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2021 Consumer Trend Insights
Ten Keywords regarding What Consumers Want in 2021, the year of the ox 트렌드코리아 2021 영문판, 양장
가격
18,000
10 16,200
YES포인트?
9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 이 책은 『트렌드 코리아 2020』의 영문판입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관련 상품

트렌드 코리아 2021
[도서] 트렌드 코리아 2021
김난도,전미영 등저 미래의창
10% 16,200
트렌드 코리아 2021

책소개

목차

004 Authors
008 Preface
Ten Keywords
013 Coming of ‘V-nomics’
047 Omni-layered Homes
069 We Are the Money-friendly Generation
095 Best We Pivot
123 On This Roller Coaster Ride
147 Your Daily Sporty Life
171 Heading to the Resale Market
201 Everyone Matters in the ‘CX Universe’
225 ‘Real Me’: Searching for My Own Label
251 ‘Ontact’, ‘Untact’, with a Human Touch
276 Notes

저자 소개10

Rando Kim

교수, 트렌드 연구자, 컨설턴트, 작가, 유튜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유튜브 채널 ‘트렌드코리아TV’에 참여하고, 온라인 공개 강좌 K-MOOC에서 〈소비자와 시장〉이라는 강좌를 운영한다. 최근 오픈AI의 인공지능 서비스 GPTs에 ‘김난도 GPT’를 개설했다. ‘김난도 GPT’는 저자가 그동안 집필한 30여 권의 도서와 다수의 학술논문을 학습해, 트렌드·경제경영·자기계발·인생관 등의 질문에 특화된 답변을 제시하는 서비스다.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를 2008년부터, 그 영문판인 〈Consumer Trend Insights〉 시리즈를 20
교수, 트렌드 연구자, 컨설턴트, 작가, 유튜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유튜브 채널 ‘트렌드코리아TV’에 참여하고, 온라인 공개 강좌 K-MOOC에서 〈소비자와 시장〉이라는 강좌를 운영한다. 최근 오픈AI의 인공지능 서비스 GPTs에 ‘김난도 GPT’를 개설했다. ‘김난도 GPT’는 저자가 그동안 집필한 30여 권의 도서와 다수의 학술논문을 학습해, 트렌드·경제경영·자기계발·인생관 등의 질문에 특화된 답변을 제시하는 서비스다.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를 2008년부터, 그 영문판인 〈Consumer Trend Insights〉 시리즈를 2020년부터 매년 출간하고 있으며, 최근 『청소년을 위한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 수업 1』을 출간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 『더현대 서울 인사이트』, 『마켓컬리 인사이트』, 『트렌드 로드: 뉴욕 임파서블』, 『트렌드 차이나』, 『럭셔리 코리아』, 『디자인의 시대, 트렌드의 시대』(공저), 『2011 대한민국 소비지도: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공저), 『2013 Consumer Trends in Korea』 등의 책을 썼다.

Rando Kim is a professor in the Dept. of Consumer Science (DCS),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As a specialist in consumer behavior and market trend analysis, he has written more than 20 books including the Trend Korea series, Dining Business Trend series, Market Kurly Insight , The Hyundai Seoul Insight , Trend China, What Consumers Want, and Luxury Korea . He also wrote essay books, Amor Fati , Future and My Job , and Youth , It’s Painful which have sold three million copies in 17 countries. He has conducted research projects about consumer needs finding, new product planning, and market trend probing for Korea’s major companies like Samsung, LG, SK, CJ, Hyundai Motors, GS, LH, Amorepacific, Lotte, Fursys, Nongshim, and Coway.

김난도의 다른 상품

Miyoung Jeon,대담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다수의 기업과 트렌드 기반 신제품개발 및 미래전략 기획 업무를 수행하며, 서울대에서 소비자조사방법과 신상품개발론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리서치애널리스트와 서울대 소비자학과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소비자학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2009년부터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 공저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트렌드 차이나』,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 『나를 돌파하는 힘』 등을 공저했다. 롯데쇼핑 ESG위원회 위원장, 하나은행 경영자문위원, 교보문고 북멘토, 서울시·통계청·프로축구연맹 자문위원을 맡고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다수의 기업과 트렌드 기반 신제품개발 및 미래전략 기획 업무를 수행하며, 서울대에서 소비자조사방법과 신상품개발론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리서치애널리스트와 서울대 소비자학과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소비자학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2009년부터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 공저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트렌드 차이나』,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 『나를 돌파하는 힘』 등을 공저했다. 롯데쇼핑 ESG위원회 위원장, 하나은행 경영자문위원, 교보문고 북멘토, 서울시·통계청·프로축구연맹 자문위원을 맡고 있으며, 〈동아일보〉에 ‘트렌드 NOW’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Miyoung Jeon is a research fellow at the Consumer Trend Center (CTC) under Seoul National University. She holds BA, MA and PhD degrees in Consumer Science. Since 2009, she has co-authored numerous books including the annually published and top-ranked book series Trend Korea, as well as Trend China , Dining Business Trend series, and Breakthrough Power . Miyoung worked as a research analyst a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served as a research professor at SNU, and is currently a columnist for Dong-A Ilbo’s ‘Trend Now’ section. Additionally, she holds positions as the chair for Lotte Shopping’s ESG Committee and serves as an advisor for multiple organizations including LG U+, Hana Bank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urrently, she collaborates with various companies, focusing on new trend-based product development and strategic planning.

