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ESG의 구조
중고도서

ESG의 구조

: 착한 ESG 그리고 위험한 ES+G

정가
20,000
중고판매가
10,000 (50% 할인)
상태?
최상 새 상품에 가까운 상품
YES포인트
배송안내
  • 배송비 : 3300원(선불) ?
  • grumiaux75에서 직접배송
  • 도서산간/제주지역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  한정판매의 특성상 재고 상황에 따라 품절 가능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7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344쪽 | 152*225*30mm
ISBN13 9791185994901
ISBN10 1185994904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에 가까운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코로나19의 세상에서 ESG의 바람이 뜨겁다. 마치 코로나 바이러스가 ESG를 이식하기 위해 경제 시스템을 ‘리셋(reset)’시킨 듯하다. 물론 ESG는 해외에서도 파죽지세(破竹之勢)다. 인류가 코로나 바이러스의 징계로 어머니 되는 지구에 저지른 수많은 죄업을 갚음과 동시에, ESG로 새 출발의 기회를 함께 얻는 듯한 공교로움이 느껴진다.

본문에서 자세히 논하겠지만, ESG는 환경(environmental)과 사회(social)의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ESG는 사리(私利)와 공리(公利)를 교묘하게 엮은 설계를 가진다. 이에 ESG는 ‘지속 가능’한 무한 동력을 확보한다. 둘째로, ESG는 설계의 특장점으로 인해 정치력과 자금력의 전례 없는 지지를 받는다. 마지막으로, ESG는 테크놀로지(technology)로 강력하게 지지된다. 이로써 인류는 마침내 지속 가능한 세계라는 꿈을 현실로 바꿀 기회를 잡기 시작했다.

그러나 우려되는 바는 우리나라의 ESG 도입 양태이다. ESG 도입 초기 국내의 ESG 수용 방식은 지극히 실무 중심적이었다. 해외 자본의 요구에 따라 타율적으로 국내에 도입된 것이 ESG이니, 실무 부문에 모든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불가피했다. 따라서 도입 이후에는 해외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ESG 시스템 구축 실무가 ESG에 대한 모든 관심과 역량을 빨아들인다. 현재, 국내 금융회사, 기업집단은 물론, 굴지의 회계법인, 법무법인, 컨설팅회사 등이 ESG 시스템 구축에 에너지를 집중하고 있다. 그리고 ESG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동시에 바로 홍보 내지 프로파간다(propaganda)의 수순으로 들어간다. 이 역시 불가피했다. 시스템이 움직여야 해외의 수요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모든 것이 일사천리로 신속하게 전개되었고, 여기에는 ESG의 이념에 대한 ‘공자 왈 맹자 왈’이 들어갈 여지는 없었다. 어쩔 수 없었다. 세계의 흐름을 따라가기에도 촉박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속도전은 대부분 부실 공사를 야기한다. 이곳저곳에서 파열음이 나온다. 기반이 제대로 다져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선, ESG로 부담을 떠안는 측은 면종복배(面從腹背)하거나 무시한다. ESG를 지지하는 척하면서, 내심으로는 ESG도 그저 지나가는 바람이려니 하고 숨죽이고 웅크린다. 일부는 아예 언급하지도 않는다. 반면, ESG로 전리품을 챙기는 측은 세상의 모든 ‘착한’ 일에 ESG를 가져다 붙인다. ‘이익공유제’가 ESG의 오남용이 부작용을 유발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익공유제는 ‘착한 경제’인 ESG를 근거로 하여, 대기업의 이익을 중소기업들에게 나누어 주어야 한다는 주장이자 제도인데,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사회주의나 포퓰리즘의 발로라고 반박하기는 했다. 그러나 ESG의 이론에 입각하여 ‘이익공유제’가 ESG와 무관한 발상이라 주장하는 경우는 없었다. ESG의 이론과 이념에 무관심하며, 그저 실무로만 ESG를 이해하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도처에서는 지극히 타율적이고 무비판적인 ESG의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ESG는 ‘착한 경제’라는 말만 되뇌며 그 이론과 배경에 눈을 감아 버린다. 또한 누가 ESG를 어떤 맥락에서 어떤 목적을 위하여 만들었고, 서구의 글로벌 자본은 왜 우리나라에 ESG의 도입을 요구하는지 아는 바도 없고,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ESG라는 바람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전혀 무관심한 것이다. 매우 위험하고 무책임한 자세이다. 우리보다 강하고 현명한 자들의 주장이므로, 그것이 진실인지 프로파간다인지 분별할 의지도 없다는 자세와, ‘글로벌 스탠더드’나 ‘글로벌 트렌드’라면 뭐든지 좋다는 식의 대응은 IMF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오랜 전통이 되었다. 동북아시아의 작은 변방 국가이니 서구의 스탠더드에 의문을 품어도 무의미하다는 패배주의와 사대주의가 우리의 머리와 가슴에서 어떠한 반향도 일으키지 않는 상황에 이르렀다.

