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만 독자들로부터 열렬한 지지를 받은 《사장으로 산다는 것》이 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출간된 지 꽤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책이 사랑받는 이유는 이제껏 접근할 수 없었던 사장이라는 자리의 내면을 이처럼 진솔하게 그려낸 책이 없었기 때문이리라. 취재 10년, 사장 경험 6년, 집필 6년이라는 시간을 지나오면서 저자의 내공이 오롯이 글 속에 녹아 있기에 읽는 내내 ‘나만 그런 게 아니구나’라며 위로받고 공감하게 된다. 무엇보다 이번 ‘개정판에 부치며’에서 말한 것처럼 저자는 오늘도 고군분투하는 이 땅의 모든 CEO들을 응원하고 싶었고, 그 메시지가 고스란히 전해졌기 때문이다.
“스스로 못났다고 생각하는 바람에 힘이 빠지고, 스스로를 탓하다 보니 맥이 풀렸던, 그래서 그렇지 않아도 힘든 세상살이를 더 힘들게 해야 했던, 그걸 이겨낸답시고 애꿎은 나를 달달 볶았던, 나처럼 바보 같은 사람들이 더 이상 없었으면 하는 마음이었다. 이런 자리, 이런 역할에서 오는 마음고생은 당연한 것이니 자신을 탓하는 시간이 있으면 그 시간에 해야 할 일을 하는 게 낫다는, 나름대로 내가 찾아낸, 아니 어쩌면 콤플렉스에 시달리던 나에게 주는 결론이었다. 그렇게 썼고 딱 그 마음을 담고자 했다.”
가장 처절하게 외롭고 힘든 자리,
CEO들의 마음을 처음으로 대변해준 책
‘사장’이라고 하면 그 역할이 무엇인지 대답하기 참 어렵다. 흔히 사람들은 사장이라는 직책에 대해 이렇게 생각한다. ‘결재만 하고 일은 별로 안 하는 것 같고, 조직의 성과를 위해선 극도로 매정하며, 잘릴 걱정 없는 맘 편한 사람’ 정도로. 하지만 틀려도 한참 틀렸다. 부모가 되지 않고서는 부모 맘을 모르듯 사장이 되어보지 않고서는 사장의 마음을 모른다. 사장이라는 자리는 되어보지 못한 사람들에겐 동경의 대상이지만, 알고 보면 가장 처절하게 외롭고 힘든 자리다.
이번에 출간된 《사장으로 산다는 것》은 그런 리더들의 숨겨진 내면을 가장 처음 조명한 책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지금껏 리더에 관한 책들이 그들의 리더십이나 업적에 대해서만 이야기한 데 반해, 이 책은 리더라는 자리에 앉은 그들이 어떤 고민을 하는지, 어떤 마음앓이를 하는지, 리더라는 자리가 주는 무게가 얼마인지 가려져 있던 사장의 고충과 혼자만의 싸움, 그리고 그 극복 과정을 진솔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CEO들의 마음을 대변해준 책. 사장 혹은 리더들에게 그들의 자격만 묻던 이들에게 그들의 편에 서서 생각하게 해준 것만으로도 이 책의 의미는 상당하다. 이 책이 오래도록 사랑받는 스테디셀러가 된 또 다른 이유다.
사장은 사실 이런 자리다
사장은 외롭다, 사장도 사람이다, 사장은 더 고달프다…
《사장으로 산다는 것》을 통해 우리는 지금껏 상상도 못했던 CEO들의 내심을 보게 된다. 다 같이 일하지만 한편으로 철저히 혼자가 되는, 아니 혼자가 되어야 하는 자리. 그들이 얼마나 고독하고 외로운지, 그들도 굵은 눈물을 흘리는가 하면 작은 일에 서운하고 섭섭해하는 인간이라는 것. 이런 면면들을 보노라면 리더야말로 가장 힘들고 외로운 사람이 아닐까 싶다.
1. 사장은 외롭다
외로움은 리더가 앓아야 할 병이다. 아니, 리더가 감내해야 할 형벌일지도 모른다. CEO가 된다는 것은 혼자가 된다는 것이다. “어떨 때 가장 외롭다고 생각되느냐?”는 질문에 한 CEO는 “(직원들로부터) 밥 먹으러 가자는 소리를 못 듣는 게 가장 외로운 것”이라고 답했다. 뿐이랴. 인간이라면 냉혹하거나 비정하다는 말을 듣고 싶지 않을 테지만, 리더는 고독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가 수도 없이 많다. 결정은 온전히 리더의 몫이고, 고비를 잘 넘기지 못할 경우 돌아오는 책임 또한 그의 몫이다.
어느 날 어느 순간 마음 편하게 소주 한 잔 기울일 상대를 찾아 온 수첩을 뒤적여보지만, 전화를 걸 만한 마땅한 사람이 없다. 혹시나 하고 휴대전화에 저장된 이름을 검색해보지만, 역시나 적당한 이름이 떠올라주지 않는다. 일은 24시간이 모자랄 만큼 바쁘지만 타는 속을 식혀줄 그 무엇이, 그 누군가가 없다. 이게 리더다.