전미영의 다른 상품

Jihye Choi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석사·박사.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 세대별 라이프스타일 분석, 제품과 사용자 간의 관계 및 처분행동 등의 주제를 연구하며, 서울대에서 소비트렌드분석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워싱턴주립대학교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공동연구자 자격으로 연수했으며, 『더현대 서울 인사이트』,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를 공저했다. 삼성·LG·아모레·SK·코웨이·CJ 등 다수의 기업과 소비자 트렌드 발굴 및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현재 인천시 상징물 위원회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현대백화점 유튜브에서 브랜드 콘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석사·박사.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 세대별 라이프스타일 분석, 제품과 사용자 간의 관계 및 처분행동 등의 주제를 연구하며, 서울대에서 소비트렌드분석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워싱턴주립대학교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공동연구자 자격으로 연수했으며, 『더현대 서울 인사이트』,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를 공저했다. 삼성·LG·아모레·SK·코웨이·CJ 등 다수의 기업과 소비자 트렌드 발굴 및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현재 인천시 상징물 위원회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현대백화점 유튜브에서 브랜드 콘텐츠 ‘미팅룸’을 진행하고, KBS 1라디오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에 고정 출연하며, 《한국경제》에 ‘최지혜의 트렌드 인사이트‘, 《아시아경제》에 ‘최지혜의 트렌드와치’를 연재하고 있다.

Jihye Choi, PhD in Consumer Science from DCS, SNU, works as a research fellow at CTC. She has participated in many consulting projects with Korea’s leading companies such as Samsung and LG, and gives public lectures on consumer trends. She currently teaches consumer behavior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t SNU. She contributes many articles and columns to major Korean newspapers and media.

최지혜의 다른 상품

Hyang Eun Lee

LG전자 생활가전&공조H&A 사업본부 상무. 영국 센트럴 세인트 마틴Central Saint Martins 석사, 서울대 디자인학 박사. LG전자에서 고객경험CX혁신과 관련된 상품기획을 담당하며 혁신상품 출시, 신사업모델 발굴 및 오퍼레이션, CX에 기반한 경영전략수립, 제품/공간 서비스디자인 등 융합적 통찰력을 발휘하고 있다. 성신여대 서비스·디자인공학과 교수로서 학계와 업계를 오가며 다수의 기업 고객경험 및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Q1(상위 25%) SSCI 및 SCIE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들을 게재하는 등 연구활동도 왕성하다.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전문가로서 2021년
LG전자 생활가전&공조H&A 사업본부 상무. 영국 센트럴 세인트 마틴Central Saint Martins 석사, 서울대 디자인학 박사. LG전자에서 고객경험CX혁신과 관련된 상품기획을 담당하며 혁신상품 출시, 신사업모델 발굴 및 오퍼레이션, CX에 기반한 경영전략수립, 제품/공간 서비스디자인 등 융합적 통찰력을 발휘하고 있다. 성신여대 서비스·디자인공학과 교수로서 학계와 업계를 오가며 다수의 기업 고객경험 및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Q1(상위 25%) SSCI 및 SCIE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들을 게재하는 등 연구활동도 왕성하다.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전문가로서 2021년부터 《중앙일보》에 ‘이향은의 트렌드터치’를 연재하고 있다.

Hyang Eun Lee is an Executive Director at LG Electronics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H&A] Business Division. She holds a Master’s degree from Central Saint Martins in the UK and a Ph.D. in Design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t LG Electronics, she is responsible for product planning focused on customer experience [CX] innovation. Her work includes launching innovative products, discovering and managing new business models, establishing CX-based management strategies, and designing product and space services.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Service·Design Engineering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she has conducted numerous corporate customer experience projects, bridging academia and industry. She is also actively engaged in research, publishing papers in top 25% [Q1] SSCI and SCIE international journals. As an expert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she has been writing a column titled “Lee Hyang-eun’s Trend Touch” for the JoongAng Ilbo since 2021.