물론, 해외의 문물을 무조건 배척하는 태도는 옳지 않다. 더구나 환경과 인권의 보호는 전 인류 공통의 지상과제며, 우리의 생존을 좌우하는 문제이니 당연히 동참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비전과 소명에 이의를 제기할 수는 없다. 그러나 ESG와 관련하여 본서에서 언급하는 것은 비전과 소명보다 낮은 수준의 이야기들이다. 예를 들면, ESG의 배경, 역사, 설계, 작동 원리, 실행 수단 및 프로세스 등과 같은 것들이다. 이들은 앞서 말한, 지구와 인간을 살리는 비전과 소명을 이루기 위한 수단들이며, 얼마든지 변용하고 비판하며 개선할 수 있는 것들이다.

더욱이 우리에게 ESG를 요구하는 측이 시티 오브 런던(City of London)과 월 스트리트(Wall Street)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우리는 ESG에 대한 원론적인 지지 여부는 별론으로 하고, 대한민국의 국익을 고려한다는 차원에서 ESG를 재검토할 필요는 있는 것이다. 옛말에 “귤화위지(橘化爲枳)”라 했다. 회남(淮南)의 귤을 회북(淮北)에 옮겨 심으면 좋든 나쁘든 탱자가 되는 것이 당연지사이니, ESG도 우리 토양에 이식되면 우리 나름의 ESG로 바뀔 수도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한국형 ESG의 가능성을 타진해 볼 필요도 있는 것이다.

사실 ESG가 우리나라에 이식된 이후에 나타나는 양상은 서구와는 매우 다르다. 서구에서는 크게 문제시되지 않는 기업지배구조, 즉 거버넌스(governance) 이슈가 우리나라에선 끊임없이 파열음을 내고 있다. 경제 민주화, 연금 사회주의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ESG에 있어 모든 관심은 불행히도 거버넌스(G)에 집중되고, 환경(E)과 사회(S)는 사라져버린다. 반면 ESG가 시작된 서구에서는 거버넌스(G)의 논란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 제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환경(E) 및 사회(S)와 관련된 이슈들에 집중하여, 이들을 다양한 신사업 창출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다.

서구와 우리나라에서 ESG를 이해하고 받아들임에 있어 왜 이런 차이가 생기는 것일까? 우리나라의 국민들이 서구 사회의 시민들에 비해 시야가 특별히 좁고, 성정(性情)이 원만하지 못한 때문인가? 혹은 우리나라의 경제 시스템이 서구의 그것보다 열위에 처하기 때문인가? 여기에는 일부의 진실과 일부의 오해가 있다.

