1977년 부산 해운대 출생.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SK텔레콤 및 한국산업은행에 근무했다.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석사 및 박사((퇴계 연구)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국민대, 성균관대 등 다수 대학에 출강했다. 동서비교철학에 힘쓰고 있다.

이주강의 다른 상품

사학을 공부하던 중 불교 조각의 의미와 변화, 기독교 경전(성경)을 읽었을 때의 감동과 의문을 받은 것을 계기로 종교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조선전기 종교정책 연구-불교정책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신대학교 학술원 연구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으로 지냈다. 현재 상지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이다. 팟 캐스트 [이이제이]의 이박사, 팟 캐스트 [쇼! 개불릭], 원음방송의 [소수의견] 등의 진행자로 활동했다. 종교사에 관한 각종 연구논문과 『쇼! 개불릭』 등의 공동저서를 집필했다.

Chong, Ki-In,鄭基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교수. 동경외국어대학 특임준교수 역임. 한국 근대시, K-pop 가사 및 뮤직비디오, 해외한국학, 번역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책으로 『한국 근대시 형성과 한문맥의 재구성』은 2018 지훈신진학술상을 받아서 출간되었다. 그 외 책으로 『韓?文?を旅する60章』(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Fields of Revision: Adaptations of Wren’s Elegy by Mo Yun-suk and Kim Ki-young”(공저), 「경전에서 텍스트로-20세기 초 『詩經』에 대한 근대 시인들의 인식 변화」,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교수. 동경외국어대학 특임준교수 역임. 한국 근대시, K-pop 가사 및 뮤직비디오, 해외한국학, 번역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책으로 『한국 근대시 형성과 한문맥의 재구성』은 2018 지훈신진학술상을 받아서 출간되었다. 그 외 책으로 『韓?文?を旅する60章』(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Fields of Revision: Adaptations of Wren’s Elegy by Mo Yun-suk and Kim Ki-young”(공저), 「경전에서 텍스트로-20세기 초 『詩經』에 대한 근대 시인들의 인식 변화」,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친밀한 제국-한국과 일본의 협력과 식민지 근대성』(공역) 등이 있다.」(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친밀한 제국-한국과 일본의 협력과 식민지 근대성』(공역) 등이 있다.있다.

정기인의 다른 상품

동양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상지대학교 교양대학에서 공부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14년부터 인문학 전문 팟캐스트 〈학자들의 수다〉를 제작, 진행해 왔고, 2020년부터는 유튜브에서 새로운 인문학을 소개하는 방송 〈휴프렌즈〉와, 인간과 동물이 함께 사는 지혜를 모색하는 방송 〈휴애니프렌즈〉에 출연하고 있다. 그동안 쓰고 옮긴 책으로, 『철학에서 이야기로』, 『이기주의를 위한 변명』, 『노자의 칼 장자의 방패』, 『논어, 학자들의 수다 : 사람을 읽다』, 『무하유지향에서 들려오는 메아리, 장자』, 『죽은 철학자의 살아 있는 위로』(공저), 『마이클 샌델, 중국
동양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상지대학교 교양대학에서 공부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14년부터 인문학 전문 팟캐스트 〈학자들의 수다〉를 제작, 진행해 왔고, 2020년부터는 유튜브에서 새로운 인문학을 소개하는 방송 〈휴프렌즈〉와, 인간과 동물이 함께 사는 지혜를 모색하는 방송 〈휴애니프렌즈〉에 출연하고 있다. 그동안 쓰고 옮긴 책으로, 『철학에서 이야기로』, 『이기주의를 위한 변명』, 『노자의 칼 장자의 방패』, 『논어, 학자들의 수다 : 사람을 읽다』, 『무하유지향에서 들려오는 메아리, 장자』, 『죽은 철학자의 살아 있는 위로』(공저), 『마이클 샌델, 중국을 만나다』(공역), 『펑유란 자서전』(공역) 등이 있다.

김시천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1월 31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336쪽 | 618g | 160*231*30mm
ISBN13
9791160683165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선택한 상품
30,000
1 3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