이향은의 다른 상품

June Young Lee

상명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현재 한국소비문화학회 회장과 상명대학교 소비자분석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리테일·커머스 소비자행동 및 고객경험 고도화 전략에 관심이 많다. LG전자 LSR연구소에서 글로벌트렌드분석, 신제품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한국소비자학회,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코로나가 시장을 바꾼다』, 『1코노미』, 『케미컬 라이프』, 『소비트렌드의 이해와 분석』 등이 있고, JTBC 〈차이나는 클라스〉, EBS 〈내일을 여는 인문학〉, KBS 1라디오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등에 출연했다.
상명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현재 한국소비문화학회 회장과 상명대학교 소비자분석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리테일·커머스 소비자행동 및 고객경험 고도화 전략에 관심이 많다. LG전자 LSR연구소에서 글로벌트렌드분석, 신제품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한국소비자학회,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코로나가 시장을 바꾼다』, 『1코노미』, 『케미컬 라이프』, 『소비트렌드의 이해와 분석』 등이 있고, JTBC 〈차이나는 클라스〉, EBS 〈내일을 여는 인문학〉, KBS 1라디오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등에 출연했다.

June Young Lee currently works as a professor at Sangmyung University. He received a doctorate degree in Consumer Science, SNU. He received ‘The Best Paper Award’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 He worked as a senior researcher at Life Soft Research lab at LG Electronics. He is a laboratory chief at the Consumer Research Center in Sangmyung University.

이준영의 다른 상품

Soojin Lee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사회변화에 따른 소비지출의 변화 및 소비심리를 주로 연구하며, 서울대에서 소비자심리, 소비문화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한국FP학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Vol.1』, 『더현대 서울 인사이트』를 공저했다. 한국벤처혁신학회 연구이사, KBS 2TV 〈해 볼만한 아침 M&W〉-‘이수진의 소비트렌드’의 고정 출연진, 매일경제TV 캐스터로 활동한 바 있다. 현재 현대·삼성 등 다수의 기업들과 소비트렌드 기반 미래 전략 발굴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트렌드 코리아〉 영문판 〈Consum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사회변화에 따른 소비지출의 변화 및 소비심리를 주로 연구하며, 서울대에서 소비자심리, 소비문화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한국FP학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Vol.1』, 『더현대 서울 인사이트』를 공저했다. 한국벤처혁신학회 연구이사, KBS 2TV 〈해 볼만한 아침 M&W〉-‘이수진의 소비트렌드’의 고정 출연진, 매일경제TV 캐스터로 활동한 바 있다. 현재 현대·삼성 등 다수의 기업들과 소비트렌드 기반 미래 전략 발굴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트렌드 코리아〉 영문판 〈Consumer Trend Insights〉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트렌드의 글로벌화 전략 방향에 관심이 많다.

이수진의 다른 상품

YouHyun Alex Suh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런던 Central Saint Martins에서 텍스타일 디자인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테크놀로지가 바꿔나가는 소비자행동에 관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YouHyun Alex Suh holds a Ph.D. in Consumer Scienc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 MS in Culture Technology from KAIST,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런던 Central Saint Martins에서 텍스타일 디자인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테크놀로지가 바꿔나가는 소비자행동에 관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YouHyun Alex Suh holds a Ph.D. in Consumer Scienc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 MS in Culture Technology from KAIST, and a BA(Hons) in Textile Design from Central Saint Martins , London, UK. With a multidisciplinary background in science, art, and the humanities, she brings a unique,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her work. Her expertise includ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consumer needs, with a strong focus on trend analysis, design management, consumer behavior, customer experience strategy, and new product planning. She previously worked as a Customer Experience (CX) Specialist at LG Electronics.