일단 현재 ESG와 관련하여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내홍과 불안은 일본과 중국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물론 양상은 다소 다르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잠재된 불안감은 드러나지 않으며, ESG 도입은 정부 주도로 일사불란하게 진행된다. 우선, 일본은행과 행정부에 의한 인위적인 증시 부양이 한계에 달한 일본에서는 ESG를 통해 해외 금융자본을 끌어들이고자 한다. ESG가 일종의 증시 부양 수단이 된 셈인데, 이러한 정책의 여파로 그간 ‘메인뱅크(main bank, 주거래은행) 거버넌스’로 안전하게 보호받던 일본의 금융자본과 비금융기업들은 상호출자 등의 방패가 사라지면서 드디어 서구 자본의 영향력에 본격적으로 노출되기 시작한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미국 대통령의 집요한 공격으로 금융시장이 반강제로 개방되다시피 한 중국 역시 코로나 사태 와중에 몰려들어 오는 서구 자본을 마냥 반가워하지는 않는다. 서구의 글로벌 자본을 ESG의 명목으로 국경을 넘나들며 양털 깎기를 시도할 수 있는 핫머니로 보는 것이다. 물론 중국에서는 거버넌스(G)보다는 사회(S)의 이슈가 뇌관이다. 중국의 아킬레스건인 신장 위구르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의 노예 노동, 홍콩 민주 인사 탄압 등의 인권 문제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애써 가꿔온 알토란 같은 중국의 자산을 서구의 글로벌 자본이 송두리째 삼킬 때에는 거버넌스(G)를 허물면서 들어올 것이다. 현재 중국은 ESG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를 도입하지 않고 있으며, 그에 대한 서구 자본의 불만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이것이 동아시아의 제조업 강국이자 금융 후진국인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거버넌스(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배경이다. 서구 경제권에 비해 금융산업의 발달이 뒤처진 동아시아 국가들에게 있어서 ESG는 지속 가능한 경제의 창출이라는 비전과 더불어 국부 유출이라는 딜레마와 연결된다는 것이다. 이들 국가들은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과 일본은 세계 2위와 3위의 경제 강국이다. 그러나 제조업이란, 지구상의 모든 것을 금융화(financialization)하면서 전 세계를 종횡무진 주유(周遊)하는 서구 자본의 먹잇감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들 국가의 금융산업은 서구의 그것에 비하면 철저히 유치산업(幼稚産業)에 머무른다.

물론, ESG는 하나뿐인 지구를 살리기 위해 모든 인류에게 주어진 하나의 과제로서 국가와 문화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없다고 혹자는 주장할지도 모르겠다. 분명히 환경(E)과 사회(S)는 그러하다. 그러나 거버넌스(G)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하지 않는가? 이것이 바로 ‘착한 ESG’와는 다른 ‘위험한 ES+G’의 문제가 나타나는 시발점이다.

문화의 다양성과 국가별 경제발전 단계의 차별성을 이해한다면, 거버넌스(G)의 다양성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앵글로·색슨 자본주의와 유럽식 자본주의가 항상 똑같지 않았고, 선진국의 자본주의와 개발도상국의 자본주의는 다르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국가적 협력이 항상 실패해 온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온실가스를 줄이는 과정에서 후진국의 시민은 영원히 선진국의 시민과 같은 생활수준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할 가능성이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가 ESG의 관점에서 온당하다고 여길 사람은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금융산업이 낙후된 국가와 우월한 국가가 동일한 기준에서 ESG를, 특히 동일한 거버넌스(G)를 적용한다면 이는 차별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것이 바로 금융 선진국과 금융 후진국 간의 ‘사다리 걷어차기(kicking away the ladder)’의 문제이다.

혹자는 우리나라의 일각에서 제기할 수 있는 이러한 두려움이 근거 없는 것이라 주장할지도 모른다. 당연히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방법은 없다. 반대 논리는 얼마든지 존재하며, 단지 역사적 사실의 해석과 그에 따른 논리적인 예측만이 앞으로의 상황을 가늠할 근거가 될 뿐이다. 예를 들면, ESG 탄생의 내력과 관련 제도의 이념적 연원 등과 같은 역사와 정황들이 예측의 출발점이다.

