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사이즈비교 공유하기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 연구

[ 양장 ]
왕사우 | 역락 | 2023년 02월 10일   저자/출판사 더보기/감추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분철서비스 시작 시 알려드립니다. 분철서비스 알림신청
[대학생X취준생] 우리의 영광의 시대는 1학기입니다
얼리리더를 위한 3월의 책 : WOOF! WOOF! 책멍이 마그넷 증정
3월의 굿즈 : 산리오캐릭터즈 타포린백/물병파우치/3단우산/미니 토트백/마티스 접시&테이블매트 세트
YES24 트윈링 분철 : 인서트라벨/스티커 택1 증정
소장가치 100% YES24 단독 판매 상품
3월 쇼핑혜택
현대카드
1 2 3 4 5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2월 10일
판형 양장?
쪽수, 무게, 크기 320쪽 | 153*225*30mm
ISBN13 9791167424419
ISBN10 1167424417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1장 총론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2. 선행 연구 검토
1.2.1. 명사 형성법과 관련된 선행 연구
1.2.2. 조사·어미 결합어와 관련된 선행 연구
1.3. 본서의 구성

2장 기본적 논의

2.1. 논의를 위한 이론적 기초
2.1.1. 어휘적 단어의 개념 및 범위
2.1.2. 단어성
2.1.3. 통사적 요소와 접사
2.2.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과 범위
2.2.1.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 및 종류
2.2.2.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
2.3.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와 명사 형성 체계

3장 조사 결합형 명사

3.1.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
3.1.1.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의 양상
3.1.2.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의 형성
3.2.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
3.2.1.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의 양상
3.2.2.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구성의 변천
3.2.3.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의 형성
3.3.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
3.3.1.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의 양상
3.3.2.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의 형성
3.4. 소결


4장 어미 결합형 명사

4.1. 전성어미 결합형 명사
4.1.1. 명사형 어미 ‘-(으)ㅁ, -기’ 결합형 명사
4.1.2. 관형사형 어미 ‘-(으)ㄴ, -(으)ㄹ’ 결합형 명사
4.2. 연결어미 ‘-아/어’ 결합형 명사
4.2.1. 연결어미 ‘-아/어’ 결합형 명사의 양상
4.2.2. 연결어미 ‘-아/어’ 결합형 명사의 형성
4.3. 종결어미 ‘-다, -해, -해요, -구려, -자, -료(-리오), -더라, -지마, -라’ 결합형 명사
4.3.1.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의 양상
4.3.2.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
4.4. 소결

5장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

5.1.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법적 특성
5.1.1.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 형성에 참여하는 요소의 특성
5.1.2. 핵의 위치에 따른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
5.1.3.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 형성의 유형론적 특성
5.2.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의미적 특성
5.2.1. 의미적으로 투명한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
5.2.2. 의미적으로 반투명한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
5.2.3. 의미적으로 불투명한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
5.3. 소결

6장 맺음말

6.1. 요약
6.2. 연구의 의의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

〈부록 1〉 조사 결합형 명사의 목록
〈부록 2〉 어미 결합형 명사의 목록

저자 소개 (1명)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이 책은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다룬다. 명사 형성 체계를 다룬 기존 논의에서는 합성 명사와 파생 명사를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한국어의 명사에는 합성 명사나 파생 명사로 분류하기 어려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가 상당수를 차지한다. 조사와 어미는 교착어로서의 한국어의 특성을 보여 주는 문법 요소로, 명사 또는 명사구나 어간에 결합하여 구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조사와 어미가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점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과 범위를 밝히고, 그 유형과 명사 형성 체계 내에서의 위치 등을 살펴보았다.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조사나 어미의 종류에 따라 그 유형을 나누면, 조사 결합형 명사는 ‘관형격 조사 결합형 명사’, ‘처소격 조사 결합형 명사’, ‘보조사 결합형 명사’로, 어미 결합형 명사는 ‘전성어미 결합형 명사’, ‘연결어미 결합형 명사’,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특히 단어의 형성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법적 측면과 관련하여서는 명사 형성에 참여하는 요소의 특성, 핵의 위치에 따른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유형론적 특성 등의 세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해당 명사를 구성하는 요소와 단어 전체의 의미 사이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의미적으로 투명한 경우, 반투명한 경우, 불투명한 경우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책은 기존 논의에서 관심을 두지 못하였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본격적으로 고찰하고 그 특성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아 단어 형성론 연구의 저변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2장에서는 이 책의 내용 전개를 위한 기본적인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으로서 어휘적 단어의 개념, 단어 형성 기제로서의 규칙과 유추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 책에서 다루고자 하는 단어 내에서 나타나는 조사나 어미의 지위, 조사 또는 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과 종류를 확인한다. 또한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 등을 소개하고 본서의 입장을 제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조사 결합형 명사를 살펴본다. 이들은 조사의 종류에 따라 격조사 결합형 명사와 보조사 결합형 명사로 나눌 수 있으며, 격조사 결합형 명사는 다시 관형격조사 ‘의’ 결합형 명사와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연구 내용에 해당하는 보조사 결합형 명사에 비해 격조사 결합형 명사의 수가 상당히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격조사 결합형 명사와 보조사 결합형 명사의 두 개의 큰 부류로 나누지 않고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와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의 차례로 검토할 것이다.
4장에서는 어미 결합형 명사를 대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어미는 어말어미와 선어말어미로 나눌 수 있으며, 어말어미는 다시 종결어미와 비종결어미로 나뉘며 비종결어미는 전성어미와 연결어미로 나뉜다. 이에 따라 어미 결합형 명사도 이러한 층위에 맞추어 분류해야 하나 선어말어미 결합형 명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여 따로 다룰 만한 성격의 것이 되지 못하고,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 역시 그 수가 비종결어미 결합형 명사에 비해서는 적은 편이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4장에서는 어미 결합형 명사를 전성어미 결합형 명사(명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와 관형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 연결어미 결합형 명사,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 등의 셋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이러한 체계 속에서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양상과 각각의 구체적인 형성 방법을 논의한다.
5장에서는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가 파생 명사, 합성 명사와의 다름을 확인하고, 이들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가 파생 명사나 합성 명사에 속하는 부류가 아니라 단어 형성 체계 내에서 독립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그 다음으로 더 나아가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 이 책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도록 한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25,0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aniAla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