서유현의 다른 상품

Jung Yun Kwon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세대 간 소비성향 전이, 물질소비와 경험소비 등의 주제를 연구하며, 성균관대학교에서 소비자와 시장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를 공저했으며 《국방일보》·《섬유신문》에 트렌드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SBS 러브FM 〈목돈연구소〉의 ‘트렌드연구소’ 고정 패널,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및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민간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가전·유통·식품·금융 등 여러 산업군의 기업과 소비자 조사 및 소비트렌드 발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Jung Yoon Kwon currently works a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세대 간 소비성향 전이, 물질소비와 경험소비 등의 주제를 연구하며, 성균관대학교에서 소비자와 시장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를 공저했으며 《국방일보》·《섬유신문》에 트렌드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SBS 러브FM 〈목돈연구소〉의 ‘트렌드연구소’ 고정 패널,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및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민간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가전·유통·식품·금융 등 여러 산업군의 기업과 소비자 조사 및 소비트렌드 발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Jung Yoon Kwon currently works as a research fellow at CTC, SNU. She obtained her BA, MA, and PhD degrees in Consumer Science, SNU. She explored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onsumption styles in her PhD dissertation. She has participated in many consulting projects with leading Korean companies such as Samsung and CJ, and she also teaches an Introduction to Consumer Science course at Sung Kyun Wan University.

권정윤의 다른 상품

Dahye Han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심리학 학사, 서울대 소비자학 석사·박사. 소비자가 구매 시 느끼는 소비감정과 소비행태를 다양한 데이터와 실험설계를 통해 분석하며, 소비를 심리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데에 관심이 많다. 서울대학교 학문후속세대로 선발된 바 있고, 한국소비문화학회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를 공저했다. KBS1 〈사사건건〉, SBS 〈모닝와이드〉 등에 출연했으며, 현재는 KBS 1라디오 〈성공예감〉의 ‘트렌드팔로우’에 고정 출연하고 있다. 삼성·LG·SK·GS 등 다수의 기업과 소비트렌드 기반 신제품 개발 및 미래전략 발굴 업무를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심리학 학사, 서울대 소비자학 석사·박사. 소비자가 구매 시 느끼는 소비감정과 소비행태를 다양한 데이터와 실험설계를 통해 분석하며, 소비를 심리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데에 관심이 많다. 서울대학교 학문후속세대로 선발된 바 있고, 한국소비문화학회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를 공저했다. KBS1 〈사사건건〉, SBS 〈모닝와이드〉 등에 출연했으며, 현재는 KBS 1라디오 〈성공예감〉의 ‘트렌드팔로우’에 고정 출연하고 있다. 삼성·LG·SK·GS 등 다수의 기업과 소비트렌드 기반 신제품 개발 및 미래전략 발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Dahye Han currently works as a research fellow at CTC, SNU. She received a BA in Psychology, SNU and obtained MA and PhD degrees in Consumer Science, SNU. Her PhD dissertation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measurement of consumption emotions. As a researcher, she received a paper award from the Korean Consumption Culture Association in 2022. Also, she is conducting a number of consulting projects with major Korean companies, such as Samsung and LG.

한다혜의 다른 상품

Hyewon Lee

Hyewon Lee has worked at Dasan Books, and Kakao Page Corp. for over 15 years. She has an MA degree with her thesis: “Comparative Analysis of Age Effect, Period Effect and Cohort Effect - Focusing on Consumer Perception Toward CSR”. She is currently interested in quantifying consumer behavior, especially generational theory or
Hyewon Lee has worked at Dasan Books, and Kakao Page Corp. for over 15 years. She has an MA degree with her thesis: “Comparative Analysis of Age Effect, Period Effect and Cohort Effect - Focusing on Consumer Perception Toward CSR”. She is currently interested in quantifying consumer behavior, especially generational theory or cohort analysi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11월 20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280쪽 | 440g | 135*210*20mm
ISBN13
9788959896905

책 속으로

As a trend analyst, the question I received most often was: “How will COVID-19 change trends?” And our anal\-ysis of changes in 2020’s global consumer trends, based on our 12 years of research, has led us to the following concluion:
“Coronavirus will not change the direction of trends, but it will impact their speed.”
In other words, the pandemic has quickened the pace of polarization, intensifying trends that were on the rise, and diminishing keywords that were waning. Just take a look at online and mobile purchases, teleworking, and home-schooling, which are now mainstream ? a drastic change from pre-COVID days when they were being introduced. What would have previously taken three to four years to implement has taken less than six months. The moral of this crisis is that we need to swiftly respond to changing trends. Once we move forward, we can’t go back. Our best and only option is to closely examine today’s trends and to make meticulous adjustments in response.
--- Preface

How will COVID-19 change the consumer market in 2021? At the time of writing this book, trends remain in drastic flux, and yet we still need to assess a course for the future by analyzing all angles of changes seen so far. In that respect, we propose “V-nomics” as the first trending keyword. The ‘V’ is for “virus,” with “V-nomics” signifying “an economy transformed by the virus.” More importantly, it is the basis for answers to the questions we are most anxious about.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1) Can we see an economic rebound, such as a V-shaped
recovery? (2) What kind of variations can we expect within the “untact” (a term coined and popularized by the Trend Korea Company, meaning “non-contact”) trend, accelerated by the coronavirus? (3) How will consumer values change? (4) What vision do we need to persevere in this era of V-nomics?
--- p.17

