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머리말
건덕(建德)에서 덕 윤리로 -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을 위한 조건과 과제 | 문시영 Ⅰ. 들어가는 말 Ⅱ. 덕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 그 조건과 과제 1. 덕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의 자리 2. 덕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의 조건과 과제 Ⅲ. 나오는 말 Ethics의 근대 번역어 ‘윤리학·윤리’를 만나는 자리-강상에서 윤리로 | 오지석 Ⅰ. 들어가는 말 : 아는 것 같은데, 애매한 이야기 Ⅱ. 번역어 액제가(厄第加)와 윤리학(倫理學) 1. 번역어 액제가(厄第加)·수제치평지학(修齊治平之學) 2. 서양어 ethics의 번역어·근대어로서의 윤리학 Ⅲ. 유교 가치의 계승인가? 이식된 서양 학문인가? Ⅳ. 나오는 말 : 아직도 어렵다! 우정에서 천애지기(天涯知己)로-홍대용과 마테오리치의 우정론 | 심의용 Ⅰ. 들어가는 말 Ⅱ.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에 나타난 우정론과 그 영향 Ⅲ. 조선 후기 우정론 대두의 배경과 의미 Ⅳ. 홍대용의 우정에 드러난 정치적 맥락 Ⅴ. 역외춘추(域外春秋)와 근대적 지향으로서 천애지기(天涯知己)의 의미 Ⅵ. 나오는 말 천하(天下)에서 국가(nation-state)로-량치차오와 박은식의 보편원리의 행방 | 이혜경 Ⅰ. 문제제기 : 천하의 동요와 최고선의 상실 Ⅱ. ‘문명’을 받아들이는 일의 무거움 Ⅲ. 천하를 벗어나 만국공법의 세계로 Ⅳ. 박은식의 여정 : 중화를 대신할 것을 찾아서 Ⅴ. 량치차오의 여정 : 중화의 부활 혹은 건재 Ⅵ. 맺는 말 : 중화의 중심과 주변의 차이 사대부(士大夫)에서 지식인(intelligentsia)으로-유교와 신분제도의 관계를 바라보는 다양한 입장을 중심으로 | 이주강 Ⅰ. 들어가는 말 Ⅱ. 후쿠자와 유키치의 경우 1. 서론 2. 신분제도 및 유교에 대한 후쿠자와의 입장 3. 후쿠자와 유교 비판의 문제점 Ⅲ. 전통적 사대부 박규수의 경우 1. 서론 2. 신분제도 및 유교에 대한 박규수의 입장 3. 박규수와 후쿠자와 사상의 차이점 4. 박규수, 그 이후 Ⅳ. 근대적 지식인 유길준의 경우 1. 서론 2. 신분제도 및 유교에 대한 유길준의 입장 Ⅴ. 나가는 말 예교(禮敎)에서 종교(宗敎)로-대한제국기 종교정책과 배경 담론들을 중심으로 | 이종우 Ⅰ. 머리말 Ⅱ. 구본(舊本) 중심의 종교정책 1. 유교의 국교화 2. 중화에서의 탈피 Ⅲ. 신참(新參) 중심의 종교정책 1. 정교의 분리 2. 신앙의 자유 Ⅳ. 맺음말 경전(經傳)에서 텍스트로-20세기 초 『詩經』에 대한 근대 시인들의 인식 변화 Ⅰ. 근대시인들의 『시경』 인식 고찰의 의미 Ⅱ. 경전에서 권위로 : 최남선의 경우 Ⅲ. 권위에서 번역되어야 할 타자로 : 이광수, 김억, 김동환의 경우 Ⅳ. 번역해야 할 타자에서 반면교사로 : 김소월의 경우 Ⅴ. 경전에서 텍스트로 해석(解釋)인가, 전유(專有)인가?-20세기 한국의 『노자』 이해와 ‘동양철학’(東洋哲學) Ⅰ. 도가(道家), 노가(老家), 도교(道敎) Ⅱ. 노장(老莊), 해석과 전유 Ⅲ. 20세기의 ??노자?? 전유, ‘철학’과 ‘종교’ Ⅳ. ‘이단’에서 ‘전통’으로 : 문명화와 자기정체성의 사이에서 참고문헌 논문출처 찾아보기 |
문시영의 다른 상품
오지석의 다른 상품
심의용의 다른 상품
이혜경의 다른 상품
이주강의 다른 상품
Chong, Ki-In,鄭基仁
정기인의 다른 상품
김시천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