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말 - 41부 인공지능이 대체 뭐길래1장 인간을 닮은 컴퓨터의 시작 · 122장 똑똑한 컴퓨터는 다 인공지능일까· 183장 인공지능의 공부법 · 234장 뇌는 인공지능의 선생님 · 295장 우리는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다· 36- 인공지능의 아버지, 존 매카시 · 42- 누가 사람이고 누가 기계일까 · 452부 영화 속 그 인공지능 있다? 없다?1장 인공지능, 조력자가 되다 · 512장 인공지능, 친구가 되다 · 583장 인공지능, 스승이 되다 · 644장 인공지능, 적이 되다 · 71- 인공신경망을 처음 디자인한 맥컬록과 피츠 · 79- 사람의 지능을 초월한 ‘초인공지능’ 나올까 · 833부 왜 떴나, 분야별 대표 인공지능1장 바둑 · 882장 법률 · 943장 의학 · 1024장 엔터테인먼트 · 1095장 도우미 · 116- 초기 신경망 이론을 정립한 헤브와 로젠블랫 · 123- 로봇이 창작한 작품,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을까 · 1274부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1장 자율주행차와 인공지능 · 1322장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 · 1403장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 1484장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 1535장 5G통신과 인공지능 · 1586장 IT업계의 생태계를 바꾼 인공지능 칩· 165- 인공지능의 봄을 찾아온 천재들 · 170- 인공지능도 시민권을 받을 수 있을까 · 1735부 특이점 이후, 우리의 선택1장 인공지능이 일자리를 바꾼다 · 1782장 인공지능이 도시를 바꾼다 · 1863장 전문가들이 말하는 인공지능 시대의 생존법· 1934장 두려워할 것인가? 이용할 것인가? · 202- 알파고의 아버지 데미스 허사비스 · 207- 미래의 인공지능은 친구일까 적일까 · 209맺음말-210
|
저김상현
관심작가 알림신청김상현의 다른 상품
인간과 AI, 그리고 공존과 경쟁1. 로봇은 인간에 해를 가하거나, 혹은 행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인간에게 피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2. 로봇은 인간이 내리는 명령들에 복종해야만 한다. 단, 첫 번째 법칙에 위배될 때에는 예외로 한다.3. 로봇은 자신의 존재를 보호해야만 한다. 단, 첫 번째와 두 번째 법칙에 위배될 때에는 예외로 한다.SF소설가 아이작 아시모프가 1942년 단편 루나라운드에서 ‘로봇의 삼원칙’을 처음 제시하였을 때, 우리는 이러한 룰이 제정되어야 할 만큼 로봇(인공지능)이 인류에게 위협이 되는 존재로 다가왔음을 자각하게 되었다. 그 후 수많은 매체와 창작물에서 인공지능은 인류의 파트너로서, 때로는 적으로서 묘사되었지만 인공지능의 성능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아이러니하게도 경쟁보다는 공존을 논하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졌다. 인공지능만으로는 구현하지 못하는 인간의 역할도 커져만 갔기 때문이다. 결국 인공지능을 컨트롤하는 것은 인간이며 그 인간이 인공지능을 인류에게 위해를 가하는 존재로 성장하는 것을 내버려두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이 책에서 주장하는 ‘인간의 역할’을 제대로 지키고 노력한다면 ‘로봇의 삼원칙’에 우선하는 0원칙처럼 인공지능은 영원히 인류의 도우미로 공존할 수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0. 로봇은 인류에게 해를 가할만한 명령을 받거나 행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인류'가 피해를 입는 것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