ESG는 월 스트리트와 시티 오브 런던의 공동 발명품이자 21세기의 총아(寵兒)이다. ESG의 역사와 내력을 더듬어 오르내리면, 곳곳에 앵글로·색슨 자본주의의 전통이 느껴진다. 바로 보통법(common law)과 스튜어드십(stewardship)으로 대표되는 영국의 법률과 규제 체계이다. 그리고 이 토대 위에서 월 스트리트의 최신 투자기법과 세계 금융시장을 과점하여 지배하는 막강한 자본력으로 창조해낸 것이 ESG이다. 그리고 이들 영미의 투자자본은 자신들이 시작했던 신자유주의의 과오를 바로잡기 위해 ESG를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신자유주의와 관련해서는 다음의 주장이 주목할 만하다. 금융인, 기업인, 정치인, 언론인 등 전 세계 지도층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세계적인 공통의 주제를 토의하는 다보스 포럼(Davos Forum)의 수장인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은 『월스트리트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의 자매지인 인도의 경제지 『민트(Mint)』에 2021년 1월 1일 자로 기고한, 「2021년은 그레이트 리셋의 해가 되어야 한다(2021 should be year of the Great Reset)」라는 글에서 2021년을 ‘이어 제로(Year Zero, 제0년)’라고 지칭하며 그 배경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Schwab, 2021).

(…전략) 자유 시장과 제약받는 정부(limited government)에 대한 확고한 의지인 신자유주의는 서구 사회에 수십 년간의 번영과 발전을 가져다주며 서구 사회를 지배하였다. 하지만 이 모델은 고장났다. 코로나19가 최후의 일격을 날렸지만, 전후(戰後) 모델은 환경적으로도, 오늘날 최고조에 달한 불평등 때문에 사회적으로도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은 최소한 지난 20년간 명백했다.

(…중략…) 세워야 할 세 개의 기둥이 있다. 첫째 2021년은 우리가 코로나19를 관리할 수 있는 해가 될 수 있다. (…중략…) 둘째, 2021년은 모든 주요 국가 정부와 민간 연합체들이 온실가스 배출의 ‘넷 제로(net-zero)’에 집중하는 해가 될 것이다. (…중략…) 마지막으로, 2021년은 기업들이 엄격한 단기 수익 지향에서 기업의 장기적 생존 가능성과 모든 이해관계자의 이익과 기여에 보다 집중하는 전략으로 선회하는 해가 될 것이다. (…후략)

슈밥은 동 기고문에서 최초의 ‘이어 제로(Year Zero)’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이고, 2021년이 두번째 ‘이어 제로(Year Zero)’라고 말하면서, 2021년에는 코로나19가 통제되고, 각국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의 ‘넷 제로(Net Zero)’ 목표에 집중하며, 모든 기업들이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와 장기적 이익을 추구하기 시작하는 새로운 해가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

슈밥이 언제나 하는 주장이고 표현이지만, 인상적인 것은 그가 명확하게 신자유주의의 종말을 선언했다는 사실과 신자유주의라 불리는 전후(戰後) 모델이 극단적인 불평등을 야기했음을 인정한 사실이다. 그리고 2021년을 탄소중립성(Net Zero)과 ESG의 원년(元年)으로 언급하면서 ‘그레이트 리셋(the Great Reset)’과 더불어 ‘이어 제로(Year Zero, 제0년)’라는 표현을 쓴 것이다. 참고로 서력 기원에 따르면 ‘제0년’이란 것은 없다. 말하자면, 슈밥은 2021년을 존재하지 않는 한 해로 규정한 것이다.

이처럼 신자유주의는 실패했다. 그러나 슈밥의 발언대로 서구 자본주의는 번영했다. 여타 지역의 경제와 인권이 어떻게 되든 간에 말이다. 마찬가지로 지난 20년간 신자유주의가 불평등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며 망가졌다고는 하지만, 이로 인하여 세계경제가 번영하든지 망가지든지 상관없이, 서구의 글로벌 자본은 동 기간 동안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수익을 올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구의 글로벌 자본은 이제 신자유주의의 실패를 진심으로 반성했다고 한다. 그리고 신자유주의의 잔해와 부작용을 제거하고, 지속 가능한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 ESG라는 것을 만들었으니 자신들을 믿고 글로벌 스탠더드의 조류에 동참하라고 말한다. 물론 여기서 글로벌 자본은 한 발 더 나아가 ESG의 조류에 동참하지 않으면, 지구의 환경과 인권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창조하려는 인류의 숭고한 이상과 의지에 대해 등을 돌리는 것이므로, 이들에게는 더 이상 자본을 공급하지 않겠다고 한다. 이것이 ESG와 관련해서 서구의 글로벌 자본이 각종 매스미디어를 통해서 끊임없이 우리들에게 전달하는 메시지의 핵심이다. 이러한 요구에 어떠한 반응을 할 수 있겠는가?

