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 태양보다 빛나는 달 레드문
2. 달, 태양을 가리다 3. 나의 운명, 나의 달, 나의 루나 4. 그대가 죽으면 나도 죽으리 5. 운명으로 붉게 물든 레드문 |
HAWANG-MI NA,黃美那
황미나의 다른 상품
학창시절, 우리가 울고 웃었던 추억의 순정만화를 만납니다.
내가 가장 좋아했던 만화에 색을 입히며 그 시절의 ‘나’를 다시 만나는 시간 점심시간에 급식 1등으로 먹기, 수업 시간에 선생님 몰래 친구와 쪽지 주고받기, 내가 좋아하는 우리 오빠들 인기가요에서 1등 만들어주기, 친구와 컵떡볶이 먹으면서 집에 오기. 그리고 친구들과 함께 모여 새로 나온 만화책 몰아보기. 우리의 세상을 가득 채웠던 이 모든 것들이 이제는 사소하고 상관없는 것들이 되어버렸지만, 이상하게도 그 사소함이 더 그리워지는 요즘이다. 그렇게 되고 싶던 어른이 되었건만, 어찌 된 게 키가 커지면 커질수록 땅에 디디고 있는 두 발이 점점 사라지는 기분이다. 천진난만하고 순수했던, 꿈 많은 그때의 나는 이제 간데없고, 하루하루 버텨내고 있는 나만 남았다. 지금 여기,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그 때로 잠깐 다녀올 수 있는 문이 내 앞에 있다. 첫 페이지를 열어 그때의 ‘나’를, 두 번째 페이지를 넘겨 그때의 ‘우리’를, 그리고 마지막 페이지를 닫으며 ‘우리의 세상’을 만난다. 지금부터 학창시절 내가 가장 좋아했던 만화에 나만의 색을 입히며 잊고 있던 나의 세상으로 들어가 보자. 우리는 없지만 만화는 남았다. 우리가 다녔던 책방에도, 선생님 몰래 만화책을 꺼내 보던 교실에도, 두꺼운 솜이불 속에서 귤 까먹으며 만화책을 보던 고향집 내 방에도 이제는 나도 없고 우리도 없지만, 그럼에도 만화책은 아직까지 남아 그곳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타지에 나와 아무리 힘들고 지쳤어도, 부모님이 늘 반겨주시던 고향집 현관문을 열면 모든 서러움이 녹던 것처럼, 우리가 사랑했던 그때 그 시절 순정만화에는 마음을 포근하게 다독여주는 힘이 있다. 이 책은 내가 가장 좋아했던 만화책을 다시 볼 수 있다는 즐거움 외에, 내가 정말 좋아했던 그때의 순수했던 나를 다시 만날 수 있다는 안도감을 준다. 이제 그곳에는 없지만, 사라지지 않았다. 그대가 죽으면 나도 죽으리 우리의 태양이었고, 구원이었던 필라르 1994년부터 시작돼 한국만화의 전설이 된 만화책 ‘레드문’이 컬러링북으로 다시 재탄생되었다. 필라르와 사다드, 루나레나 등 인기 캐릭터 외에 다른 등장인물들까지 다양하게 스케치에 담았다. 꼭 원작과 같은 색으로 필라르를 칠하지 않아도 좋다. 그때 내가 책을 읽으며 느꼈던 감정, 어른이 된 이후에 새롭게 드는 감정대로 색칠할 수 있도록 일부러 원작 화보와 스케치의 구성을 서로 매치되지 않게 구성했다. ‘레드문’의 끝나지 않은 감동은 아직도 현재진행중이다. 책방이 어디 있는지부터 확인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학교가 끝나면 친구들과 모여 과자 몇 봉지 뜯어 놓고 방바닥에 아무렇게나 누운 채로 시간 가는 줄도 모르며 만화책을 읽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제는 언제 어디서든 휴대폰으로 만화를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찢어 놓은 마지막 페이지 때문에 화가 나 미칠 필요도 없고, 다음 장에 뭐라도 묻어 있을까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읽지 않아도 되지만, 우리는 이상하게도 그때 그 시절이 사무치게 그립습니다. 그때가 그리운 건, 그만큼 가까웠던 ‘우리’가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수십 년이 지나 우리는 편리함을 얻었지만 친구들과 함께 울고 웃던 그 따뜻함은 잃어버렸습니다. 멀어졌던 거리를 좁히고, 식었던 따뜻함을 다시 데우려고 합니다. 잊고 있던 감성을 키우고, 지친 감정들을 돌보려 합니다. 그 시절 우리가 사랑했던 순정만화를 한 장씩 색칠하며, 아직도 순수했던 그 모습 그대로 웃음꽃을 피우고 있을 15살의 나와 내 친구들을 다시 여기로 불러보세요. 잊고 있던 기억과 ‘우리’가 다시 떠오를 것입니다. 작가의 말 컬러링 북을 만들자는 제의에 레드문 책을 꺼냈습니다. 이 장면을 할까 저 장면을 할까 생각하면서 저도 모르게 책을 읽게 되더군요. 읽다 보니 왜 이렇게 슬픈지… 인물 하나하나가 왜 그렇게 처절한지… 문득 지나간 시절이 떠올랐습니다. 캐릭터에 빙의된 듯 저절로 그려지던 그 시절이 말이죠. 필라르를 비롯한 모든 캐릭터가 스스로 알아서 자기 갈 길을 가고 저는 그것을 쓰고 그리기만 하면 됐던 시절… 몸이 아파 유작이라 생각했을 만큼 마음을 담았던 작품… 모든 이야기를 완벽하게 표현해 내지도 못했고 해야 할 이야기를 못한 것도 있지만 그래도 가슴에 깊이, 아프게 남아 있는 작품입니다. 그 긴 작품에서 몇 장면만 추려내는 건 쉽지 않았습니다. 펜 선만 남기는 건 더더욱 쉬운 일이 아니었죠. 고생은 했지만 제 입장에서 펜 선만 남은 그림은 꽤나 매력적이었습니다. 그래도 왠지 벌거벗은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죠. 모든 효과가 사라지고 벌거벗은 펜 선만 남으니 작가의 능력이 드러나는 느낌까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내어 반응을 기다려봅니다. 부디… 펜 선만 남은 그림이 비어 보이지 않기를… 부디… 펜 선만 남은 그림이 어색하게 다가가지 않기를… 그리하여 새로운 작품을 보듯 이 책을 받아들여 주기를 바라고 바라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