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60,000
60,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AKS 고전자료총서

책소개

목차

책머리에
해제: 조선 후기 金石帖 편찬과 『大東金石書』_남동신
범례

『대동금석서』 金(제1첩-신라, 고려)

제1첩 해제와 목록
1-01 金石帖?/金石帖序

1-53 淸平息庵巖刻/淸平息菴巖刻

『대동금석서』 木(제2첩-고려, 조선)

제2첩 해제와 목록
2-01 탁본명 없음/眞樂公文殊院記碑

2-59 演福寺塔重創記/演福寺塔重創碑

『대동금석서』 火(제3첩-조선)

제3첩 해제와 목록
3-01 탁본명 없음/長興敎授蔡從孫墓碣銘

3-69 表陰/魯山君墓表陰

『대동금석서』 土(제4첩-조선)

제4첩 해제와 목록
4-01 臨汀正碑/臨汀副正李壽定神道碑

4-62 申景?碑/申景?神道碑

『대동금석서』 水(제5첩-조선)

제5첩 해제와 목록
5-01 獻陵碑額/太宗獻陵神道碑

5-57 盧思愼碑/盧思愼神道碑

『대동금석서』 續乾(제6첩)

제6첩 해제와 목록
6-01 蘇定方平百濟塔額/唐平濟碑額

6-47 趙之周墓碑/趙之周墓碣銘

『대동금석서』 續坤(제7첩)

제7첩 해제와 목록
7-01 新羅景德王陵碑/新羅景德王陵碑

7-62 朴尙衷墓碑/朴尙衷墓碑

부록
1. 『대동금석서』 컬러도판
2. 『대동금석서』 첩별 수록 탁본 목록
참고문헌

저자 소개7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원효의 대중교화와 사상체계’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덕성여대를 거쳐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 고·중세의 불교사 및 문화사를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박물관장과 한국사상사학회장을 지냈다. 역사 전공자로서 전통적인 문자자료, 그중에서도 특히 금석문 자료의 정확한 판독과 역주에 주력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와서는 중세 지성사, 동아시아 불교사, 불교미술사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면서 문자자료와 더불어 시각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학제 간 교류와 연구에 힘쓰고 있다. 장기적으로 한국사에 대한 근대적인 인식을 극복하고 한국적 연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원효의 대중교화와 사상체계’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덕성여대를 거쳐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 고·중세의 불교사 및 문화사를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박물관장과 한국사상사학회장을 지냈다. 역사 전공자로서 전통적인 문자자료, 그중에서도 특히 금석문 자료의 정확한 판독과 역주에 주력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와서는 중세 지성사, 동아시아 불교사, 불교미술사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면서 문자자료와 더불어 시각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학제 간 교류와 연구에 힘쓰고 있다. 장기적으로 한국사에 대한 근대적인 인식을 극복하고 한국적 연구 모델을 정립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원효』, 『역주 한국고대금석문』(공역), 『대동금석서 연구』(공저),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 불교 유적』(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자장의 불교사상과 불교치국책」, 「전환기의 지식인, 최치원」, 「목은 이색과 불교 승려의 詩文 교유」, 「여말선초의 僞經 연구」, 「금석청완 연구」, 「혜초 『往五天竺國傳』의 발견과 8대탑」, 「천궁으로서의 석굴암」, 「삼국유사의 성립사 연구」, 「교감 역주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원각사13층탑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 등 다수가 있다.

남동신의 다른 상품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주요 논저로 「고려말高麗末 나옹혜근懶翁慧勤 연구硏究」, 「송宋·원대元代 수륙재水陸齋의 성립과 변천」, 「고려 말 선승禪僧의 입원유력入元遊歷과 원元 청규淸規의 수용」, 「무외국통無畏國統 정오丁午와 원간섭기 백련결사의 전개」, 「고려시대 국가의례로서의 불교의례 설행과 그 정치적 의미」 등이 있다.

강호선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질적인 요소들이 강하게 부딪히고 장기간 함께하게 될 때 나타나는 변화상에 관심이 있어, 주로 정치사를 중심으로 한 고려-몽골 관계사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13~14세기 고려·몽골 관계 연구: 정동행성승상 부마 고려국왕, 그 복합적 위상에 대한 탐구』(2016, 혜안), 『고려, 몽골에 가다』(2022, 세창미디어), 『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2022, 동북아역사재단) 등이 있다.

이명미의 다른 상품

전북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 조선시대 정치사·사상사 전공. 논저로는 「조선 공론정치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제안」(2012), 「栗谷 李珥의 『東湖問答』과 君臣論」(2016), 「시데하라 다이라[幣原坦]의 『韓國政爭志』와 조선시대 정치사」(2019)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BK연구교수, 조선시대 사상사 전공. 논저로는 「巍巖 李柬의 정치적 입장과 호락논쟁」(2019), 「기대승의 사상사적 위치」(2019), 「한원진 경세론의 성격 재검토」(2019) 등이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강사, 조선시대 불교사 전공. 논저로는 「太古普愚의 人脈과 恭愍王代初 政治活動」(2010)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조선시대사·한국불교사 전공. 논저로는 「조선초기 법전의 ‘僧’ 연구」(2017), 「『經國大典』 판본 연구」(2018), 「15세기 승과(僧科) 연구」(2019) 등이 있다.

양혜원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11월 10일
쪽수, 무게, 크기
970쪽 | 188*254*40mm
ISBN13
9791158666095

출판사 리뷰

금석문의 사료적 가치 재조명과 새로운 자료의 발굴

금석문은 한국 고·중세사 연구에서 『삼국사기』·『삼국유사』 및 『고려사』 등 주요 사서(史書)의 오류를 정정하거나 누락된 역사적 사실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연구에서 지금까지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대동금석서』에 수록된 탁본을 판독함으로써 기존의 판독문을 대체하거나 수정·보완하며, 더 나아가 망실된 고·중세의 금석문을 발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예컨대 〈포천 해룡왕사원오국사비〉와 〈산음 국태사응진국사비〉는 기왕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신라 말 고려 초 고승들의 비라는 점에서 향후 관련 분야의 새로운 연구 성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책은 『대동금석서』 7첩본에 수록된 전체 탁본을 대상으로 삼아, 먼저 수록 탁본 목록을 작성하여 전체 구성과 체재를 파악하고, 개별 탁본에 대한 서지사항을 상세하게 조사 정리하였으며, 해당 탁본 자료의 역사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해제를 작성하였다. 280여 종의 금석문에 등장하는 비문의 주인공과 찬자 및 서자들과 그들 사이의 인적 네트워크는 이 시기 정치사를 한층 다채롭게 하며, 나아가 문헌 일변도의 20세기 역사학의 방법론을 극복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모색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60,000
1 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