일단, 이러한 내막을 아는 이상, ESG를 마냥 고아(高雅)한 이념으로만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그 이전에 서구의 글로벌 자본이 이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이해해야 한다. 아직 21세기의 초입에 머무른 오늘날, 세계경제의 문제는 세 가지이다. 하나는 경제적인 프론티어(frontier)의 상실과 이윤율의 만성적인 저하이며, 둘은 그에 따른 불평등의 확대이고, 마지막은 지구 환경의 악화(惡化)와 자원의 열화(劣化)이다.

전 세계는 이른바 만성적인 일본화(Japanification)의 상황에 빠져 있다. 이젠 일본만이 아니라 전 세계의 실물 경제가 잃어버린 20년, 30년에 빠질 위기에 봉착한 것이다. 물론 과거에는 실물 경제의 이윤율이 낮아질 때마다 새로운 프런티어를 찾아내어 타개해 나갔다. 신대륙 발견부터 산업혁명을 거쳐 인터넷 혁명을 경험했던 인류의 역사가 바로 프런티어 발견의 역사이다. 그러나 21세기 초입에 들어선 오늘날, 우리는 드디어 프런티어 상실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프런티어가 사라진 시대의 글로벌 투자자본의 대책은 모든 것의 금융화(the financialization of everything)이다. 실물 경제의 이윤율이 만성적으로 저하하는 경향에 대한 대응이다. 금융화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간단히 말하면, 과거에는 금융이 아니었던 영역까지 금융이 침투하여 최후의 이익까지 짜내는 활동이다. 부동산, 리스크 등의 증권화부터 적대적 인수합병(M&A)과 구조조정을 통해 실물자산을 현금화하거나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다양한 금융기법들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금융의 수익 원천이 본래 실물자산을 기초로 하는 이상, 프런티어를 상실한 금융화는 본질적으로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으로 타락하게 된다. 즉, 한쪽에서 고도의 금융기법으로 높은 이익을 올릴수록 그 사회의 다른 영역에서 부의 박탈이 가중되는 것이다. 이것이 1 대 99로 대변되는 극한의 불평등이다.

그리고 금융화의 효율이 극한에 다다르면, 실물경제와 인간의 금융화 단계에서 지구환경과 자원의 금융화 단계로 발전한다. 환경(E)과 사회(S)라는 투입요소에 대한 재투자와 이윤의 배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회 시스템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프런티어의 확대로 성장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프런티어가 상실된 상황에서는 자원을 짜내어서 생산성을 높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어쩌면 역사상 최저의 이윤율에 허덕이는 글로벌 투자자본의 탐욕을 상대하여 우리나라의 산업과 기술을 지켜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될지도 모르겠다. 극한까지 이윤을 짜내던 투자자본이, 금융산업이 낙후되고 자본 축적 수준이 미약한 반면 기술력은 높은 제조업 국가에 대한 지배력 강화를 통해 새로운 프런티어를 찾으려는 시도를 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기 때문이다.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반도체 패권의 확보에 강한 의지를 다지는 미국 조 바이든(Joe Biden) 대통령의 행보가 예사로 보이지 않는 것이 이 때문이다.

