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책머리에
해제: 조선 후기 金石帖 편찬과 『大東金石書』_남동신 범례 『대동금석서』 金(제1첩-신라, 고려) 제1첩 해제와 목록 1-01 金石帖?/金石帖序 … 1-53 淸平息庵巖刻/淸平息菴巖刻 『대동금석서』 木(제2첩-고려, 조선) 제2첩 해제와 목록 2-01 탁본명 없음/眞樂公文殊院記碑 … 2-59 演福寺塔重創記/演福寺塔重創碑 『대동금석서』 火(제3첩-조선) 제3첩 해제와 목록 3-01 탁본명 없음/長興敎授蔡從孫墓碣銘 … 3-69 表陰/魯山君墓表陰 『대동금석서』 土(제4첩-조선) 제4첩 해제와 목록 4-01 臨汀正碑/臨汀副正李壽定神道碑 … 4-62 申景?碑/申景?神道碑 『대동금석서』 水(제5첩-조선) 제5첩 해제와 목록 5-01 獻陵碑額/太宗獻陵神道碑 … 5-57 盧思愼碑/盧思愼神道碑 『대동금석서』 續乾(제6첩) 제6첩 해제와 목록 6-01 蘇定方平百濟塔額/唐平濟碑額 … 6-47 趙之周墓碑/趙之周墓碣銘 『대동금석서』 續坤(제7첩) 제7첩 해제와 목록 7-01 新羅景德王陵碑/新羅景德王陵碑 … 7-62 朴尙衷墓碑/朴尙衷墓碑 부록 1. 『대동금석서』 컬러도판 2. 『대동금석서』 첩별 수록 탁본 목록 참고문헌 |
남동신의 다른 상품
강호선의 다른 상품
이명미의 다른 상품
양혜원의 다른 상품
금석문의 사료적 가치 재조명과 새로운 자료의 발굴
금석문은 한국 고·중세사 연구에서 『삼국사기』·『삼국유사』 및 『고려사』 등 주요 사서(史書)의 오류를 정정하거나 누락된 역사적 사실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연구에서 지금까지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대동금석서』에 수록된 탁본을 판독함으로써 기존의 판독문을 대체하거나 수정·보완하며, 더 나아가 망실된 고·중세의 금석문을 발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예컨대 〈포천 해룡왕사원오국사비〉와 〈산음 국태사응진국사비〉는 기왕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신라 말 고려 초 고승들의 비라는 점에서 향후 관련 분야의 새로운 연구 성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책은 『대동금석서』 7첩본에 수록된 전체 탁본을 대상으로 삼아, 먼저 수록 탁본 목록을 작성하여 전체 구성과 체재를 파악하고, 개별 탁본에 대한 서지사항을 상세하게 조사 정리하였으며, 해당 탁본 자료의 역사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해제를 작성하였다. 280여 종의 금석문에 등장하는 비문의 주인공과 찬자 및 서자들과 그들 사이의 인적 네트워크는 이 시기 정치사를 한층 다채롭게 하며, 나아가 문헌 일변도의 20세기 역사학의 방법론을 극복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모색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