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주제 1 작은 사회, 학교
1장 학교는 어떤 곳인가요 2장 학교생활을 바르게 3장 안전한 학교생활 4장 우리는 다정한 친구 주제 2 계절에 따라 다른 생활 모습 1장 우리나라의 사계절 2장 계절의 시작, 봄 3장 더운 여름 4장 높고 푸른 가을 5장 눈 내리는 겨울 주제 3 소중한 우리 가족 1장 한집에 살면 모두 가족인가요 2장 옛날과 오늘날의 가족 형태 3장 뭐라고 불러야 하나요 4장 우리 가족의 행사 5장 행복한 가족을 만들어요 주제 4 명절과 세시 풍속 1장 명절과 국경일은 다른 건가요 2장 설날과 추석 3장 열두 달 세시 풍속 4장 옛날 사람들의 놀이 5장 사라져 가는 세시 풍속 주제 5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1장 우리나라를 상징해요 2장 한글의 우수성 3장 몸에 좋은 김치 4장 아름다운 우리 옷 5장 세계가 인정한 우리 문화유산 6장 평화 통일의 꿈 |
미디어 문해력이 중요해진 시대
매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바로 미디어 문해력입니다. 오늘날 우리 아이들의 언어 환경은 매체와 분리해서는 생각할 수 없죠. 교육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매체 이해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2022 수능부터는 국어영역의 선택과목으로 ‘언어와 매체’가 신설되기도 하였습니다. 글뿐만 아니라 영상, 사진, 그래프 등을 함께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이 그 어느때보다 필요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루한장 비문학 독해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 속 자료들을 제공하고 이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핵심을 뽑아내는 것이 경쟁력인 시대 중요한 글을 읽고도 핵심이 무엇인지 몰라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실행하지 않아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눈으로 글자를 읽었을 뿐 제대로 독해하지 않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입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딱딱하고 긴 글을 마주해야 합니다. 글을 구조화하며 읽고, 분석적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몇 시간씩 공부를 해도 절대 실력이 쌓이지 않습니다. 하루한장 비문학 독해에서는 세부 내용 확인하기, 중심 내용 찾기, 제목 정하기 등의 문제를 통해 글의 핵심을 파악하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아울러 의견 나누기, 미루어 짐작하기, 다른 사례에 적용하기 등의 문제를 통해 확장하여 생각하는 힘도 키울 수 있습니다. |