본서는 ESG를 지지한다. 환경(E)과 사회(S)의 문제는 우리가 반드시 동참하여 해결해야 하는 인류의 지상과제(至上課題)이다. 그러나 시티 오브 런던과 월 스트리트가 주장하는 ESG는 금융자본이 산업자본을 지배하는 신자유주의적 ESG가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기관투자자의 우위를 전제로 하는 ESG의 기본 구조에 따르면, 금융산업이 취약하고 제조업과 대외무역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경제는 서구 자본과의 관계에 있어 지배를 당하는 입지에 놓이는 것이 논리적인 귀결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ESG를 둘러싸고 연금 자본주의, 경제 민주화 등 거버넌스(G)를 둘러싼 파열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논란이 국내 정치 이슈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서구 금융자본의 침투라는 대외 부문의 동향을 함께 고려하면, 이러한 파열음은 분명히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약한 고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이, 본서가 한국형 ESG를 주장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서는 ESG를 착한 경제로만 보는 관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ES+G’의 거버넌스(G)는 미래를 향한 전쟁터일 수 있으며, 우리가 지켜내야 할 최후의 보루이다. 경제 민주화 등의 정치적 이권 다툼으로 거버넌스(G)를 외국 자본에게 내어주는 것은 바로 우리의 미래를 포기하는 것과 다르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본서의 기획 의도이다.

여기서 언급해두고자 하는 것이 있다. 한국형 ESG는 윤리적이고 경제적인 고민이어야 하며 정치와 연계되어서는 안 된다. 여전히 냉전 시대의 이념에 사로잡힌 우리나라에서는 이른바 진보 좌파와 보수 우파라는 단순한 이분법이 국민들의 사고를 지배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는 환경, 인권, 심지어는 ESG에 대한 관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경, 인권 등의 어젠다(agenda)에 대해서는 진보 좌파가 스스로 주도권을 쥔 듯이 느끼고, 반면 보수 우파는 본능적으로 해당 이슈를 자본주의와 충돌하는 이슈로 인식하여 ESG마저도 언급하기를 주저한다. 그리고 같은 이유로 진보 좌파는 서구의 신자유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반면, 보수 우파는 서구의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입장을 반자본주의적 견해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세상사는 선과 악의 단순한 이분법을 따르는, 어린이용 동화와 같은 순진한 세계관으로 간단히 정리되지 않는다. 앞서도 말했듯이 환경과 인권을 지지하는 ESG도 따지고 보면 한때 신자유주의의 첨병이었던 월 스트리트의 창조물이고, 월 스트리트는 ESG를 통해 산업자본을 지배하며 지금도 여전히 신자유주의의 비전을 실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또한 앞서 신자유주의가 실패했다고 선언했던 슈밥이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아마도 ESG는 제4차 산업혁명과 함께 침체된 자본주의를 살릴 수 있는 신성장동력, 즉 새로운 먹거리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좌파도 우파도, 선도 악도 없다. 그저 우리나라의 미래 비전과 국익이라는 관점이 있을 뿐이다. 이것이 본서가 ESG를 이해하는 관점이다. 본서의 주장을 특정한 정치적 이념과 연계하여 오해하지 않기를 바란다.

본서는 ESG의 이론과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입문서이다. 현상의 전달에 집중하고자 한다. 따라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도 그 실상을 그대로 전달하고자 한다. 때로는 저자들의 의견도 밝히겠지만, 반드시 사견임을 명확히 할 것이다. 본서의 목표는 ESG의 소개이므로, 저자들은 ESG 이론에 대한 고도의 분석은 최대한 지양하겠다. 이는 역량이 우수한 각계각층의 권위자들께 요청드리는 바이다.

저자들은 ESG의 가치나 전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서에서는 가능한 한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하고자 한다. 찬성과 반대의 양 견해를 대등하게 제시하여야 ESG의 실체를 제대로 확인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또한 저자들은 비록 ESG에 찬성하지만, ESG의 문제점에 대해서 솔직하게 밝혔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만약 ESG에 대한 찬성 측과 반대 측 모두가 본서를 읽으면서 불편한 감정을 느낀다면 저자들은 중립적 입장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본다.

또한 본문 중에서 특정 집단이나 정책 등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한 경우가 있지만, 이는 모두 ESG와 지속가능성의 측면 또는 우리나라의 경제적 이익이나 국부(國富)의 관점에 입각한 유불리를 평가한 것이며, 도덕적 또는 윤리적 판단과는 무관함을 밝힌다. 예를 들어, 앞서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기하였는데, 이는 신자유주의가 환경과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며, 신자유주의가 부도덕하다는 것을 주장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 국가나 특정 세력에 대한 비판도 마찬가지로 도덕성과는 무관하다. 특정 사상이나 집단의 도덕성은 본서의 관심 대상이 아니다.

