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소득공제 EPUB
옥수수를 관찰하세요
미리보기 공유하기
eBook

옥수수를 관찰하세요

: 여성 유전학자 바버라 매클린톡의 생각

[ EPUB ]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 판매지수 12
구매 시 참고사항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 Html.RenderPartial("Sections/BaseInfoSection/DeliveryInfo", Model); }
한 눈에 보는 YES24 단독 선출간
매월 1~7일 디지털머니 충전 시 보너스머니 2배 적립
할인에 할인을 더하다! UP TO 65% OFF
[READ NOW] 2023년 3월호
eBook 전종 10%할인+5%적립 무한발급 슈퍼쿠폰
3월 쇼핑혜택
현대카드
1 2 3 4 5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1월 25일
이용안내 ?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35.07MB ?
ISBN13 9791163270379

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추천하는 글 _송기원(생명과학자)

# 여는 글 _옥수수와 함께한 인생
# 첫 번째 장면 _스스로 생각하는 아이
# 두 번째 장면 _여자아이답게? 아니 나답게!
# 세 번째 장면 _지식에 대한 열정
# 네 번째 장면 _유전학에 빠지다
# 다섯 번째 장면 _농장에서의 연구
# 여섯 번째 장면 _옥수수만 심을 수 있다면
# 일곱 번째 장면 _이동성 유전자의 발견
# 여덟 번째 장면 _미치광이 여성 과학자
# 아홉 번째 장면 _내 말이 맞다고 했잖아요
# 닫는 글 _노벨상을 받고 나서

부록 _장면 밖 이야기
-바버라 매클린톡을 만나다
-7가지 과학 키워드로 보는 바버라 매클린톡의 삶

저자 소개 (3명)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바버라 매클린톡은 누구일까?”
‘노벨 생리·의학상’ 첫 여성 단독 수상자
아무도 몰랐던 ‘이동성 유전자’ 발견
미국 유전학회 첫 여성 회장

“바버라 매클린톡을 가장 과학자다운 과학자로 생각하는 이유는 내가 아는 어떤 과학자보다도 자신이 하는 연구를 즐겼고 사랑했기 때문입니다.”
- 송기원(생명과학자,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추천글 중에서

노벨상보다 더 큰 가치는 ‘연구하는 기쁨’이라 말하는
가장 과학자다운 과학자

바버라 매클린톡은 옥수수를 깊이 연구하며 ‘이동성 유전자’를 발견했지만, 당시 학계의 반응은 차가웠다. 바버라 매클린톡은 고정관념에 갇혀 새로운 이론을 받아들이지 않는 과학자들한테 실망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바버라 매클린톡은 자신의 이론이 옳다는 믿음으로 연구를 계속한 것이다. 무엇보다 자신의 연구를 즐기고 사랑했다.

“나 같은 사람이 노벨상을 받는 것은 불공평한 일입니다. 나는 옥수수를 연구하는 동안 모든 기쁨을 누렸거든요.”
- 바버라 매클린톡의 노벨상 수상 소감 중에서

바버라 매클린톡은 진정한 과학자로서 업적에 연연하지 않고 연구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최선을 다했고, 거기서 만족과 행복을 누렸던 바버라 매클린톡의 삶은 모든 이에게 커다란 감동과 긍정적인 힘을 준다.

생명체와 하나가 될 만큼 깊이 관찰한다는 것

현미경이 지금처럼 발달되지 않았던 때 바버라 매클린톡은 어떻게 작디작은 옥수수의 염색체를 관찰할 수 있었을까? 바버라 매클린톡은 평생 옥수수를 연구했다. 옥수수를 심고 가꾸고 교배해서 열매를 얻은 뒤에 그 열매로 실험했다. 그렇게 모든 과정을 빠짐없이 혼자서 다 해내며 바버라 매클린톡은 옥수수라는 생명체와 하나가 된 것 같은 경험을 했다. 그래서 옥수수 염색체를 관찰할 때도 스스로 염색체라고 생각하며 관찰했다. 그렇게 깊이 관찰했기에 아무도 보지 못했던 ‘이동성 유전자’를 발견한 것이다.
바버라 매클린톡은 연구 대상을 잘 이해하려고 노력했으며, 그 대상에 푹 빠져서 오랜 시간을 관찰했다. 집중력과 인내심을 바탕으로 관찰한 바버라 매클린톡의 눈을 빌려 새로운 세상을 발견하는 특별한 경험을 함께해 보자.

여성 과학자가 드물었던 시기에 여성 과학자로 살아가기

바버라 매클린톡은 독립적인 성격을 타고났다.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보다는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더 중요했다. 그래서 당시 여느 여자들과 똑같이 행동하지 않았다. 치마 대신 바지를 입었고, 머리를 짧게 잘랐으며, 결혼을 하지 않았다. 무엇보다 여성이 공부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을 한다는 것 자체를 이상하게 여겼던 시기에 여성 과학자로 살았다. 바버라 매클린톡은 수많은 차별과 편견을 이겨내고 자신이 원하는 길을 걸었다. 바버라 매클린톡의 행보는 미래의 여성 과학자들한테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며, 우리가 앞으로 만들어 가야 할 정당한 사회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한다.
뒤로 앞으로 맨위로 aniAla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