2. 사장도 사람이다
언젠가 LG전자에서 부장급 이상 부서 책임자인 그룹장 100명에게 ‘리더로서 회사 생활이 가장 힘들 때는 언제인가’를 물었다. 결과는? 1위는 ‘부서원이 고충을 몰라줄 때’(29%)였고, 2위는 ‘회사가 비전을 제시하지 못할 때’(24%), 3위는 ‘부서 내 갈등을 해결하지 못할 때’(13%), 4위는 ‘부서원의 고민을 해결해주지 못할 때’(11%)였다.
비록 그룹장의 답변이지만 사장들의 고민과 별반 다르지 않다. 상사들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직원들은 푸념하지만 리더들도 같은 푸념을 한다. 리더이기에 먼저 알아주고 먼저 챙겨주고 더 많이 고생해야겠지만, 그런 리더의 고충도 만만치 않음을 직원들이 알아주길 바라는 마음은 마찬가지다.
사장도, 리더도 사람이다. 표현하지 않아서 그렇지 누구보다 더 여리고 섬세하고 예민한 심성의 소유자일지도 모른다. 리더가 된 이들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감성이 풍부하다. 그래서 뭇 사람을 이끄는 리더가 되는 것이다. 자신의 뜻이 아랫사람들에게 이해되지 못하고 거부당할 때, 애쓴 노력이 이상한 수군거림으로 되돌아올 때 서운해진 마음은 상처로 남는다. 시간이 지나면 상처도 낫기는 낫는다. 하지만 흉터가 남는다. 그들도 사람이다.
3. 사장은 더 고달프다
‘조직이라는 괴물’은 청개구리처럼 반대되는 일을 하는 데 재능이 있다. 좀 따라해주면 좋겠다 싶은 건 외면하면서 설마 했던 일은 어김없이 따라한다. 남이 가지 않는 길을 처음으로 갈 때면 ‘여기도 괜찮은데 왜 딴 데로 가느냐’는 투덜거림도 받아줘야 한다. 길이 울퉁불퉁하다고 볼멘소리를 하고, 갈 길이 먼데 왜 배불리 먹여주지 않느냐고 불평해도 묵묵히 들어줘야 한다.
손에 든 정보만으로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판단을 내려야 할 때는 어떤가. 하룻밤에 만리장성보다 더 긴 번복을 한다. ‘하루에도 열두 번씩’ 정도가 아니다. 1분 전에 한 결정을 다시 뒤집고, 그걸 또 뒤집는다. 이런 긴긴 밤의 고통을 누가 알아줄까?
그래서 한 CEO는 회사가 어렵던 시절, 가장 부러워한 사람이 전화 받아주고 경리 허드렛일을 하는 수하 여직원이었다고 고백한다. 자기는 돈 10만 원을 집에 못 가지고 가는데, 월급날이면 어김없이 그것도 밝은 얼굴로 봉급을 받아가는 여직원이 그는 정말이지 눈물나도록 부러웠다고. “나도 때로는 월급쟁이이고 싶다”는 한숨과 함께 푸념 같은 사장들의 한마디만으로도 그들의 힘겨움이 느껴진다.
우정 어린 공감과 유머, 그리고 강력한 위로―
사장을 꿈꾸는 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
이 책은 CEO들의 마음을 탐색한 1차 보고서다. 분명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조직을 이끌어야 하는 어려움, 이 어려움이 짓누르는 압박감은 바뀌지 않았다. 그러기에 이 책을 통해 마음고생에 시달리는 CEO와 리더들의 마음 한 조각만이라도 만졌다는 촉감이 전해질 수 있으면 그것으로 족하다.
사업을 한 후 저자는 “골목길에서 구멍가게라도 3년 이상 하고 있는 아저씨, 아주머니들을 보면 존경스러운 마음이 든다”고 했다. 절대 쉬운 일이 아님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사장이라는 자리의 어려움을 저자는 이렇게 전한다. “내가 만난 CEO들 중 지금의 자리가 즐겁다고 한 사람은 있었어도, 쉽다고 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다.”
자기만의 사업을 꿈꾸고 있는 이들이나 꼭 사장이 아니더라도 시간이 흐르면 조직의 리더가 될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권투를 하는 링에 올라서려면 훈련이 필요하지만 대개 사업에 뛰어든 이들은 이기려는 마음만 갖고 서두르기 일쑤다. 흔한 게임도 훈련이 필수인데 하물며 인생을 건 승부에서 의욕 하나로 되겠는가. 짐은 나누어 갖고 어려움은 함께하면서 활로, 말 그대로 우리를 살아 있게 하는 길을 가는 동행이 되듯, 이 책이 “언제나 힘을 내는 당신의 편”이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