이러한 본서의 입장은 대부분의 경우 도덕성 평가가 불가능하거나 불필요하다는 가치관에 따른다. 왜냐하면 저자들은 모든 상황에는 언제나 구조적인 요인들이 있으며, 따라서 어느 국가나 집단도 타 국가나 집단에 대해 그 본질에 있어서의 도덕적이거나 윤리적인 우위 또는 열위를 가지지 않고, 단지 각자의 입장에서 유불리가 존재할 뿐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미국은 미국의 이익에 따라 행동하고, 중국은 중국의 이익에 따라 행동하며, 우리나라는 우리나라의 이익에 따라 행동할 뿐이고, 여기에 누가 도덕적이고 비도덕적인가는 크게 논의할 의미가 없다는 주장이다. 애초에 국제 사회는 생존의 논리에 입각한 약육강식의 세계이다. 이러한 세계에서는 전략적 판단이 필요할 뿐이다. 윤리와 도덕을 개입시키는 것은 냉정한 상황 판단에 있어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오히려 도의적으로도 반드시 타당한 것은 아니다. 누구나 상대방의 입장이 된다면 상대방의 상황에 맞는 행동 패턴을 보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본서는 입문서이다 보니, 결과적으로 일종의 ESG 총론서가 되었다. 따라서 본의 아니게 실무나 각론에 대한 니즈(needs)를 본서가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였다. 독자의 양해를 구한다. 대신 협소한 지면에도 불구하고 해외 사례를 다소 소개했는데, 일본 사례의 비중이 높았다. 이는 저자들의 의도적인 선택이었다. 일본은 아시아에서 ESG 도입이 가장 빨랐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유사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고민을 겪는다고 여겨지는 나라이다. 물론 실상은 이와 다소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정책당국과 언론은 일본의 ESG 대응 사례를 모범 사례(best practices)로 제시하면서 우리나라의 ESG 대응을 독려하고 있다. 따라서 역설적이지만, 일본의 상황을 보면서 독자들은 동병상련(同病相憐)을 느끼거나 심지어는 위안을 받을지도 모르겠다. 저자들은 일본이 역시 서구 자본주의와는 다른 경제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일본의 ESG 도입 사례를 살펴보며 새삼 깨달았다. 물론, 전통적으로 국내 독자들은 구미보다는 일본 사례에 보다 강한 현장감을 느낀다는 것 역시도 저자들의 주안점이었다.

ESG의 골자는 비교적 단순하다. 그러나, 일단 전체상의 조감도를 얻기 전까지는 꽤 난삽한 주제가 될 수 있어 본서를 읽으면서 길을 잃을 우려가 있다. 아래의 내용 소개를 길잡이 삼으면 바른 길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제1장은 ‘ESG란 무엇인가’라는 초미의 관심사에 대한 간략한 대답이다. 원래 ESG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제2장과 제3장에서 ESG의 등장 배경과 역사를 포함한 선행 학습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런 구성에서는 독자들이 집중력을 잃을 것이므로, ESG에 대한 기본적 궁금증부터 간단히 해소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하지만, ESG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제2장과 제3장의 내용을 숙지해야 할 것이다.

제2장은 본서의 핵심 중의 핵심이다. 진정한 ESG가 가지는 특징들이다. 특히, 마지막 특징을 제외한 네 가지 특징 중에 하나라도 결여되면 ESG가 아니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제2장을 통해 사이비 ESG를 판별할 잣대를 제공한다고 자부한다. 제3장은 ESG의 역사다. 역사는 그저 지나간 옛이야기가 아니다. ESG의 역사를 통해 ESG의 본질을 이해하고 ESG를 요구하는 서구 글로벌 자본의 의도를 간파하며, ESG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제4장은 ESG 경제의 인프라와 프로세스의 조감도를 제시한다. 시중에 이미 많은 자료들이 있으므로, 향후 다가올 트렌드와 변화의 방향성에 주목하였다. 본서가 총론적 성격의 입문서라는 것도 감안하였다.