People who have previously emphasized the economic value of homes are now realizing a need to re-examine its significance and changes to its functionality stemming from spiritual and philosophical values. The Layered Home is the trend of perceiving the living space as an area to create one’s lifestyle that also reflects the inhabitant’s future-oriented attitude towards life. The trend of the Layered Home also implies that members of the household need to readjust their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Rather than an unchanging layout that divides space into the main bedroom, children’s room and living room, the home needs to become more flexible to ensure both personal and communal hours, to allow for personal and individual tastes to be expressed as well as for shared family time. --- p. 66

Investment has become a hot topic in recent years at gatherings for those in their 20s and 30s, regardless of gender or profession. Young people, whose major interests used to be movies or TV programs, are more readily chatting about investment opportunities. It is no longer rare to see couples attending lectures on real estate investment and going to a property’s open house while on a dat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vestment study clubs, real estate research, value investments, and proptech (property technology) are all the rage. A middle school student wrote on an online investment community board that while his peers play mobile and computer games, he would rather buy stocks in a game company, such as Netmarble or Nexon. And as the military permitted the use of smartphones on bases, a new tribe of individual investors (referred to as “ants” in Korea) has emerged, calling themselves “soldier ants.”
--- p. 82

The crux of a meme lies in willing participation, intense fun, and a short lifespan. Meme creators voluntarily reproduce content and derive satisfaction from the process. Dead content comes back to life in their hands and is born anew and spread in this “perfect consumer-centered new market.”
There are three stages to the RC Life. The first is “The Queue.” Waiting to take part in the latest fad is similar to people waiting in line for a roller coaster ride. The second stage is “The Ride.” The erratic up-and-down and round-and-round movements of the journey are electrifying and exhilarating. The ride is similar to that of Gen Z consumer patterns in that they seek new and unpredictable diversions. The last stage is “The Departure.” Once the ride is over, you may feel a tinge of regret, but only briefly; then you disembark and move on to the next ride. The cycle for today’s trends is brief, and once over, another takes hold.
--- p. 129

Today’s market for secondhand products is estimated at 20 trillion won ($17.5 billion). It has become even hotter than the primary market which deals in new merchandise. According to a report on the “Analysis of the Secondhand Goods App Market” by Mobile Index, a mobile data analysis platform, daily users of the secondhand trading app Daangn당근마켓 reached 1.56 million, second only to the nation’s favorite shopping app, Coupang쿠팡 with 3.97 million. Daangn not only beat giant online shopping malls such as 11Street, Gmarket, WeMakePrice and TMON, but it was also the only secondhand trading app among the top five shopping apps in Korea. This frenzy over trading in pre-owned goods is slowly spreading beyond Gen MZ.
--- p. 174

“I wired the money. Is shipping included?”
“Excuse me, but are you RM from BTS? The name and address seem right […]”
“Thank you.”

This is part of a text message exchange that spread like fire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A reseller shared screen\-shots from his phone after he sold a pair of secondhand trousers. What caught people’s attention was that the leader of the world’s most famous boyband BTS not only traded in used products, but that he also cares about shipping costs. And he is not alone. Online communities often cite stories about celebrities who have taken to trading in secondhand goods.
--- p. 175

“Gucci Boy,” “Human Chanel,” “Human Dior,” …

When you enter the search word “human인간” followed by a luxury brand such as Gucci or Chanel, images of celebrities decked in the designer apparel flood the screen. Girl group sensation Blackpink’s Jennie is called “Chanel in Human Form,” and actress and singer Bae Suzy is known as the “Human Dior.” BTS’s V, Kai of idol group Exo, singer IU and rapper BewhY are all known as a “Gucci Boy or Girl.” So, if I were a luxury brand, which one would best express me?
In fact, the brand itself is a metaphor. Choosing a brand is a process of trying to discover one’s identity. Andy, Anne Hathaway’s character from The Devil Wears Prada, and her transformation throughout the movie are a prime example. Despite her initial aversion to luxury brands, she enters the world of high fashion and goes through an identity crisis, ultimately coming to accept the reality of luxury consumerism and undergo a transformation. It shows how brands in today’s consumer-driven society become a way to express oneself, beyond any preconceptions of their extravagance or ostentation.

--- p. 237

리뷰/한줄평5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16,200
1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