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베스트셀러 EPUB
eBook 그리움을 품고 산다는 것
아슬아슬한 희망을 품고 고단한 시간을 건너는 길벗들에게 EPUB
김기석
비아토르 2021.02.25.
가격
8,400
8,400
YES포인트?
42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보고픈 이들에게
자꾸 그리다 마음에 새겨진 그리움
새 시대의 산파가 되어
우리에게는 날개가 있습니다
뿌리 깊은 나무가 되어
지금은 인내의 시간
혼잣소리로는 할 수 없겠네
희망의 불씨를 지키는 사람들
하늘 숨 들이마시고
웃음 띤 얼굴로
로제트식물처럼
제 소임에 충실하면
삶의 벼릿줄
기꺼이 빠져들기
껍질을 벗는다는 것
머뭇거림으로 만드는 평화
측량할 수 없는 사랑 속으로
존재, 사라짐, 아름다움의 순환
할 수 있지만 하지 않는 것이 사랑
의의 연장이 되어
쓰라림을 빛나는 보석으로
세속의 성자들
세 겹 줄처럼 든든하게
함께 살며 엮어 가는 이야기
소망을 품은 기다림
가젤의 지혜
함께 지어져 가는 우리
어둠을 찢는 사람들
은총의 신비 속으로

주(註)

저자 소개1

김기석 목사는 광야와 같은 현실에서 예언자의 목소리를 내면서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따뜻하게 보듬는 목회를 해왔다. 교회에서는 다정하고 유쾌한 목사로, 밖에서는 지친 이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메신저 역할을 다하였다. 그의 설교는 열린 신앙과 도저한 지성, 분방한 상상력이 녹아든 완성도 높은 문학 작품이자 감동적인 스토리텔링이다. 문학과 철학을 포함한 고금의 문자 텍스트뿐만 아니라 음악과 미술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작품들도 소환한다.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청파교회 전도사, 이화여고 교목, 청파교회 부목사를 거쳐 1997년부터 청파교회를 담임하고 있다. 감리회
김기석 목사는 광야와 같은 현실에서 예언자의 목소리를 내면서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따뜻하게 보듬는 목회를 해왔다. 교회에서는 다정하고 유쾌한 목사로, 밖에서는 지친 이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메신저 역할을 다하였다. 그의 설교는 열린 신앙과 도저한 지성, 분방한 상상력이 녹아든 완성도 높은 문학 작품이자 감동적인 스토리텔링이다. 문학과 철학을 포함한 고금의 문자 텍스트뿐만 아니라 음악과 미술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작품들도 소환한다.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청파교회 전도사, 이화여고 교목, 청파교회 부목사를 거쳐 1997년부터 청파교회를 담임하고 있다. 감리회 출판국(kmc)에서 처음 책 『새로 봄』을 썼고, 『말씀 등불 밝히고』, 『김기석 목사의 청년 편지』, 『가치 있는 것들에 대한 태도』, 『당신의 친구는 안녕한가』, 『일상 순례자』 등 많은 책을 썼으며, 옮긴 책으로 『마르틴 루터의 단순한 기도』 등이 있다.

김기석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2월 25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파일/용량
EPUB(DRM) | 36.94MB ?
ISBN13
9791188255887

출판사 리뷰

낯선 시간 속을 걷는 길벗들을 마음에 그리며
부러진 다리에 부목을 대는 심정으로 써 내려간 스물아홉 통의 편지

코로나19는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낯선 장소와 시간 속에 우리를 던져 놓았다. 이제는 어디를 가든 체온을 재고 QR 코드 찍는 일이 익숙해졌고, ‘사회적 거리 두기’, ‘비대면 예배’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주일마다 교회에 모여 함께 예배하고 친교를 나누던 신자들의 아름다운 전통이 어느새 지역 사회와 이웃을 위험에 빠뜨리는 이기적인 행동으로 변해 버린 시대를 지금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

2020년 봄부터 겨울까지 교우들에게 보낸 목회 서신

이 책은 공식 예배 시간을 통해 코로나 시대에 그리스도인이 붙들어야 할 본질적 가치에 관해 선포해 온 저자가 2020년 봄부터 겨울까지 ‘목회 서신’이라는 이름으로 교우들에게 보낸 스물아홉 통의 편지를 엮은 책이다. 처음에는 “우리가 함께 잃어버린 시간을 기록하는 동시에 그리스도인의 지향이 무엇인지 상기시키려는 마음”으로 편지를 쓰기 시작했다고 저자는 고백한다. 비록 얼굴을 맞대고 손을 마주 잡고 두런두런 담소를 나누지는 못해도, 우리는 절대 혼자가 아니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일깨우고픈 마음으로 펜을 들었다.

편지를 그만 쓰고 싶은 무력감에 사로잡히는 순간

그러나 편지 쓰는 일을 그만두고 싶은 마음에 사로잡힐 때도 있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벼랑 끝에 선 듯 위태로운 나날을 보내는 이들에게 너무 한가한 소리로 들릴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교인들이 겪는 절절한 삶의 현장을 잘 알지 못한다는 무력감에 사로잡힐 때면 말의 부질없음을 새삼 자각하곤 했다. 그런 순간순간을 되돌아보며 저자는 “할 말이 없을 때도 있었고, 하기 싫을 때도 있었다”라고 고백한다.

단 몇 사람의 마음이라도 어루만지길 소망하며

그래도 저자는 비대면 예배를 드려야 하는 상황에서는 한 주도 거르지 않고 편지를 썼다. 교회가 사람들에게 분노와 염증을 유발하는 집단으로 전락해 버린 시대에 오랫동안 신앙인이라는 정체성을 품고 살아온 이들이 느낄 고통과 비애와 상실감을 잘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도 저자는 “부러진 다리에 부목을 대는 심정”으로 매주 교우들에게 편지를 쓴다. 편지 쓰기를 멈추지 않는 이유는 지금이야말로 폐허 더미를 정리하고, 무너진 터전을 다시 일으켜 세우고, 새로운 신앙의 집을 지어야 할 때라고 믿기 때문이다.

리뷰/한줄평1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