제5장은 스튜어드십 코드, 기업 거버넌스 코드를 중심으로 거버넌스와 관련된 이슈들을 다루었다. 본서가 ESG를 ES+G로 이해하면서 거버넌스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을 별도의 챕터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스튜어드십과 ESG와의 관계, 국민연금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된 찬반 논란 등 예민한 부분에 대한 소견을 가감 없이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소수 의견이지만, 선입견을 버리고 본서의 논리를 한번 따라 보는 것도 우리의 현실을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보는, 의미 있는 경험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맺음말에서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바라본 ESG와 그 대응 방안에 대한 졸견(拙見)을 피력하였다. 더불어, 서구와는 차별화된 한국형 ESG의 필요성을 상생과 협력이라는 관점에서 주장하였다. 저자들의 소망이 있다. 독자들이 뜨거운 심장과 차가운 머리를 함께 가지기를 희망한다. 뜨거운 심장만으로는 우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차가운 머리만으로는 인류의 문제를 돌아보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이 본서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저자들의 작은 소망이다.
---「머리말」중에서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상품정보안내

  •  주문 전 중고상품의 정확한 상태 및 재고 문의는 PC웹의 [판매자에게 문의하기]를 통해 문의해 주세요.
  •  주문완료 후 중고상품의 취소 및 반품은 판매자와 별도 협의 후 진행 가능합니다. 마이페이지 > 주문내역 > 주문상세 > 판매자 정보보기 > 연락처로 문의해 주세요.

부적합 상품 신고하기 신고하기

  •  구매에 부적합한 상품은 신고해주세요.
  •  구매하신 상품의 상태, 배송, 취소 및 반품 문의는 PC웹의 판매자 묻고 답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상품정보 부정확(카테고리 오등록/상품오등록/상품정보 오등록/기타 허위등록) 부적합 상품(청소년 유해물품/기타 법규위반 상품)
  •  전자상거래에 어긋나는 판매사례: 직거래 유도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송 구분 판매자 배송
  •  택배사 : 스카이로지스틱스 (상황에 따라 배송 업체는 변경 될 수 있습니다.)
  •  배송비 : 3,300원 (도서산간 : 3,100원 제주지역 : 3,100원 추가 배송비 발생)
배송 안내
  •  판매자가 직접 배송하는 상품입니다.
  •  판매자 사정에 의하여 출고예상일이 변경되거나 품절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과 관련한 안내가 있는경우 아래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반품/교환 방법
  •  고객만족센터(1544-3800), 중고샵(1566-4295)
  •  판매자 배송 상품은 판매자와 반품/교환이 협의된 상품에 한해 가능합니다.
반품/교환 가능기간
  •  출고 완료 후 10일 이내의 주문 상품
  •  디지털 콘텐츠인 eBook의 경우 구매 후 7일 이내의 상품
  •  중고상품의 경우 출고 완료일로부터 6일 이내의 상품 (구매확정 전 상태)
반품/교환 비용
  •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 반송비용은 고객 부담임
  •  직수입양서/직수입일서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20%를 부과할수 있음

    단, 아래의 주문/취소 조건인 경우, 취소 수수료 면제

    •  오늘 00시 ~ 06시 30분 주문을 오늘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오늘 06시 30분 이후 주문을 익일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직수입 음반/영상물/기프트 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 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30%를 부과할 수 있음

    단, 당일 00시~13시 사이의 주문은 취소 수수료 면제

  •  박스 포장은 택배 배송이 가능한 규격과 무게를 준수하며,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의 반송비용은 박스 당 부과됩니다.
반품/교환 불가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전자책 단말기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CD/LP, DVD/Blu-ray,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eBook 대여 상품은 대여 기간이 종료 되거나, 2회 이상 대여 했을 경우 취소 불가
  •  중고상품이 구매확정(자동 구매확정은 출고완료일로부터 7일)된 경우
  •  LP상품의 재생 불량 원인이 기기의 사양 및 문제인 경우 (All-in-One 일체형 일부 보급형 오디오 모델 사용 등)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소비자 피해보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  대금 환불 및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0,0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